[include(틀:사건사고)] [목차] == 개요 == [[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3338134|[단독] '모임통장' 만들었을 뿐인데…며칠뒤 사기범 된 사연]] [[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5136289?sid=102|"킹누 내한 티켓 양도합니다"...대포통장 이용 중고거래 사기 배후 있나?]] [[2024년]]에 김은혜[* 정치인 [[김은혜]]와 동명이인.] 명의 예금주가 벌인 수십억원 대 경제 범죄 사건. [[트위터]], [[중고나라]], [[당근마켓]] 등지에서 [[국민은행]], [[카카오뱅크]] 등 김은혜 명의의 다수의 [[대포통장|모임통장]]을 이용하여 금융 사기를 벌인 사건이다. == 모임통장 == 말이 모임통장이지만 사실 일반 계좌도 주로 사용된다. 김은혜 명의로 개설된 범죄 통장들은 다음과 같다. 국민은행 계좌 중 가운데 계좌번호를 23-00, 23-01, 23-04, 26-00, 26-01, 26-04번을 사용하는 통장들이다. 계좌번호 예시는 다음과 같다. * 국민은행 무한 적금 계좌 * 국민 ****23-00-******, * 국민 ****23-01-******, * 국민 ****23-04-******, * 국민 ****26-00-******, * 국민 ****26-01-******, * 국민 ****26-04-******, 카카오뱅크 계좌 중 모임통장과 모임적금통장을 이용한 통장들이다. '''누구나 개수를 무제한으로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대포통장 악용 가능성이 크지만 아직까지 제도적으로 규제된 적은 없다. * 카카오뱅크 삼삼오오 적금계좌 * 카카오 3355-**-******* * 카카오뱅크 친구친구 모임계좌 * 카카오 7979-**-***** 이외에 사기에 이용된 계좌들은 다음과 같다. * 케이뱅크 연계계좌 777- * 토스뱅크 모임통장 * 광주은행 1133- * 우체국 310- * 우리은행 1040- 해당 통장들은 김은혜 명의가 아니더라도 다양한 금융사기 및 대포통장 보이스피싱 범죄에 악용되는 사례가 다수인 만큼, 입금 시에 각별한 유의가 필요하다. === 피해 확인 계좌 === [[경찰]]에서 밝힌 모임통장으로 악용된 계좌는 다음과 같다. 해당 모임통장들은 개설 개수 제한 없이 여러 개의 통장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피해가 확산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해당 계좌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하여 사기 계좌가 아니라는 보장은 없다. 경찰 수사 속도보다 새로운 계좌를 개설하여 금융사기를 벌이는 속도가 더 빠르기 때문이다.] * 카카오뱅크 3355-45-8915523 * 카카오뱅크 3355-45-8754260 * 카카오뱅크 3355-45-7414658 * 카카오뱅크 3355-45-7414146 * 카카오뱅크 3355-45-7351681 * 카카오뱅크 3355-45-8921256 * 카카오뱅크 7979-91-48212 * 카카오뱅크 7979-91-49941 * 카카오뱅크 7979-91-31558 * 카카오뱅크 7979-91-51017 * 카카오뱅크 7979-91-53999 * 카카오뱅크 7979-91-56062 * 카카오뱅크 7979-91-57459 == 주요 대상 == 사건 초기에는 [[예스24|공연 티켓]]을 대상으로 주로 발생하였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5136289?sid=102|보도]]에서 소개된 킹누 내한 티켓이 주요 대상이었으나 [[Eve]] 내한 공연 및 [[아이유]] 공연, [[ITZY]] 및 [[아이브]] 등등 국내외 가수들을 가리지 않는 다양한 공연 티켓들이 대상이 되었다. 경찰은 1인당 평균 피해액이 50만원 가량에 이르지만 한 개의 공연당 피해자 수가 약 수백 명에 이르기 때문에 피해액이 상당히 커졌다고 밝혔다.[* 한 공연당 200명이라고 가정하고 공연 수를 10개라고만 가정해도 10억원이다. 그런데 한 공연당 200명밖에 안될 리도 없고 공연 수가 10개밖에 되지 않을 리도 없으니 그 이상이 되는 건 당연지사다. 게다가 각종 전자제품 사기도 같이 이용되는 만큼 피해액은 그 상상 이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공연 티켓을 노린 금융 사기라는 점이 [[https://twitter.com/verveinelic/status/1752200614841585872|유명해진 후]]에는 [[https://cafe.naver.com/swindler1|전자제품 사기]]로 방향을 틀었는데 태블릿PC 및 노트북, [[갤럭시 S24]][* 무려 사기 금액이 95만원에 달한다! 최신형 스마트폰까지 사기를 치는 대담함을 보였다.], [[벤츠 CLS 클래스|벤츠 CLS 400D]][* 4000만원에 올려 차까지 사기를 치는 대담함까지 보였다.] 등등의 다양한 전자제품을 대상으로 사기를 벌이고 있으며 택배사 [[운송장]]을 조작하여 발송한 척 사기를 치거나 피해자의 집에 직접배송 한다거나 자신의 집 앞에 내놓았다면서 물품 배송 사진을 조작하여 인증하는 등 수법이 다양해지고 있다. '''물론 전자제품 사기를 친다고 공연티켓 사기를 멈췄다는 것은 아니고 공연티켓 사기도 여전히 벌이고 있다!''' == 수사 == 수사에 나선 [[서울특별시경찰청]] [[수사|수사부]] [[사이버수사대|사이버수사과]]는 '''ECRM 신고가 다중 접수된 다중피해 사건[* 피해자가 수백명 이상인 다중이 피해를 본 중대한 사건이라는 의미이다.]으로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다중피해 사건으로 결정될 경우 이미 다른 피해자가 경찰서에 출석하여 진술서 및 진정서를 작성하였기 때문에 후속 피해자는 ECRM상 신고 이후에 별도로 경찰서를 방문할 필요가 없다. 이미 수사가 진행 중이기 때문이다. 경찰의 피해자 명단에 추가하기만 하면 처리된다. [[예금보험공사]]는 상기 기재된 계좌들은 경찰에 의해 [[사기죄]]등의 죄목으로 인해 [[지급정지]] 조치가 이루어진 것으로 확인되어 착오송금 반환지원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 여담 == * 일부 피해자들이 김은혜를 대상으로 한 [[민사소송]]을 제기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경제 사건사고/한국)] [[분류:2024년 범죄]][[분류:대한민국의 사기 사건]][[분류:대한민국의 금융범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