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義 생몰년도 미상 [[고려]] 말기, [[명나라]]의 인물. 김서의 아버지. 호인(胡人) 출신으로 본명은 예레케(也列哥). [[공민왕]] 말에 밀직부사를 지내다가 동지밀직사사로 승진했는데, 1374년에 명나라의 사신 [[임밀]], [[채빈]] 등이 귀국하는 길에 그들을 호송하게 되자 그들을 죽이도록 [[안사기]]의 사주를 받았다. 채빈이 술주정을 하면서 죽이려 하자 결국 개주참에서 채빈과 그의 아들을 죽이고 임밀은 납치해 [[나하추]]에게 달아났다. 그의 어머니와 처는 상주의 관비가 되고 재산은 몰수되었으며, 이 사건으로 인해 [[왕고(고려)|왕고]]가 김의를 이끌고 고려로 들어온다는 소문이 퍼진 적도 있었다. 김의가 명나라 사신을 살해한 일로 인해 고려에서는 명나라 사신으로 함부로 가기 어려워했으며, 김의가 일으킨 일로 인해 안사기가 죽고 [[이인임]]이 누명을 씌워 강순룡, 조희고, 성대용 등이 연루되어 귀양을 갔다. [[고려]]가 멸망하고 [[조선]]이 건국된 후에 [[권근]]이 명나라의 사신으로 파견된 길에 의진주에서 만나게 되었다. 이 때 김의는 명나라에 귀순해서[* 나하추 세력이 명나라에 투항할 때 묻어간 것으로 보인다.] 지휘관이 되어 남만을 정벌하고 돌아오는 길이었으며, 권근에게서 어머니에 대한 근황을 듣고도 슬퍼하는 기색을 보이지 않았다고 한다. [[분류:명나라의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