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고려 현종의 장인'''[br]{{{+1 '''김인위 | 金因渭''' }}} || || '''본관''' ||[[경주 김씨]](慶州 金氏)[* 경주 김씨 장군공파] || || '''이름''' ||인위(因渭) || || '''생몰연도''' ||연대 미상 || || '''아버지''' ||태자태보 좌복야 [[김순웅]]/김신웅 (大子大保 左僕射 金順雄/金信雄) || || '''배우자''' ||미상 || || '''자녀''' ||장녀 - [[원순숙비]] 차녀 - 계림국대부인(鷄林國大夫人) 김씨[* [[인천 이씨]] [[이자연(고려)|이자연]] 부인] 장남 - [[김원황]](金元晃) 차남 - [[김원정]](金元鼎) 삼남 - [[김원충]](金元沖)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려의 [[문벌귀족]]으로 [[신라]] 왕족 출신이다. == 생애 == 본관은 [[경주 김씨|경주]]. [[현종(고려)|현종]] 12년인 1021년에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로 임명된다. 현종 15년인 1024년 1월 28일(음력) 딸 경흥원주(景興院主) 김씨가 덕비(德妃)로 책봉되고, 같은 해 9월에 상서좌복야 참지정사 주국 경조현 개국남(尙書左僕射 叅知政事 柱國 京兆縣 開國男) 식읍 300호에 오른 뒤 물러난다. 사서와 후손들의 묘비 금석문에 따르면 사도 내사시랑 평장사(司徒 內史侍郞 平章事)도 지낸 것으로 보인다. == 가족관계 == === 조상 === 신라 원성왕의 현손으로 벽상삼한공신(壁上三韓功臣)) 김인윤의 손자다. * 조상: [[신라]] [[원성왕]][* 원문에서는 고조부로 나오지만 시열대상 안 맞기도 하고, 다른 금석문에서는 김인위의 증손자가 [[태종 무열왕]]의 14세손이라는 언급(=김인위가 무열왕의 11세손)도 있어서, 인지적인 시조로 보는 것이 합당해 보인다. 원성왕의 아들 중 김예영은 있어도 김례는 없다는 점도 있다.] * 증조부: 대광(大匡) 김례(金禮) * 조부: 삼한공신 삼중대광(三韓功臣 三重大匡) 김인윤(金仁允) * 부: 태자태보 좌복야(大子大保 左僕射) [[김순웅]](金順雄)/김신웅(金信雄) * '''본인: 김인위''' === 자녀 === 두 딸은 국왕 [[현종(고려)|현종]]과 문벌귀족 [[이자연(고려)|이자연]]에게 시집갔다. 외손녀는 [[덕종(고려)|덕종]]의 비가 되어 외가의 성을 따랐다. * 본인: '''김인위''' * 딸: [[원순숙비]] 김씨[* 『고려사』 권88, 후비열전] * 사위: 고려 [[현종(고려)|현종]] * 외손녀: [[경성왕후]] 김씨 * 딸: 계림국대부인(鷄林國大夫人) 김씨[* 『이정 묘지명』] * 사위: [[이자연(고려)|이자연]] * 아들: [[김원황]][* 『김지우 묘지명』] * 손자: [[김경용(고려)|김경용]] * 증손자: [[김인규(고려)|김인규]] * 손녀: 낙랑군대부인(樂浪郡大夫人) 김씨 * 손녀사위: 최유서(崔惟恕)[* 수원 최씨 [[최사위]]의 손자로 [[최충공]]의 아들] * 아들: [[김원정]] * 손녀: 경주 김씨 * 손녀사위: 서정(徐靖)[* [[이천 서씨]] [[서희]]의 손자] * 아들: [[김원충]] * 손녀: 용절덕비(容節德妃) 김씨[* 제10대 [[정종(고려 제10대)|정종]]의 제4비] * 손녀: 인목덕비(仁穆德妃) 김씨[* [[문종(고려)|문종]]의 제5비] [[분류:고려의 인물]][[분류:경주 김씨 장군공파]][[분류:몰년 미상]][[분류:고려의 외척]][[분류:국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