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헌 국회의원/전라남도)]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ed30 0%, #f0ed30 20%, #f0ed30 80%, #f0ed30)" '''{{{#000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br]{{{#000 {{{+1 김장열}}}[br]金長烈}}}'''}}}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장열.jpg|width=100%]]}}} || ||<|2> '''출생''' ||[[1899년]] [[5월 24일]] || ||[[전라남도]] [[완도군]] || || '''사망''' ||[[1974년]] [[4월 3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독립운동가]], [[정치인]]이다. == 생애 == 1899년 5월 24일 [[전라남도]] [[완도군]]에서 태어났다. [[보성고등학교(서울)|경성부 보성고등보통학교]] 4학년 재학 중 [[3.1 운동]]에 참여했다가 퇴학당했다. 이후 [[일본]]으로 유학하여 [[니혼대학]] 전문부 [[정치학과]]를 졸업했다. 귀국 후 완도군에서 노화학교, 금일학교, 서성학교를 설립하였다. 완도어업조합 이사, 동아일보 지국장, 조선일보 지국장 등을 지냈다. 민족독립운동으로 투옥되었다. [[8.15 광복]] 후 [[조선건국준비위원회]] 완도군 위원장을 지냈다가 [[경찰공무원]]이 되어 나주경찰서장, 전남경찰청 총무과장을 역임했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전라남도]] 완도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대한민국 국회]]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재판관으로 활동하였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국민당]] 후보로 [[전라남도]] 완도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국민당]] [[정남국]]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6.25 전쟁]] 때 납북되었다. 묘지는 [[재북인사릉]]에 있다. 묘비에는 [[1974년]] [[4월 3일]]에 별세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 [[제헌 국회]] 활동 == * 1948년 6월 1일 전라남도를 대표하여 전형위원으로 뽑혔다. * 1948년 6월 2일 국회기초위원 15인에 뽑혔다.[* [[장기영(1903)|장기영]],[[전진한]],[[최윤동]],[[이원홍(1903)|이원홍]],[[김약수]],[[김장열]],[[정광호(1897)|정광호]],[[김봉두]],[[배헌]],[[김명동]],[[성낙서]],정구삼,[[이유선(정치인)|이유선]],[[서정희(정치인)|서정희]],[[윤치영]]. ] * 1948년 6월 15일 '울릉도어선피습 건'을 10명의 의원들과 함께 대표발의 하였고[* [[김장열]],[[강기문]],[[김상순(1900)|김상순]],[[조영규(1913)|조영규]],이성우,[[류성갑]],[[오석주(독립운동가)|오석주]],[[조옥현(1903)|조옥현]],[[김옥주]],[[황두연(정치인)|황두연]],[[황병규]].] 상임위원회로 옮겨져 진상조사를 하기로 결정하였다. * 1948년 9월 6일 [[조병옥]]이 [[유엔 총회]]에 가는것을 찬성하였으나 가부 끝에 거부되었다. [[분류:제헌 국회의원]][[분류:완도군 출신 인물]][[분류:1899년 출생]][[분류:1974년 사망]][[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납북자]][[분류:실종된 인물]][[분류:니혼대학 출신]][[분류:동아일보 관련 인물]][[분류:조선일보 관련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