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40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분류:봉화군 출신 인물]][[분류:봉화고등학교 출신]][[분류:육군사관학교 출신]] [include(틀: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FFFFFF '''역임한 직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대한민국 합동참모차장)] ---- [include(틀:제6군단장)] ---- [include(틀:제9보병사단장)]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d0063, #10007c 20%, #10007c 80%, #0d0063)"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FFF 제10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br]{{{#fff {{{+1 김재창}}}[br]金在昌 | Kim Jea-chang}}}'''}}}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pds.joins.com/htm_20130828035110101012.jpg|width=100%]]}}} || ||<|2><#10007c> {{{#fff '''출생'''}}} ||<(> [[1940년]] [[3월 5일]] ([age(1940-03-05)]세) || ||<(> [[경상북도]] [[봉화군]] || ||<#10007c> {{{#fff '''본관'''}}} ||풍산 김씨[* 학사공파(鶴沙公派) 28세손 재(在) 항렬)] || ||<|2> {{{#fff '''복무'''}}} ||[[대한민국 육군]] || ||1962년 ~ 1994년 || ||<|4> {{{#fff '''재임기간'''}}} ||제30대 [[합동참모차장]] || ||1992년 12월 ~ 1993년 4월 || ||제10대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1993년 4월 ~ 1994년 4월 || ||<-2>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 {{{#fff '''배우자'''}}} ||강정자[* [[진주 강씨]]] || || {{{#fff '''자녀'''}}} ||슬하 2남 || || {{{#fff '''학력'''}}} ||[[봉화고등학교]] {{{-2 (졸업)}}} || || {{{#fff '''임관'''}}} ||[[육군사관학교]] {{{-2 (18기)}}} || || {{{#fff '''최종계급'''}}} ||[[대장(계급)|대장]] || || {{{#fff '''최종보직'''}}}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 || {{{#fff '''주요보직'''}}} ||[[합동참모차장]][br][[제6군단장]][br][[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작전국장[br][[제9보병사단]]장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육군]]의 [[군인]]. [[육군]][[대장(계급)|대장]]으로 [[대한민국 합동참모차장|합동참모차장]]과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을 지냈다. == 생애 == [[1940년]] [[3월 5일]] [[경상북도]] [[봉화군]]에서 태어났다. 봉화중학교, [[봉화고등학교]] 졸업 후 [[1958년]] [[육군사관학교]] 18기로 입학했고 [[1962년]]에 육군[[소위]]로 [[임관]]했다. 임관 후 [[하나회]]의 일원이 되었다. [[제9보병사단|9사단]][[사단장|장]],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작전국장, [[제6군단|6군단]][[군단장|장]],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정책실장 등을 지냈다. [[1992년]]에 [[송응섭]] 대장에 이어 두번째 대장 합참차장이 되었다. [[1990년]] 국군조직법의 개정으로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가 단순히 각 군을 조율하는 '협의' 기관에서 직접 군령권을 보유, 행사하는 '지휘' 기관으로 위상이 강화되면서 합참의 역할 변화가 요구되었고, 그 탓에 대장을 합참차장에 보임한 것. 그러나 합참차장으론 4개월 정도 밖에 근무를 못 했다. [[1993년]] [[4월]]에 당시 대통령인 [[김영삼]] 대통령이 [[하나회]] 척결로 당시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인 [[김진영(군인)|김진영]](육사 17기)이 [[전역]]조치됨에 따라 김진영 대장의 동기였던 당시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김동진(군인)|김동진]](육사 17기) 대장이 육군참모총장이 되면서 공석이 된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으로 옮겼다. 합참차장 후임자는 [[편장원]] 육군대장이었다. [[1994년]] [[4월]]에 김영삼 대통령의 하나회 숙군사업의 일환으로 전역하였다.[* 하나회를 척결한다면서 1년 전에 왜 김재창이 한미연합사 부사령관 직을 맡았냐 하면, 그냥 하나회 출신인 것을 몰랐기 때문이었다. 말이 하나회 멤버였지 관련 활동을 거의 하지 않은 탓에, 핵심 멤버를 제외하면 하나회 내부에서조차 김재창을 몰랐을 정도였다.] 전역 후에는 [[2002년]] [[미국]] [[터프츠 대학교]]의 플레처스쿨[* 외교, 국제법 분야에서 세계적인 명성을 인정받고 있는 전문대학원이다.]에서 "[[중국]]의 군사전략문화: 냉전 초기에서 1999년까지"라는 논문으로 국제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고,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에서 [[2003년]]부터 객원교수로 국제정치학 등을 가르친 바 있다. 현재 한국국방안보포럼(KODEF) 공동 대표이며, 다수의 국내외 국방 안보 관련 세미나에도 참석하는 등 현역을 떠난 후에도 군 원로로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분류:육군사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