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SSG 랜더스/간략(외야수))] ---- ||
'''{{{#ffffff 김정민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SSG 랜더스|{{{#ffffff SSG 랜더스}}}]] 등번호 65번}}}''' || || [[고효준]][br](2022) || {{{+1 →}}} || '''{{{#fff 김정민[br](2023~)}}}''' || {{{+1 →}}} || 현역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 김정민 프로필.png|width=100%]]}}} || ||<-2> '''SSG 랜더스 No.65''' || ||<-2> '''{{{+2 김정민}}}[br]Kim Jeongmin''' || ||<|2> '''출생''' ||[[2004년]] [[3월 7일]] ([age(2004-03-07)]세) || ||[[부산광역시]] || ||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대한민국]] || || '''학력''' ||[[광안초등학교|광안초]](수영구리틀) - [[경남중학교|경남중]] - [[경남고등학교 야구부|경남고]] || || '''신체''' ||180cm, 80kg || || '''포지션''' ||[[외야수]] || || '''투타''' ||[[좌투좌타]] || || '''프로입단''' ||[[KBO 리그/2023년/신인드래프트#지명 결과|2023년 3라운드]] (전체 25번, [[SSG 랜더스|SSG]]) || || '''소속팀''' ||[[SSG 랜더스]] (2023~) || || '''연봉''' ||3,000만원 (2023년) || || '''소속사''' ||[[https://instagram.com/growin_sports|[[파일:그로윈.jpg|width=50&theme=dark]]]] || || '''SNS''' ||[[https://www.instagram.com/j_m._.kkk/|[[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SSG 랜더스]] 소속 외야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정민 경남고.jpg|width=100%]] }}} || || '''경남고등학교 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남고 황금사자기 우승.jpg|width=100%]] }}} || || '''황금사자기 우승 당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8bixj9lAVJE)]}}} || || '''{{{#fff 경남고등학교 시절 활약}}}''' || 경남중 시절엔 [[투수]]였으며 팀의 에이스 역할을 맡으면서 [[김범석(야구선수)|김범석]], [[김관우(야구선수)|김관우]] 등과 함께 대통령배 우승을 거머쥐었고 우수투수상까지 수상한 경력이 있다. 이후 경남고로 진학하여 1학년에는 [[토미 존 수술]]을 받아 재활을 했다. 2학년 때부터 외야수로 전향했으며 3학년이 되는 2022년 김범석과 함께 타선을 이끌며 황금사자기 우승을 이끌었다. 김정민은 최다타점상을 수상했다. 4할이 넘는 타율로 2학년 때보다 타격이 발전했다는 평을 받고 있으며 수비는 당해 드래프트에 참여하는 [[외야수]] 중 가장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 자연스레 고교 외야수 최대어로 부상했다. 다만 이번 드래프트가 전체적으로 야수들의 풀이 아쉽다고 평가받는 만큼 최근 드래프트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던 외야수들 보단 평가가 밀리는 편. || 연도 || 소속팀 || 경기 || 타석 || 타수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도루 || 삼진 || 4구 || || 2020 ||<|3> [[경남고등학교 야구부|경남고]] || 2 || 8 || 7 || 2 || 1 || 0 || 0 || 2 || 1 || .286 || .375 || .429 || .804 || 1 || 1 || 1 || || 2021 || 23 || 106 || 81 || 25 || 7 || 4 || 2 || 20 || 24 || .306 || .462 || .568 || 1.030 || 6 || 17 || 23 || || 2022 || 24 || 115 || 101 || 37 || 10 || 1 || 1 || 25 || 24 || .366 || .439 || .515 || .954 || 6 || 12 || 13 || ||<-2> 3년 통합 || 49 || 229 || 189 || 64 || 18 || 5 || 3 || 47 || 49 || .339 || .447 || .534 || .981 || 13 || 30 || 37 || ==== [[대한민국 U-18 야구 국가대표팀/2022|대한민국 U-18 야구 국가대표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정민 한일전.jpg|width=100%]] }}} || ||<-17>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fff 5%, #1E2776 10%, #A01E20 25%, #00022e 25%)" }}} [[대한민국 U-18 야구 국가대표팀/2022|[[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로고.svg|width=7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022e 75%, #A01E20 75%, #1E2776 90%, #ffffff 95%)" }}} || || 경기 || 선발 || 타수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도루 || 삼진 || 4구 || 상세 || || 9 || 8 || 16 || 4 || 0 || 0 || 0 || 4 || 5 || .250 || .478 || .250 || .728 || 1 || 3 || 5 || [[https://www.wbsc.org/en/events/2021-u18-baseball-world-cup/teams/20455/players/188752|##]] || * '''오프닝 라운드''' 9월 11일 미국전에 9번 우익수로 선발 출장하여 3타수 1안타 1타점으로 '''팀에서 유일하게 안타'''를 기록하였다. 9월 12일 브라질전에 9번 우익수로 선발 출장하여 3타수 무안타로 침묵하였다. 9월 13일 남아공전에 7번 우익수로 선발 출장하여 1타수 무안타 1타점을 기록하였고 팀은 [[콜드 게임]]으로 승리를 거뒀다. 9월 14일 네덜란드전에 9번 우익수로 선발 출장하여 2타수 1안타를 기록하였다. 이후 같은 날 9월 14일 캐나다전에 7번 우익수로 선발 출장하여 2타수 1안타 1타점 2득점 1볼넷을 기록하며 맹활약 하였고 팀은 두 번째 [[콜드 게임]]으로 승리를 거뒀다. * '''슈퍼 라운드''' 9월 16일 [[한일전|일본전]]에 6번 우익수로 선발 출장하여 3타수 1안타 1타점 1득점으로 맹활약했고 팀은 8대 0 대승을 거두었다. 9월 17일 대만전에 6번 우익수로 선발 출장하여 2타수 무안타 1득점을 기록하였다. 9월 18일 멕시코전에 6번 우익수로 선발 출장하였고 3회말 멕시코 투수에 의해 사구를 맞았고 이로 인해 [[김동헌]]과 교체되었다. * '''동메달 결정전''' 전날 사구 여파 때문인지 선발 명단에 이름을 올리지 못하였고 이후 7회에 [[박한결(2004)|박한결]]을 대신해서 좌익수 대수비로 출장하였다. 팀은 일본에게 6대 2로 패하며 동메달을 따는 것에는 실패하였다. === [[SSG 랜더스]] === [[KBO 리그/2023년/신인드래프트|2023 KBO 신인 드래프트]]에서 전체 25순위 3라운드로 [[SSG 랜더스]]에 지명받으면서 프로 생활을 시작하게 되었다. 마무리캠프부터 [[최상민]], [[김민준(2004)|김민준]]과 함께 [[최지훈(야구선수)|최지훈]], [[박성한]]의 뒤를 이을 후계자들로 내부평가가 좋다. [[https://naver.me/GHDDvMYv|#]] ==== 2023 시즌 ==== 1군 스프링캠프 명단에 포함되어 플로리다, 오키나와에서 캠프를 보냈고 능력을 인정 받았는지 1군 시범경기에도 백업 멤버로 출전하고 있다. 3월 14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시범경기에 경기 후반 대수비로 나와 2번의 호수비를 보이며 [[김강민]]과 [[최지훈]]에 못지 않은 짐승 수비를 보였다. 4월 29일 데뷔 처음으로 1군 엔트리에 등록되었다. 등록 당일, 두산전에 8회초 [[한유섬]]의 대수비로 출장하면서 데뷔 첫 1군 출장을 하였다. 5월 4일 kt전 8회초 [[추신수]]의 대수비로 출장하였다. 8회말 데뷔 첫 타석에서 [[이선우(야구선수)|이선우]]의 2구를 쳐 내야안타를 만들어내며 데뷔 첫 안타를 기록하였다. 이후 [[최상민]]의 땅볼로 득점하며 데뷔 첫 득점을 기록하였다. 5월 8일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 7월 11일 1군 엔트리에 등록됐다. 7월 12일 두산전에 7회 [[김강민]]의 대주자로 출장하며 오랜만에 1군 경기에 나왔다. 다만, 득점하지 못했다. 9회 타석에서 대타 [[최준우]]로 교체되었다. 7월 13일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됐다. [[KBO 퓨처스 올스타전]] 출전 명단에 들었다. 9월 1일 확장 엔트리에 따라 1군에 등록됐다. 9월 1일 KIA전에 8회 대수비로 오랜만에 출장하였다. 9회 타석에서 삼진으로 물러났다. 9월 8일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됐다. == 플레이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정민 대구고전 홈런.gif|width=100%]]}}} || || '''장타를 생산해낼 수 있는 김정민의 타격'''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정민 북일고전 도루.gif|width=100%]]}}} || || '''빠른발을 이용한 김정민의 도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정민 대구고전 호수비.gif|width=100%]]}}} || || '''고교 최고로 평가 받는 김정민의 수비''' || 모범적인 [[5툴 플레이어]] 유망주로 운동신경이 좋다고 평가받으며 외야수로 전향한지 2년만에 타격에서 발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고 주력도 좋으며 무엇보다 선구안이 뛰어나서 공을 잘 보기 때문에 1번타자로 성장할 재목으로 평가 받고 있다. 허리회전과 손목 힘도 뛰어나 중장거리 교타자로도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 가장 각광받는 능력은 수비로 당해 드래프트에 나오는 외야수 중 가장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아마추어 야구를 취재하는 전상일 기자는 그 동안 봐왔던 외야수 중에서 가장 수비를 잘한다고 극찬을 했다. 중학교 시절 최고 135km/h를 기록했던 만큼 강견의 소유자이기도 하다. 이 뛰어난 수비 능력 덕에 SSG 팬들은 [[김강민]]-[[최지훈(야구선수)|최지훈]]의 짐승 계보를 이을 새로운 로나쌩 짐승이 나온 것이 아니냐며[* 심지어 선배들인 김강민과 최지훈도 3대 짐승이 될 김정민의 존재를 알고 있었다. 2022년 우승 축승회 때 김강민이 밝히기로는 [[https://youtu.be/R7eiPpqrNKU?t=898|"걔(김정민)는 얘(최지훈)가 키울거야. 나는 할배니까..."]]라고 했다.] 큰 기대를 하고 있다. 만약 김정민이 신인 시절부터 선배들의 위상을 이을 정도로 놀라운 플레이를 보여준다면 노쇠화 국면에 접어든 SSG 외야진 운용에도 상당한 숨통이 트이게 된다.[* 2023년 만 41세가 된 [[추신수]]와 [[김강민]]은 당장 은퇴를 한다고 해도 이상하지 않을 정도로 나이가 많고 [[한유섬]]도 30대 중반에 접어들었나. 1.5군 자원으로 분류되는 [[최상민]]도 있지만 상황만 놓고 보면 김정민 입장에서 충분히 경쟁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됐다고 볼 수 있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8> {{{#ffffff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 || 경기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삼진 || 출루율 || 장타율 || wRC+ || sWAR || || 2023 || [[SSG 랜더스|SSG]] || 8 || 2 || .500 || 1 || 0 || 0 || 0 || 0 || 1 || 0 || 0 || 1 || .500 || .500 || 199.3 || 0.03 || ||<-2> '''[[KBO 리그|KBO]] 통산''' [br] (1시즌) || 8 || 2 || .500 || 1 || 0 || 0 || 0 || 0 || 1 || 0 || 0 || 1 || .500 || .500 || 199.3 || 0.03 || == 여담 == * 롤모델은 [[이정후]]와 [[추신수]]라고 한다. * 어린 시절 [[쇼트트랙]]을 했다고 한다. 이후 형이 야구를 하는 모습을 보고 야구와 쇼트트랙을 병행하기 시작했고 이후 [[아버지]]의 설득으로 야구로 완전히 전향했다고 한다.[* 이후 형은 김정민을 위해 [[야구]]를 그만뒀다고 한다.] 본인이 말하길 어린 시절 쇼트트랙을 한 덕분에 하체가 남들보다 더 돋보이게 된 것 같다고 말했다. * [[최강야구]]에서 경남고 소속으로 출연하였고 이후 [[대한민국 U-18 야구 국가대표팀/2022|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으로 다시 한 번 출연하였다. 그리고 시즌 2에서 SSG 2군으로 한번 더 출연하여, 단일 선수가 상대 팀으로 가장 많이 등장한 케이스가 되었다. * 입단 동기인 [[송영진(야구선수)|송영진]]을 컨셉으로 '자기'라고 부른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2004년 출생]][[분류:2023년 데뷔]][[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남고등학교 출신]][[분류:외야수]][[분류:좌투좌타]][[분류:SSG 랜더스/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