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정후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SK 와이번스|{{{#FFFFFF SK 와이번스}}}]] 등번호 69번}}}''' || || [[문승원]][br](2012) || {{{+1 →}}} || '''{{{#FFFFFF 김경근[br](2013~2014)}}}''' || {{{+1 →}}} || [[이현석(야구선수)|이현석]][br](2015) || ||<-5> '''{{{#FFF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31번}}}''' || || [[홍성호(야구선수)|홍성호]][br](2017) || {{{+1 →}}} || '''{{{#FFFFFF 김정후[br](2018~2018.9.7.)}}}''' || {{{+1 →}}} || [[정수빈]][br](2018.9.8.~) || ||<-5> '''{{{#FFF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22번}}}''' || || [[성영훈]][br](2018~2018.9.7.) || {{{+1 →}}} || '''{{{#FFFFFF 김정후[br](2018.9.8.~2018)}}}''' || {{{+1 →}}} || [[강동연]][br](2019) || ||<-5> '''{{{#FFF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43번}}}''' || || [[손주영]][br](2017~2018) || {{{+1 →}}} || '''{{{#FFFFFF 김정후[br](2019)}}}''' || {{{+1 →}}} || [[장준원]][br](2020) || ||<-5> '''{{{#FFFFFF [[키움 히어로즈|{{{#FFFFFF 키움 히어로즈}}}]] 등번호 26번}}}''' || || [[이상민(야구선수)|이상민]][br](2018~2019) || {{{+1 →}}} || '''{{{#FFFFFF 김정후[br](2020~2021)}}}''' || {{{+1 →}}} || [[김시앙]][br](2022~)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키움 김정후 선수.jpg|width=100%]]}}} || ||<-2> '''{{{+2 김정후}}}[* 김경근에서 개명했다.][br]金正厚 | Kim Jung-Hoo''' || ||<|2> '''출생''' ||[[1988년]] [[9월 26일]] ([age(1988-09-26)]세) || ||[[서울특별시]] || || '''국적''' ||[include(틀:국기,국명=대한민국)] || || '''학력''' ||[[서울고명초등학교|고명초]] - 건대부중 - [[경동고등학교 야구부|경동고]] - [[단국대학교 야구부|단국대]] || || '''신체''' ||178cm, 95kg || || '''포지션''' ||[[외야수]] →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2013년/신인드래프트#s-3|2013년 10라운드]] (전체 87번, [[SK 와이번스|SK]]) || || '''소속팀''' ||[[SK 와이번스]] (2013~2014)[br]니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 (2017)[* [[일본]] [[독립 리그]] 팀.][br][[두산 베어스]] (2018)[br][[LG 트윈스]] (2019)[br][[키움 히어로즈]] (2020~2021) || ||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11~2012) || || '''가족''' ||[[아내]]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야구 선수. == 선수 경력 == [[대한민국 U-18 야구 국가대표팀/2006|2006년 청소년 국가대표 출신]]으로 22회 세계 청소년 야구선수권에서 우승한 이력이 있다.[* 당시 포지션은 [[포수]]였다.] 이후 [[단국대학교]]를 졸업하고 [[상무 피닉스 야구단|상무]]에 지원해 합격하여 군복무를 수행했으며, 상무에서 유난히 성적이 좋아 군복무를 마친 후에 드래프트에 참가하여 지명된 특이한 케이스다.[* 최근에는 프로선수들만으로 상무 야구단이 구성되는 경우가 상당히 많아져 프로 진출을 하지 않고서는 상무 입대가 상당히 힘들어졌다.] === [[SK 와이번스]] 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sksports.net/20130405170927.jpg|width=100%]]}}} || 2013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SK 와이번스]]의 2차 10라운드 지명을 받고 입단했다. 이 당시에는 우투우타. 2013 시즌 시범경기에서 빠른 배트 스피드와 타석에서의 적극성을 보여줘 [[이만수]] 감독이 차세대 4번 타자로써 점찍었다.[* 당시 [[이만수]] 감독은 타자에선 김정후를 포함해 [[이명기]], [[한유섬|한동민]], [[조성우]], [[박승욱]], 투수에선 [[여건욱]], [[백청훈|백인식]] 등의 유망주들을 키워 리빌딩을 하려 했다. 그리고 이 선수들 중 야수들은 조성우를 제외하면 모두 프로에 성공적으로 안착했다.] 시즌이 시작되고 열심히 하는 모습은 팬들에게 인상 깊게 남았으나 정작 공을 배트에 못 맞히는 선풍기 스윙을 보여주며 시즌 대부분을 2군에서 보냈다.[[http://m.dcinside.com/view.php?id=skwyverns&no=6515919|당시 스윙 영상]] 그리고 2014 시즌 2군 [[스프링캠프]] 청백전 도중 외야에서 슬라이딩 수비를 하다 왼쪽 어깨가 그라운드에 찍혀 [[극상근]] 손상에 연골까지 다쳤고, 탈골까지 되어 2014년을 통째로 재활군에서 보냈다. 그리고 시즌 후 방출되었다. === 이후 === 그 후 1년 간 쉬다가 [[경동고등학교 야구부|경동고]] 시절 투수코치였던 [[곽채진]] 당시 언북중 야구부 감독이 투수 전향을 권유해서[* 원래 좌타였다.] 오른쪽으로 던져 봤는데, 구속 147km/h까지 나오게 되자 에이전트를 통해 [[일본]] [[사회인 야구]]를 거쳐서 [[독립 리그]]팀인 니가타 알비렉스 베이스볼 클럽에서 활동했다. 이후 [[일본프로야구]] 진출을 시도하여 [[치바 롯데 마린즈]]의 입단 테스트를 받았지만 불합격했다.[* 정확히 말하면 나이가 많아서 일단은 불합격이되 독립 리그에서 투수로 전반기 리그를 무사히 보낸다면 합격시켜준다는 조건이 있었다. 그러나 그의 입단에 호의적이었던 [[이토 쓰토무]] 감독이 2017년 중 사임을 발표하면서 결국 입단이 무산되었다. 이토의 후임 [[이구치 타다히토]]는 선수 시절부터 이토의 팀 운영에 매우 비판적인 입장이었고, 용병을 많이 쓰는 걸 선호하지 않고 용병 쿼터를 다 채우지 않더라도 일단은 국내 선수로만 팀을 운영하는 것을 선호하는 사람이었기 때문에 이토의 지시였던 김정후의 입단을 무산시켰을 가능성이 높다.] === [[두산 베어스]] 시절 === 결국 국내 복귀를 택한 그는 2017년 말에 [[두산 베어스]]와 계약하여 2군에서 2018 시즌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3월 17일 시범경기 LG전에서 팀의 5번째 투수로 등판하여 0.2이닝 동안 볼넷 3개를 허용하며 1실점을 하고 내려갔다. 첫 타자를 아웃처리했으나 그 이후 3타자를 연속 볼넷으로 내보낸 것을 보아 제구가 조금 불안해 보인다. 4월 3일 LG전을 앞두고 시즌 첫 1군 콜업되었다. 4월 10일 삼성전 9회말 1사에 등판해 아웃카운트 두 개를 뜬공과 삼진으로 처리했다. 긴장했는지 제구는 조금 불안했지만 그래도 구위가 좋았고 특히 마지막 삼진잡는 변화구도 좋았기 때문에 기대해볼 가치는 충분히 있었던 등판. 4월 13일 넥센전에서 12점 차로 앞선 9회말 등판해 [[가비지 이닝]] 1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아냈다. 이날 공 19개를 던졌는데, 1개를 제외하고 전부 직구였다. 12점 차라는 넉넉한 점수차에도 불구하고 긴장한 표정을 하고 있다. 4월 17일 선발투수 [[유희관]]이 5이닝 5실점으로 탈탈 털린 5:2 상황에서 등판해 3이닝 무실점으로 추격조 역할을 제대로 수행해냈다. 투타가 다 죽쑤는 경기에서 유일한 소득. 5월 4일 kt전에서 1,856일 만에 타석에 복귀하였다. 상대한 투수는 [[이종혁(야구선수)|이종혁]]. 안타를 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혹시나 하는 기대감을 가지게 했으나, 결과는 이종혁의 몸쪽 높은 139km/h 직구에 헛스윙하며 7구 헛스윙 삼진. 1,856일만의 타자 복귀전이었지만 소득 없이 아쉬움을 삼켜야 했다.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108&aid=0002697769|다음 날 인터뷰]] 5월 8일 KIA전에서는 [[현도훈]]이 7실점하고 내려간 후 2.2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으며 평균자책점을 1.88까지 낮췄고 삼진도 3개를 잡았다. 그러나 5월 8일 기준 ERA와 FIP(6.06) 간의 격차가 상당히 큰 편이라는 것이 고민. 5월 22일 연장 11회에 등판했으나 피안타 이후 번트 타구를 잘 잡고도 송구 실책을 범해 무사 2,3루의 위기에 몰렸다. 결국 다음 타자에 끝내기 안타를 맞아 패전 투수가 되었다. 다음날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됐다. 2군에서 변화구를 연마하고 있다고 한다. 9월 결국 등번호 31번을 원 주인 [[정수빈]]에게 뺏겼다. 9월 중순부터는 2군 실전에도 투입되는 중. 상황에 따라 1군 재콜업도 기대해볼만 하다. 그런데 9월 27일 뜬금없이 '''[[웨이버 공시]][[http://www.osen.co.kr/article/G1110997244|되었다.]]''' 구단에서 밝힌 사유는 "팀 구성 상 활용도가 높지 않아서 길을 터 주기 위한 것" 이라고 하는데, 아무도 믿지않는 분위기. 시즌 초중반 불펜에서 나름 쏠쏠한 활약을 하였고 (17이닝 방어율 3.63), 투수 전향한 지 얼마 되지 않았음에도 빠른 구속을 보유해서 긁어볼 여지가 남은 선수를, 심지어 아직 정규 시즌 일정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내보낸 것에 대해 이해하기 힘들다는 반응이 많다. [[현도훈|후배]]를 폭행했다는 루머가 있으나 어디까지나 루머일 뿐. 웨이버 공시된 이후 일주일 동안 김정후를 데려가려고 나서는 구단은 없었고, 결국 자유계약 선수가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117&aid=0003115813|되었다고 한다.]] === [[LG 트윈스]] 시절 === 이후 스포츠투데이에 의하면 [[LG 트윈스]]의 2군 선수단에 합류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그 이후 이렇다 할 소식이 들리지 않고 있었다. 그러다가 2019년 1월 14일 LG에서 공식으로 영입을 발표했다. 처음 소식이 나온 뒤로 한 달 정도가 지나서야 공식 영입을 발표한 것이 위 문단에서 언급한 폭행 관련 루머 때문이 아닌가라는 추측이 있었으나 확실한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다. 4월 20일 키움전 9회초 시즌 첫 등판을 가졌다. 결과는 0.2이닝 1피안타 1삼진 무실점으로 1군 실전등판이 오래된 것치고는 괜찮았다. 4월 23일 KIA전에서도 등판하여 1이닝을 잘 막아주었다. 그럭저럭 괜찮은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4월 29일 1군에서 말소되었다. 2군에서는 꽤 좋은 모습이지만 7월 31일 KIA전을 마지막으로 등판이 없다가 시즌 후 방출되었다. === [[키움 히어로즈]] 시절 === [[파일:김정후.jpg]]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76&aid=0003520968|[SC인터뷰] '파란만장' 키움 김정후 "오승환 선배와의 만남, 상상만으로도 설레"]]''' [[2019년]] [[11월 26일]] [[키움 히어로즈]]와 계약을 맺으며 다시 한 번 기회를 부여받게 되었다. 일본 독립야구 시절부터 뒷바라지를 해줬던 아내와 [[12월]]에 결혼한다고 한다. 이로써 [[이성열(1984)|이성열]]에 이어 서울 3팀에서 모두 뛰어본 진기록을 갖게 되었다. 참고로, 포스트시즌에서 대활약한 [[이영준(1991)|이영준]]이 [[단국대학교 야구부|단국대학교]] 3년 후배. 따라서 이 팀에 단국대학교 출신 투수가 두 명이나 있게 되었다. [[12월 15일]]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10&aid=0000652211|결혼식을 올렸다.]] [[2020년]] [[1월 17일]] 처음으로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76&aid=0003520968|단독 인터뷰 기사]]가 떴다. 본인 말로는 예전에도 히어로즈에서 연락이 왔었는데, 본인이 못 왔다고 한다. 그 이유는 '''좋은 우완 투수들이 너무 많아서 겁이 났다고(...)'''. 초등학교 때부터 알고 지낸 매니저 덕에 결국 키움에 입단했다고 했는데, 너무도 고맙고 미안하다고, 목표는 "이 팀에서 은퇴하겠다 생각하고, 원 없이 던지고 싶다. 그 말을 책임지고 싶다."고. 해서 키움 팬들 입장에서도 [[이영준(1991)|이영준]]처럼 괜찮은 구위로 성공한 케이스가 있으니 굉장히 기대하는 중. 개막 엔트리에 들지 못한 것은 그렇다 치더라도 무슨 이유에서인지 퓨처스 리그 등판도 전혀 없다가 6월 19일에 비로소 퓨처스 첫 등판을 했다. [[7월 5일]] 수원 kt전에서 무사 만루를 만들어 놓은 [[이승호(1999)|이승호]]를 이어 등판했으나, 밀어내기 볼넷 포함해 철저하게 분식해주고 본인도 실점했다. 140km/h 중후반까지 나오는 구속이지만, 제구 불안 문제는 여전히 안 고쳐진 듯하다. 물론 무사만루에서 시즌 첫 등판을 하는 투수를 올린 [[손혁]] 감독이 문제라는 의견도 많았다. 이를 지켜보던 키움 팬들은 '''볼질하는 [[손승락]]→볼승락'''이라는 별명을 붙여줬다(...). 게다가 2군에서 9점대 ERA를 찍고 있는 투수를 것도 무사 만루에 이적 후 첫 등판을 시키는 건 도저히 납득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 결국 기사도 뜨고 말았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77&aid=0000251932|무사 만루 등판… ‘150㎞’ 김정후에게 가혹했던 키움 데뷔전]]''' 7월 7일 삼성전에서는 삼진 2개를 곁들여 1이닝을 막았으나 3안타를 얻어맞으며 1실점했다. 7월 10일 KIA전에서 1점 차로 뒤진 상황에 등판하여 3타자를 상대했으나 [[프레스턴 터커|터커]]에게 솔로 홈런을 맞고 볼넷을 내주는 등 아웃카운트를 하나밖에 잡지 못했다. ⅓이닝 1실점. 11일 KIA전에서도 ⅔이닝 동안 5타자를 상대하며 볼넷 두 개를 곁들여 1실점. 7월 5일 키움 데뷔전 이후 네 경기를 등판했는데 매 경기 꼬박꼬박 실점했다. 3이닝 동안 7안타 4볼넷을 허용하며 이닝도 전혀 먹지 못했다. 시즌 첫 등판이 다소 가혹했던 것을 감안하더라도 이 정도로 이닝 소화가 어려우면 패전처리로도 기용하기 힘들어진다. 결국 7월 12일자로 다시 2군행 통보를 받았다. 젊은 선수도 아니고 이미 30대 초반인 김정후에게는 앞으로의 전망에 먹구름이 가득 낀 셈. 그런데 시즌 후 그보다 1군 경력이 좋고 나이도 젊은 [[정대현(좌완투수)|정대현]], [[신재영]] 등이 부진으로 방출되는 와중에도 살아남았다! 1군 기록은 물론 퓨처스에서도 ERA 7점대로 좋지 않은 성적을 기록했기에 매우 의외인 부분.[* 150km/h에 육박하는 강속구를 던질 수 있다는 게 어느 정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최대성]]이나 [[김대우(1984)|김대우]]만 생각해 보더라도 150km/h를 던질 수 있다는 것 하나로 선수 생활을 길게 했으니...] 2021 시즌 개막 후 한동안 소식이 없다가 7월 2일 [[SSG 랜더스]]와의 퓨처스리그에서 2021 시즌 첫 등판을 가졌다. 팀이 1-7로 지고 있는 가운데 9회초 등판했고, 1이닝을 단 13개로 처리하며 무실점으로 막아냈다. 8월 17일 두산 2군과의 경기에서도 비록 0.1이닝 뿐이긴 했지만 삼진으로 깔끔하게 막아냈다. 10월 27일 웨이버 공시되었다. 이 때까지 시즌 1군 성적은 없고, 2군에서도 두 경기에서 겨우 1.1이닝(삼진2개, 0피출루)만 던졌을 뿐이다. 아무래도 부상이 있거나 개인적인 사정이 생긴 모양. 현역 은퇴 이후 원주중학교 야구부에서 코치 생활을 하고 있다. == 피칭 스타일 == [[파일:209095_251626_4310.jpg|width=550]] 김정후 특유의 투구폼. 본래 포수, 외야수로 뛰면서 단련된 강견으로 150km/h를 넘나드는 직구를 뿌리며, 공의 무브먼트도 상당히 좋은 편. 다만 제구에 있어서는 조금 다듬을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그래도 좋은 직구를 갖고 있어 변화구 구종만 어느 정도 잘 적응되면 [[중간계투]] 투수로 제몫을 할 가능성이 보였던 선수. [[오승환]]의 투구영상을 보고 연습하여 투구폼이 오승환처럼 역동적이다. 오승환 특유의 더듬는 동작을 제외하면 딜리버리 과정이 매우 흡사하며, 투구 후 미세하게 제자리 점프를 뛰는 동작까지 닮았다. 체격도 오승환을 연상시킬 정도로 다부지다. 다만 투구 후에 자세가 무너지는 건 영락없는 [[손승락]]이다. 타자에서 투수로 전향하기도 했고, 투구폼이 워낙에 역동적이기 때문에 [[선발 투수]]로는 부적합하다. 긴 이닝을 소화하지 못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키움 입단 후 투구폼 교정을 시도했는지, 대만과의 연습경기에서 폼이 일부 바뀐 것이 확인되었다. 이후에는 [[손승락]]처럼 아예 점프 동작을 투구폼의 일부러 승화시켜 버린 수준까진 아니게 되었다. 평균 구속은 140km/h 중후반대에 최고구속 151km/h의 포심과 스플리터, 슬라이더, 커브 등의 변화구를 던지는 것으로 보인다. 데뷔 첫 등판 당시 그립은 슬라이더인데 궤적은 커터처럼 날아가 팬들 사이에서 구종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기도 했다. 하지만 포심 이외의 구종들의 가치는 그리 좋지 못하기에 주자가 있을 때 올리면 영 좋지 않다. == 여담 == * 2018년 두산에 입단했을 당시 힘들게 돌아온 과정만큼 공 하나하나에 감성적인 반응을 보이는 편이었다. 한 구 한 구 절실하게 던지는 게 눈에 보였기 때문에 이 점이 두산 팬들 사이에서는 호감으로 보인다는 의견이 많았다. 다들 "이런 선수가 잘 돼야 한다"며 진심으로 투수로서 잘 되길 기원했다. 덕분에 언론의 조명도 많이 받았다.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459&aid=0000000306|[홍기자의 알콩달콩 인터뷰] 투수 변신 대성공, 김정후의 네버엔딩 스토리 <1>]],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459&aid=0000000307|[홍기자의 알콩달콩 인터뷰] 투수변신 대성공, 김정후의 네버엔딩 스토리 <2>]] 또한 야구를 대하는 태도가 진지하고 절실하여 두산 팬들 뿐만 아니라 타 팀 팬들도 김정후를 진심으로 응원하기도 했다. * 득점 주자가 들어올 때마다 덕아웃에서 신나게 ‘깝’을 보여주는 장면이 자주 보이는데다, 눈웃음이 매력적이라 팬들 사이에서 귀요미로 등극했다. * [[두산 베어스 갤러리]] 등의 야구 커뮤니티에서 '김코시'라고 불렸다. [[김태형(1967)|김태형]] 감독이 [[2018년]] [[4월 10일]] 김정후가 경기를 끝낸 후 포효하던 모습을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396&aid=0000477136|"한국시리즈에서 우승한 줄 알았다"]]고 얘기한 것에서 비롯되었다. * 원래 좌타였다가 상기한 2014년 2군 스캠에서 슬라이딩 캐치 도중에 부상을 입었고, 방출 후 은사인 곽채진 언북중 감독을 찾아갔는데, 곽채진 감독이 "오른쪽이 남아있지 않냐"면서 피칭을 해보라고 했고, 몸을 안 만들었는데도 140㎞/h 중반대의 구속이 나오면서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76&aid=0003520968|투수로 전향했다고 한다.]] * 서울연고 3팀에서 모두 뛰었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7>
{{{#FFFFFF 역대 타자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출장}}}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볼넷}}} || {{{#FFFFFF 삼진}}} || {{{#FFFFFF 출루율}}} || {{{#FFFFFF 장타율}}} || {{{#FFFFFF wRC+}}} || || 2013 ||<|2> [[SK 와이번스|SK]] || 5 || 4 || .000 || 0 || 0 || 0 || 0 || 0 || 0 || 0 || 0 || 2 || .000 || .000 || -131.4 || || 2014 ||<-15> 1군 기록 없음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출장}}}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볼넷}}} || {{{#FFFFFF 삼진}}} || {{{#FFFFFF 출루율}}} || {{{#FFFFFF 장타율}}} || {{{#FFFFFF wRC+}}} || || 2018 || [[두산 베어스|두산]] || 2 || 1 || .000 || 0 || 0 || 0 || 0 || 0 || 0 || 0 || 0 || 1 || .000 || .000 || - || ||<-2> '''[[KBO 리그|KBO]] 통산''' [br] (2시즌) || 7 || 5 || .000 || 0 || 0 || 0 || 0 || 0 || 0 || 0 || 0 || 3 || .000 || .000 || -122.8 || ||<-18>
{{{#FFFFFF 역대 투수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출장}}}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볼넷}}} || {{{#FFFFFF 탈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 2018 || [[두산 베어스|두산]] || 13 || 17⅓ || 0 || 1 || 0 || 0 || 0.000 || 3.63 || 139.1 || 12 || 3 || 12 || 12 || 8 || 7 || 1.39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출장}}}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볼넷}}} || {{{#FFFFFF 탈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 2019 || [[LG 트윈스|LG]] || 2 || 1⅔ || 0 || 0 || 0 || 0 || - || 0.00 || - || 1 || 0 || 1 || 1 || 0 || 0 || 1.20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출장}}}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볼넷}}} || {{{#FFFFFF 탈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 2020 ||<|2> [[키움 히어로즈|키움]] || 4 || 3 || 0 || 0 || 0 || 0 || - || 12.00 || 39.2 || 7 || 1 || 4 || 3 || 4 || 4 || 3.67 || || 2021 ||<-16> 1군 기록 없음 || ||<-2> '''[[KBO 리그|KBO]] 통산''' [br] (2시즌) || 19 || 22 || 0 || 1 || 0 || 0 || 0.000 || 4.50 || 102.3 || 20 || 4 || 17 || 16 || 12 || 11 || 1.68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88년 출생]][[분류:2013년 데뷔]][[분류:2021년 은퇴]][[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건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중학교 출신]][[분류:경동고등학교 출신]][[분류:단국대학교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외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상무 피닉스 야구단/전역]][[분류:SK 와이번스-SSG 랜더스/은퇴, 이적]][[분류:OB-두산 베어스/은퇴, 이적]][[분류:MBC 청룡-LG 트윈스/은퇴, 이적]][[분류:우리-서울-넥센-키움 히어로즈/은퇴, 이적]][[분류:개명한 인물]][[분류:투수로 전향한 야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