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일제강점기 교육가이자 기업가, rd1=김종익(1886), other2=동명의 메가스터디 윤리 강사, rd2=김종익(강사))] [include(틀:김종필)] [[파일:external/tv.pstatic.net/yonhapnews_33950975.jpg|width=150]] 金鍾翊 [[1918년]] [[6월 27일]] ~ [[2000년]] [[2월 20일]] (향년 81세)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며 [[김종필]]의 둘째형이다. 본관은 [[김해 김씨|김해]](金海)[* 안경공파 22세 종(鍾) 항렬.]. == 생애 == 1918년 6월 27일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태어났다. [[배재고등학교]], [[한양대학교]] 법정대학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을 수료하였다. 이후 삼원농산주식회사 [[이사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5.16 군사정변]]으로 동생 김종필이 승승장구하자 대한학교체육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1968년 김종필이 국민복지회 사건, 6.8 항명 파동에 따른 책임을 지고 돌연 지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직과 [[민주공화당]] 당의장직을 사퇴하였다. 이에 1968년 9월 24일 [[재보궐선거]]가 치러지게 되었는데 김종익이 민주공화당 후보로 충청남도 부여군 [[선거구]]에 공천을 받아 출마하였고 당선되었다. 이후 한국경제문제회장을 역임했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민주공화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참고로 해당 선거에서 김종필은 [[전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충청남도 부여군-[[보령시|보령군]]-[[서천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신민당(1967년)|신민당]] [[김옥선]]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해당 선거구를 당시 [[유신정우회]] 제2기 국회의원인 김종필에게 다시 넘겨주게 되었다. 그리고 자신은 유신정우회 제3기 국회의원에 임명되지 못하였다. [[10.26 사건]] 이후 정치 일선에서 은퇴하였다. 촌수 상 나이가 불과 1살 밖에 차이가 안 나는 [[박정희]]의 조카뻘이 되는데 관계설명을 하자면 다소 골때린다. [[김종필|동생]]의 [[박상희|장인어른]]의 동생(처삼촌)이 박정희다. == 선거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68 || [[1968년 재보궐선거]] (충청남도 부여군) ||<|3> '''[include(틀:민주공화당)]''' || '''36,142표 (43.47%)''' || '''당선 (1위)''' || '''초선''' || || 1971 ||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부여군) || '''41,804표 (66.84%)''' || '''당선 (1위)''' || '''재선''' || || 1973 || [[제9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부여군-[[보령시|보령군]]-[[서천군]]) || '''67,248표 (39.13%)''' || '''당선 (2위)'''[* [[신민당(1967년)|신민당]] [[김옥선]] 후보와 동반 당선] || '''3선'''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7대 국회의원/충청남도)] [include(틀:제8대 국회의원/충청남도)] [include(틀:제9대 국회의원/충청남도)]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종익, version=13)] [[분류:부여군 출신 인물]][[분류:김해 김씨 안경공파]][[분류:1918년 출생]][[분류:2000년 사망]][[분류:제7대 국회의원]][[분류:제8대 국회의원]][[분류:제9대 국회의원]][[분류:민주공화당(1963년) 국회의원]][[분류:배재고등학교 출신]][[분류:한양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