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라클라스)]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주택.jpg|width=100%]]}}} || || '''이름''' ||김주택 (Julian Kim) || || '''생년월일''' ||[[1986년]] [[9월 9일]] ([age(1986-09-09)]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가족''' ||부모님, 누나[* 누나의 결혼식에서 부른 축가가 유튜브 상에서 굉장히 큰 화제가 되기도 했었다. [[https://youtu.be/qV5AeksUcNs]]], 배우자[* 배우자는 [[대한민국]] [[법조인]]으로 알려져 있다.]^^(2020년 ~)^^ || || '''종교''' ||[[개신교]] || || '''신체''' ||178cm, [[O형]] || || '''학력''' ||[[양영중학교]] {{{-2 (졸업)}}}[br][[선화예술고등학교]] {{{-2 (성악과 / 졸업)}}}[br][[이탈리아]] [[밀라노 베르디 국립음악원]] {{{-2 ([[학사]] · [[석사]][* 심사위원 만장일치의 최고점수로 졸업.])}}} || || '''데뷔''' ||[[2009년]] 오페라 '[[세비야의 이발사]]'[* 피가로 역으로 데뷔했다고 한다.] || || '''소속그룹''' ||[[미라클라스|[[파일:미라클라스 로고 new.png|width=40]]]] || || '''소속사''' ||팀 : 라이브러리컴퍼니[* 구 We Classic(위클래식)이며 사명이 2022.05에 변경되었다.] {{{-2 (2022.07.01 ~)}}}[br]개인 : 라이브러리컴퍼니 {{{-2 (2021.08.30 ~)}}}[br]{{{#!folding [ 이전 소속사 ] 아트앤아티스트[* 팀•개인 소속사 모두 전담했다.]}}}|| || '''MBTI''' ||[[ESFJ]] || || '''별명''' ||캡틴집, '''아학학 자판기'''[* 저스트 텐미닛 영상 하나만 봐도 김주택 웃음 소리가 고막을 강탈한다.], 너굴 교수[* 인스타 라이브로 가끔 강의를 해주는데 그 모습이 교수님 같고 [[너굴|이 양반]]과 닮아서다.], 집, 미화골[* 미라클라스의 화려한 골반 줄임말로 저스트 텐미닛에서 얻은 별명이다.], 잠자는 숲속의 공주, 세오스바[* '''세'''계적인 '''오'''페라'''스'''타 '''바'''리톤의 줄임말.], 김집사, 비닐하우스, 이태리 그분, 티라노, 푸들푸들, 유비, 킹주택[* [[미라클라스]] 멤버들이 [[팬텀싱어 올스타전]]에서 솔로 대표전에 출전한 리더형에게 응원하면서 지어준 별명.], 주택바가지[* [[팬텀싱어 올스타전]]에서 지어진 별명이며 자매품으로 [[조민규|규책바가지]], [[유채훈|유책바가지]]가 있다.],집팬텀, 집유령|| || '''링크''' ||[[https://www.youtube.com/channel/UCzSzh1pNCpy62P-n9K25Es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https://www.instagram.com/jt_julian_kim|[[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https://cafe.naver.com/kjtforza|[[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 힘과 세기를 겸비한 동양의 카푸칠리. >세계 성악계가 주목한 최고의 바리톤. > 안녕하세요. 이태리 직수입 바리톤 김주택입니다.[* 이에 심사위원들은 직수입이 아니라 역수입 아니냐고 반문. 이미 이탈리아에서 뛰어난 기량을 펼치고 있던 김주택의 존재감이 제대로 드러났던 부분이었다. 성악을 전공했던 참가자들은 김주택을 알아보고 인사했었다고.] > - [[팬텀싱어 2]]에서 자신을 소개한 멘트. > 빌라 아니고 아파트 아니고 김주택입니다. > - [[복면가왕]]에서 자신을 소개한 멘트 [[대한민국]]의 [[성악가]]. [[팬텀싱어 2]]에서 '준우승'을 차지한 크로스오버 그룹 [[미라클라스]]의 리더. 성부는 바리톤이다. == 활동 == [[2009년]], 이탈리아 예지 페르골레지 극장에서 《세비야의 이발사》에서 이발사 피가로 역으로 데뷔. 나폴리 산 카를로 극장, 피렌체 극장, 베네치아 라 페니체 극장을 비롯하여 이탈리아 현지에서 《라 트라비아타》, 《피가로의 결혼》, 《나비 부인》,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사랑의 묘약》, 《세비야의 이발사》, 《시몬 보카네그라》, 《청교도》,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라 보엠》, 《잔 다르크》 등 여러 오페라에 주역으로 출연했으며, 다수의 오케스트라 협연, 콘서트 연주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 [[팬텀싱어 2]] 출연 == || '''{{{#fff 단계}}}''' || '''{{{#fff 곡명}}}''' || '''{{{#fff 팀명}}}''' || '''{{{#fff 구성원}}}''' || '''{{{#fff 영상}}}''' || || 예선 || '''Tristezza''' || || || [[http://naver.me/xYgFO0hh|[[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1:1 대결 || '''L'ultima Notte''' || || 김주택, [[안현준(아나운서)|안현준]] || [[http://naver.me/xMPeYtfg|[[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듀엣 || '''꽃 피는 날''' || || 김주택, [[배두훈]] || [[http://naver.me/FVeV8Weh|[[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트리오 || '''Il Guerriero Buono''' || La Potenza || 김주택, 조휘, 권성준 || [[http://naver.me/Fs9DKYd8|[[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2> 쿼텟 || '''Tornera l'amore''' || 새벽 넷이 || 김주택, [[박강현]], 염정제, [[최우혁(배우)|최우혁]] || [[http://naver.me/x0pxEefy|[[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꽃''' || 정동택시 || 김주택, 시메 코스타, 염정제, [[김동현(1986)|김동현]] || [[http://naver.me/xSOBYbJG|[[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2> 결승 1차전 || '''Notte''' ||<|4> [[미라클라스]] ||<|4> 김주택, [[박강현]], [[정필립]], [[한태인]] || [[https://tv.naver.com/v/2220562|[[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Forsaken''' ||<-3> [[https://tv.naver.com/v/2220701|[[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2> 결승 2차전 || '''Who Wants To Live Forever''' ||<-3> [[https://tv.naver.com/v/2248255|[[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Feelings''' ||<-3> [[https://tv.naver.com/v/2248401|[[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0]]]] || == [[팬텀싱어 올스타전]] == || '''{{{#fff 단계}}}''' || '''{{{#fff 곡명}}}''' || '''{{{#fff 팀명}}}''' || '''{{{#fff 구성원}}}''' || '''{{{#fff 영상}}}''' || || 9팀 총출동전 || '''Mai''' ||<|2> [[미라클라스]] ||<|2> 김주택, [[박강현]], [[정필립]], [[한태인]] || [[https://www.youtube.com/watch?v=cU4ye2WHqm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팀 지목전 || '''늘 그대''' || [[https://www.youtube.com/watch?v=728tqnJ6kK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솔로 대표전 || '''Perdere L'Amore''' || || 김주택 || [[https://www.youtube.com/watch?v=ryKYtIkjXs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시즌 대항전 || '''Rosalina''' || 톰과 제리 || 김주택, [[조민규]] || [[https://www.youtube.com/watch?v=KHjkuEmxAW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장르전 || '''벚꽃연가''' ||<|3> [[미라클라스]] ||<|3> 김주택, [[박강현]], [[정필립]], [[한태인]] || [[https://www.youtube.com/watch?v=hk04Hvzb-6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올스타 가요대전 || '''데칼코마니''' || [[https://www.youtube.com/watch?v=g7a1mIdd7G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귀호강 끝판왕전 || '''I'll See You Again''' || [[https://www.youtube.com/watch?v=OdGdvSr5WL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팬텀싱어 프렌즈 || '''Senza Luce''' || 뫼비우스 || [[이동신]], 김주택, [[고은성]], [[유슬기]] || [[https://www.youtube.com/watch?v=LERrNwHyo2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미라클라스]] == 남성 4중창 크로스오버 그룹 [[미라클라스]]의 바리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미라클라스)] == [[김주택/음반 목록|음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주택/음반 목록)] == 수상 경력 == ||
'''연도''' || '''상''' || || 2002 ||전국학생음악콩쿠르 1위|| ||<|3> 2003||음악춘추콩쿠르 1위|| ||국립오페라단 전국고등학생성악콩쿠르 대상|| ||(재)이대웅음악장학회 한국성악콩쿠르 대상|| || 2004 ||신영옥 콩쿠르 1위|| || 2005 ||줄리에타 시미오나토 국제성악콩쿠르 2위|| ||<|4> 2007 ||테발디 국제성악콩쿠르 신인 기대주 특별상|| ||야마하 국제콩쿠르 1위|| ||깜폴리에또 국제성악콩쿠르 1위|| ||서울국제음악콩쿠르 4위|| || 2009 ||마그다 올리베로 국제성악콩쿠르 2위|| || 2011 ||비냐스 국제성악콩쿠르 3위|| ||<|5> 2012 ||좌친또 쁘란델리 국제성악콩쿠르 2위|| ||마리아 카닐리아 국제성악콩쿠르 2위|| ||베르디 국제성악콩쿠르 2위|| ||비오티 국제음악콩쿠르 성악 2위|| ||프랑스 툴루즈 국제성악콩쿠르 1위|| || 2013 ||서울국제음악콩쿠르 2위|| || 2015 ||예술의전당 예술대상 신인예술가상|| == 공연 == * 미라클라스로서의 활동은 [[미라클라스]] 문서 참고. === 오페라 === || {{{#ffffff '''연도'''}}} || {{{#ffffff '''날짜'''}}} || {{{#ffffff '''제목'''}}} || {{{#ffffff '''장소'''}}} || {{{#ffffff '''비고'''}}} || ||<|1> 2009년 || 11월 13일 || '''[[세비야의 이발사]]'''[*데뷔작] || Teatro Pergolesi di Jesi, Italy || 피가로 역 || ||<|4> 2010년 || || 라 트라비아타 || 나폴리 산 카를로 극장 || 듀폴 남작 역 || || ||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 비제바노 카그노니 극장 || 알피오 역 || || || 나비부인 || 예지 페르골레지 극장 || 샤플레스 역 || || || 사랑의 묘약 || 예지 페르골레지 극장 || 벨코레 역 || ||<|3> 2011년 || 4월 7 ~ 10일 || [[시몬 보카네그라#s-2|시몬 보카네그라]] ||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 파울로 알비아니 역 || || 5월 19 ~ 22일 || 사랑의 묘약 ||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 벨코레 역 || || || 사랑의 묘약 || 예지 페르골레지 극장 || 벨코레 역 || ||<|4> 2012년 || || 라 보엠 || 베이징 중국국가대극원 || 쇼나르 역 || || 10월 3 ~ 7일 || 청교도 || 예지 페르골레지 극장 || 리카르도 역 || || 11월 23 ~ 25일 ||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 예지 페르골레지 극장 || 엔리코 역 || || 12월 22 ~ 23일 || 국립오페라단 창단50주년 라 보엠 ||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 쇼나르 역 || ||<|6> 2013년 || 1월 12 ~ 13일 ||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 Revenna, Italy || 엔리코 역 || || 2월 7 ~ 20일 || 라 보엠 || Teatro la Fenice, Venecia, Italy || 마르첼로 역 || || 7월 23일 ~ 8월 3일 || [[조반나 다르코]][* [[잔 다르크]] 관련 오페라.] || 이탈리아 마르티나 프랑스 오페라 페스티벌 || 자코모 역 || || 10월 18 ~ 20일 || 사랑의 묘약 || 크레모나 폰키엘라 극장 || 벨코레 역 || || 11월 15 ~ 21일 || 사랑의 묘약 || 피렌체 시립 극장 || 벨코레 역 || || 12월 5 ~ 8일 || 국립오페라단 라보엠 ||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 마르첼로 역 || ||<|7> 2014년 || 1월 11 ~ 21일 || 사랑의 묘약 || Como, Italy || 벨코레 역 || || 1월 19 ~ 20일 || 사랑의 묘약 || 파비아 프라스키니 || 벨코레 역 || || 2월 6 ~ 13일 || 나비부인 || 피렌체 시립 극장 || 샤플레스 역 || || 2월 20일 ~ 3월 20일 || 세비야의 이발사 || Teatro La Fenice, Venecia, Italy || 피가로 역 || || 4월 19일 ~ 5월 30일 || 라 보엠 || Teatro La Fenice, Venecia, Italy || 마르첼로 역 || || 7월 14일 ~ 8월 9일 || 라 보엠 || 로마 카라칼라 욕장 || 마르첼로 역 || || 11월 22일 ~ 12월 6일 || [[시몬 보카네그라#s-2|시몬 보카네그라]] || Teatro La Fenice, Venecia, Italy || 파울로 역 || ||<|7> 2015년 || 1월 28일 ~ 2월 10일 || 청교도 || 피렌체 시립극장 || 리카르도 역 || || 3월 15 ~ 17일 || 사랑의 묘약 || 모데나 시립극장 || 벨코레 역 || || 3월 21 ~ 31일 || 사랑의 묘약 || 파르마 레지오 극장 || 벨코레 역 || || ||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 페루 리마 국립대극장 || 엔리코 역 || || 7월 8일 ~ 9월 6일 || [[세비야의 이발사]] || Teatro del Maggio, Firenze, Italy || 피가로 역 || || 7월 25일 ~ 8월 7일 || 라 보엠 || Teatro Dell' Opera. Terme di Caracalla a Roma, Italy || 마르첼로 역 || || 11월 6 ~ 17일 || 라 보엠 || 바리 페트루첼리 극장 || 쇼나르/마르첼로 역[* 1st 쇼나르 역과 2nd 마르첼로 역을 맡았다고 한다] || ||<|9> 2016년 || 2월 11 ~ 21일 || 세비야의 이발사 || 로마 국립극장 || 피가로 역 || || 5월 5 ~ 15일 || [[세비야의 이발사]] || Teatro Comunale Bologna, Italy || 피가로 역 || || 5월 7일 ~ 6월 7일 || 세비야의 이발사 || Teatro La Fenice, Venecia, Italy || 피가로 역 || || 6월 23일 ~ 7월 27일 || 세비야의 이발사 || 피렌체 시립극장 || 피가로 역 || || 8월 31일 || 시몬 보카네그라 || 롯데콘서트홀, 라 스칼라 오케스트라 & 합창단, 콘서트형식 || 파울로 알비아니 역 || || 9월 20 ~ 22일 || 오페라 콜라주 〈카사노바 길들이기〉 || 예술의전당 CJ 토월극장 || 준 역 || || 10월 20 ~ 24일 || [[피델리오]] || Auditorium Parco della Musica di Roma, Rome, Italy ||Don Fernando 역 || || 11월 17 ~ 27일 || 라 보엠 || 피렌체 시립극장 || 마르첼로 역 || || 12월 9 ~ 17일 || 아틸라 || Teatro la Fenice, Italy || 에치오 역 || ||<|4> 2017년 || 2월 16일 ~ 3월 2일 || 라 보엠 || Teatro La Fenice, Venecia, Italy || 마르첼로 역 || || 4월 19 ~ 23일 || 라 트라비아타 || Gran Teatro Nacional, Lima, Peru (페루 리마 국립대극장) || 제르몽 역 || || 5월 23일 ~ 6월 6일 || 세비야의 이발사 || Teatro La Fenice, Venecia, Italy || 피가로 역 || || 12월 2일 || 오페라 콘체르탄테: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 롯데콘서트홀 || 엔리코 역 || ||<|6> 2018년 || 3월 16 ~ 25일 || 라보엠 || Teatro La Fenice, Venecia, Italy || 마르첼로 역 || || 4월 13 ~ 19일 || 청교도 || Teatro Masimo di Palermo, Italy || 리카르도 역 || || 6월 24일 ~ 7월 1일 || 오페라 콜라주 〈카사노바 길들이기〉 || 여의도 KBS홀 || 준 역 || || 5월 5일 ~ 6월 1일 || 라 트라비아타 || Teatro La Fenice, Italy || 제르몽 역 || || 8월 19일 ~ 10월 30일 || 세비야의 이발사 || Teatro La Fenice, Venecia, Italy || 피가로 역 || || 11월 13 ~ 24일 || 사랑의 묘약 || Teatro Regio Torino, Italy || 벨코레 역 || ||<|3> 2019년 || 3월 22 ~ 30일 || 세비야의 이발사 || Teatro Regido di Parma, Italy || 피가로 역 || || 8월 24일 ~ 10월 9일 || 세비야의 이발사 || Teatro La Fenice, Venecia, Italy || 피가로 역 || || 11월 24일 ~ 12월 7일 || 돈 카를로 || Teatro La Fenice, Venecia, Italy || 로드리고 역 || ||<|1> 2020년 || 2월 15 ~ 25일 || 사랑의 묘약 || Teatro La Fenice, Venecia, Italy || 벨코레 역 || === 콘서트 === || {{{#ffffff '''연도'''}}} || {{{#ffffff '''날짜'''}}} || {{{#ffffff '''제목'''}}} || {{{#ffffff '''장소'''}}} || {{{#ffffff '''비고'''}}} || || 2011년 || 3월 23일 || 드림 액츄얼리 || 마포아트센터 아트홀 맥 || || ||<|2> 2013년 || 8월 15일 || 서울시립교향악단 광복68주년 기념음악회 ||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 || || 8월 20 ~ 21일 || 베르디...나의 오페라 ||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 || ||<|2> 2015년 || 8월 15일 || 수박 프로젝트 - 김주택 양제경 뷰티풀 보이스 || 꿈의숲아트센터 콘서트홀 || || || 12월 5일 || 사무엘 윤과 유럽 오페라 스타즈 - 대구 || 대구 오페라하우스 || || || 2016년 || 3월 14일 || 2016 CBS아름다운열정 〈벨 칸토〉 ||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 || ||<|3> 2018년 || 1월 7일 || 오페라 카니발 - 대구 || 대구콘서트하우스 그랜드홀 || || || 1월 12일 || 오페라 카니발 || 롯데콘서트홀 || || || 1월 21일 || 바리톤 김주택의 하우스 콘서트 || 금호아트홀 연세 || || ||<|4> 2019년 || 1월 10일 || 소프라노 황수미의 ||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 || || 5월 19일 || 카사노바 길들이기 갈라 콘서트 ||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 준 역 || || 6월 13일 || 바리톤 김주택과 함께 하는 나눔음악회 || 고양아람누리 아람음악당 || || || 7월 28일 || 바리톤 김주택 오페라 토크콘서트 || 영산아트홀 || || ||<|3> 2020년 || 7월 11일 || 오페라 카니발 2020 ||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 || || 8월 14일 || 오페라 카니발 2020 앙코르 || 롯데콘서트홀 || || || 11월 17일 || 오페라 패션 || 롯데콘서트홀 || || ||<|13> 2021년 || 4월 11일 || 오페라 스타 || 롯데콘서트홀 || || || 5월 13일 || 위드 콘서트, 하트하트재단 || 연세대학교 백주년기념관 || || || 5월 14 ~ 15일 || 팬텀 스페셜 & 오케스트라 ||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 || || 7월 3일 || 오페라 카니발 2021 〈고풍의 아리아〉 || 롯데콘서트홀 || || || 7월 10일 ~ 11일 || 팬텀 카니발 2021: Beyond Crossover || 롯데콘서트홀 || || || 9월 9일 || 힘내라 전라북도 울리자 전북의 소리 || 전주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모악당 || 군산&전주 시립교향악단 || || 10월 8일 || 영화 속 음악 아마데우스 || 롯데콘서트홀 || || || 11월 13일 || 대구 세계 합창 축제 || 대구 오페라하우스 || || || 11월 21일 || 제주도민과 함께하는 열린음악회 || 서귀포 예술의전당 || 제14회 제주해비치아트페스티벌 전야제 || || 12월 3일 || 해설이 있는 오페라 갈라콘서트 || 부산문화회관 대극장 || || || 12월 9일 || 김주택과 함께하는 여민락 콘서트 || 세종 예술의전당 || || || 12월 25 ~ 26일 || 2021 크리스마스 콘서트 || 대전 예술의전당 || || || 12월 31일 || 헐리우드 영화음악 콘서트 || 부산 드림시어터 || || ||<|32> 2022년 || 1월 1일 || 헐리우드 영화음악 콘서트 || 부산 드림시어터 || || || 2월 11일 || 코리아쿱오케스트라 칸타타 레볼루션 III || 부산 금정문화회관 금빛누리홀 || || || 2월 15일 || 코리아쿱오케스트라 칸타타 레볼루션 III || 천안 예술의전당 || || || 2월 16일 || 코리아쿱오케스트라 칸타타 레볼루션 III ||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 || || 2월 18일 || 극동방송 신년 음악회 || 극동방송 아트홀 || || || 2월 20일 || TV예술무대 골든콘서트 프렌즈 || 상암MBC 골든마우스홀 || || || 2월 22일 || 방방곡곡 페스타 || 하남문화예술회관 || || || 3월 24일 || 팬텀 & 퀸 The Magic || 순천문화예술회관 대극장 || || || 3월 27일 || 김주택 정태양의 오페라오페라 콘서트 || 성남아트센터 || || || 4월 24일 || 김주택 손태진 존노 어쩌다 페스티벌 in 대구 || 영남대학교 천마아트센터 그랜드홀 || || || 4월 30일 || 원더랜드 페스티벌 2022 || 올림픽공원 88잔디마당 || || || 5월 1일 || 박정현 김주택 어쩌다 페스티벌 in 부산 || 부산 KBS홀 || || || 5월 8일 || 김주택 손태진 존노 어쩌다 페스티벌 in 울산 || 울산문화예술회관 대극장 || || || 5월 25일 || 2022 예술의전당 아티스트 라운지 || 예술의전당 IBK챔버홀 || || || 6월 22일 || The Magic 팬텀 앤 퀸 || 한울원자력본부 홍보관 대강당 || || || 7월 19일 || 위드콘서트 || 마포아트센터 아트홀맥 || || || 8월 27일 || 정서진 피크닉 클래식 2022 오프닝 콘서트 || 인천서구문화회관 || || || 9월 17일 || The Magic 팬텀 앤 퀸 || 창원 성산아트홀 대극장 || || || 10월 2일 || 김주택 정태양의 오페라오페라 콘서트 ||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 || || 10월 7일 || The Magic 팬텀 앤 퀸 || 연천 수레아트홀 대공연장 || || || 10월 15일 || The Magic 팬텀 앤 퀸 || 과천 시민회관 대극장 || || || 10월 16일 || 경주 국제뮤직페스티벌 || 월정교 특설무대 || || || 11월 3일 || 오페라 갈라랜드 || 제주 KBS홀 || || || 11월 13일 || 김주택 정태양의 오페라오페라 콘서트 || 예술의전당 IBK챔버홀 || || || 11월 19일 || The Magic 팬텀 앤 퀸 || 대구 달서아트센터 청룡홀 || || || 12월 3일 || 앤리오 모리꼬네 영화음악 콘서트 || 성남아트센터 콘서트홀 || || || 12월 7일 || KBS교향악단 충주 송년음악회 || 충주문화회관 || || || 12월 8일 || 광주극동방송 개국10주년 기념 감사음악회 || 광주순복음교회 || || || 12월 9일 || KBS교향악단 초청 송년음악회 || 평택 남부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 || || 12월 15일 || MUSIC IN THE DARK DA CAPO || 창녕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 한빛예술단 협연 || || 12월 24일 || 크리스마스 콘서트 FAVORITE THINGS || 대구콘서트하우스 그랜드홀 || || || 12월 25일 || 라이브러리 컴퍼니 자선음악회 || 세종문화회관 S씨어터 || || ||<|4> 2023년 || 1월 13일 || 강북문화재단 신년음악회 || 강북진달래홀 || 한빛예술단 협연 || || 1월 14일 || 2023 신년음악회 The Magic 팬텀 앤 퀸 || 아산 경찰인재개발원 차일혁홀 || || || 4월 15일 || 라이브러리 더 크로스오버 콘서트 || 롯테콘서트홀 || || || 7월 6일 || The Magic 팬텀 앤 퀸 || 논산아트센터 대공연장 || || === 리사이틀 === || {{{#ffffff '''연도'''}}} || {{{#ffffff '''날짜'''}}} || {{{#ffffff '''제목'''}}} || {{{#ffffff '''장소'''}}} || {{{#ffffff '''비고'''}}} || || 2015년 || 5월 31일 || 바리톤 김주택 리사이틀 || 예술의전당 IBK챔버홀 || || ||<|3> 2019년 || 1월 4일 || 바리톤 김주택 리사이틀 || 예술의전당 IBK챔버홀 || || || 6월 9일 || 바리톤 김주택 리사이틀 <이탈리아나> || LG아트센터 || || || 8월 9일 || 바리톤 김주택 리사이틀 <이탈리아나> - 부산 || 부산문화회관 중극장 || || || 2021년 || 11월 27일 || 바리톤 김주택 뮤직라이브러리 ACT 1 The Classic || 롯데콘서트홀 || || ||<|2> 2022년 || 5월 22일 ||바리톤 김주택 뮤직라이브러리 ACT 2 La Vocal ||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 || || 7월 9일 || 바리톤 김주택 뮤직라이브러리 ACT 3 Crossover || 연세대 백주년기념관 콘서트홀 || || === 뮤지컬 === || {{{#ffffff '''연도'''}}} || {{{#ffffff '''날짜'''}}} || {{{#ffffff '''제목'''}}} || {{{#ffffff '''배역'''}}} || {{{#ffffff '''장소'''}}} || {{{#ffffff '''비고'''}}} || ||<|2> 2023년 || 3월 30일 ~ 6월 18일 ||<|2> [[오페라의 유령(뮤지컬)|오페라의 유령]] ||<|2> 팬텀 || [[드림씨어터]] ||<|2> [* 뮤지컬 데뷔] || || 7월 14일 ~ 11월 17일 || [[샤롯데씨어터]] || == 팬사인회 및 팬미팅 == || {{{#ffffff '''연도'''}}} || {{{#ffffff '''날짜'''}}} || {{{#ffffff '''장소'''}}} || {{{#ffffff '''비고'''}}} || ||<|2> 2019년 || 5월 19일 ||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로비 || 오페라 카사노바 길들이기 갈라콘서트 기념 || || 6월 9일 || LG 아트센터 로비 || 정규 1집 <이탈리아나> 발매기념 || ||<|1> 2021년 || 8월 29일 || 백암아트홀 || Upfly[* 김주택이 직접 기획, 주최하여 준비함] || == 방송 활동 == * 미라클라스로서의 활동은 [[미라클라스]] 문서 참고. === TV === || {{{#ffffff '''연도'''}}} || {{{#ffffff '''방송날짜'''}}} || {{{#ffffff '''방송사'''}}} || {{{#ffffff '''제목'''}}} || {{{#ffffff '''비고'''}}} || || 2013년 || 9월 4일 || [[KBS 1TV|[[파일:KBS 1TV 로고.svg|width=40]]]] || 클래식 오디세이 || || || 2019년 || 6월 30일 || [[KBS 1TV|[[파일:KBS 1TV 로고.svg|width=40]]]] || [[열린음악회]] || 크로스오버 특집 || || 2019년 || 7월 13일 || [[MBC|[[파일:MBC 로고.svg|width=40]]]] || TV예술무대 || 328회 바리톤 김주택의 이탈리아나 || || 2021년 || 6월 20일 || [[KBS 1TV|[[파일:KBS 1TV 로고.svg|width=40]]]] || [[열린음악회]] || 아침이슬 50년 트리뷰트[* [[손태진]], [[김현수(성악가)|김현수]]와 출연.] || || 2022년 || 3월 16일 || [[MBC|[[파일:MBC 로고.svg|width=40]]]] || TV예술무대 || 465회 바리톤 김주택 특집 || || 2022년 || 5월 10일 || [[C채널|[[파일:C채널 CI.svg|width=40]]]] || 힐링토크 회복 || [[https://youtu.be/1IQzTjvnLdc|579회]] || || 2022년 || 5월 22일 ||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차이나는 클라스 || 243회 || || 2022년 || 6월 21일 ~ 7월 6일 || [[EBS|[[파일:EBS 로고.svg|width=40]]]] || CLASS E || 김주택의 오페라 오디세이 [[https://ebr.ebs.co.kr/classe/detail/427514/40009039|#]] || || 2022년 || 8월 28일 || [[KBS 1TV|[[파일:KBS 1TV 로고.svg|width=40]]]] || [[열린음악회]] || || || 2022년 || 12월 4일 || [[KBS 1TV|[[파일:KBS 1TV 로고.svg|width=40]]]] || 오페라 갈라랜드 || || === 라디오 === || {{{#ffffff '''연도'''}}} || {{{#ffffff '''방송날짜'''}}} || {{{#ffffff '''방송사'''}}} || {{{#ffffff '''제목'''}}} || {{{#ffffff '''비고'''}}} || || 2018년 || 6월 20일 || [[KBS 1FM|[[파일:logo-classicfm.png|width=60]]]] || KBS 음악실 || [* 수요 라이브 초대석 : 오페라콜라주 카사노바 길들이기] || || 2019년 || 1월 7일 || [[KBS 1FM|[[파일:logo-classicfm.png|width=60]]]] || KBS 음악실 || [* 월간 오페라 : Don Pasquale (돈파스콸레)] || ||<|3> 2020년 || 4월 8일 || [[EBS FM|[[파일:EBS FM 로고.svg|width=40]]]] || 이승열의 세계음악기행 || [* <세음행 라운지> 라이브 코너] || || 6월 24일 || [[KBS 1FM|[[파일:logo-classicfm.png|width=60]]]] || KBS 음악실 || || || 8월 3 ~ 9일 || [[KBS 1FM|[[파일:logo-classicfm.png|width=60]]]] || KBS 음악실 || [* 스페셜 디제이] || ||<|2> 2021년 || 5월 31일 || [[EBS FM|[[파일:EBS FM 로고.svg|width=40]]]] || 이승열의 세계음악기행 || [* <세음행 라운지> 뮤지션 초대석 코너] || || 11월 19일 || TBSFM || 신장식의 신장개업 || [* <문화미식회>] || ||<|1> 2022년 || 5월 3일 || MBC라디오 || 정선희, 문천식의 지금은 라디오시대 || || ||<|1> 2023년 || 1월 8일 || TBSeFM || 손태진의 스윗랑데뷰 스윗라운지 || || === 인터넷 방송 === 2021년 5월 14일 첫방송을 시작하였다. 2021년 10월 10일부터 [[팟빵]] 서비스를 종료했다. 현재는 EBS 구독서비스 <오디오E지식>을 통해 청취할 수 있다[[https://5easy.ebs.co.kr/aujisik/detail/412026#none|#]] || {{{#ffffff '''화수'''}}} || {{{#ffffff '''업로드[br]일자'''}}} || {{{#ffffff '''작품'''}}} || {{{#ffffff '''게스트'''}}} || {{{#ffffff '''링크'''}}} || ||<-5> '''김주택 정태양의 오페라 오페라 시즌 1''' || || 01 || || [[사랑의 묘약#s-2|사랑의 묘약 (L'Elisir d'Amore)]] || - || [[https://www.podbbang.com/channels/1780869/episodes/24043552|#]] || || 02 || || [[리골레토|리골레토 (Rigoletto)]] ||<|2> [[라포엠]][br][[유채훈]] || [[http://podbbang.com/ch/1780869?e=24049355|#]] || || 03 || || [[라 트라비아타|라 트라비아타 (La Traviata)]] || [[http://podbbang.com/ch/1780869?e=24055614|#]] || || 04 || || [[세비야의 이발사|세비야의 이발사 (Il Barbiere di Siviglia)]][* 스페인의 도시 '''[[세비야]]를 배경으로''' 하는 오페라. '''세빌리야'''는 스페인어로 명백히 틀린 발음이고, '''세비야의 이발사'''가 정확한 표현이다.] ||<|2> [[https://instagram.com/sopranojuju?utm_medium=copy_link|소프라노 김효주]] || [[https://www.podbbang.com/channels/1780869/episodes/24062029|#]] || || 05 || || [[가에타노 도니체티|돈 파스콸레 (Don Pasquale)]] || [[https://www.podbbang.com/channels/1780869/episodes/24068148|#]] || || 06 || || 라 보엠 (La Bohème) ||<|2> [[듀에토]] || [[http://podbbang.com/ch/1780869?e=24074533|#]] || || 07 || || [[토스카|토스카 (Tosca)]] || [[https://www.podbbang.com/channels/1780869/episodes/24080279|#]] || || 08 || || [[청교도(오페라)|청교도 (I Puritani)]] || - || [[http://podbbang.com/ch/1780869?e=24087461|#]] || || 09 || || [[피가로의 결혼#s-2|피가로의 결혼(Le nozze di Figaro)]] - 1 ||<|2> [[레떼아모르]][br][[길병민]] || [[http://podbbang.com/ch/1780869?e=24093320|#]] || || 10 || || [[피가로의 결혼#s-2|피가로의 결혼(Le nozze di Figaro)]] - 2 || [[http://podbbang.com/ch/1780869?e=24102569|#]] || ||<-5> '''김주택 정태양의 오페라 오페라 시즌 2''' || || 11 || || [[돈 카를로스(베르디 오페라)|돈 카를로(Don Carlo)]] ||<|2> [[레떼아모르]][br][[김민석(성악가)|김민석]] || [[http://podbbang.com/ch/1780869?e=24122979|#]] || || 12 || || [[로미오와 줄리엣#s-8.7|로미오와 줄리엣(Roméo et Juliette)]] || [[https://podbbang.com/channels/1780869/episodes/24128759|#]] || || 13 || || [[시몬 보카네그라#s-2|시몬 보카네그라(Simon Boccanegra)]] - 1 ||<|2> 안단테[br][[구본수]] || [[http://podbbang.com/ch/1780869?e=24134506|#]] || || 14 || || [[시몬 보카네그라#s-2|시몬 보카네그라(Simon Boccanegra)]] - 2 || [[http://podbbang.com/ch/1780869?e=24140355|#]] || || 15 || || [[돈 조반니|돈 조반니(Don Giovanni)]] - 1 ||<|2> [[에델 라인클랑]][br][[안세권]], [[김동현(1986)|김동현]] || [[http://podbbang.com/ch/1780869?e=2414605|#2]] || || 16 || || [[돈 조반니|돈 조반니(Don Giovanni)]] - 2 || [[http://podbbang.com/ch/1780869?e=24152406|#]] || || 17 || || [[카르멘#s-2|카르멘]] - 1 ||<|3> [[https://instagram.com/sopranojungwonchoi?utm_medium=copy_link|소프라노 최정원]] &[br]안단테[br]윤서준 || [[https://podbbang.com/channels/1780869/episodes/24158749|#]] || || 18 || || [[카르멘#s-2|카르멘]] - 2 || [[https://podbbang.com/channels/1780869/episodes/24164107|#]] || || 19 || || [[카르멘#s-2|카르멘]] - 3 || [[https://podbbang.com/channels/1780869/episodes/24170074|#]] || || 20 ||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오페라#s-2.3.3|코지 판 투테]] - 1 ||<|3> [[라비던스]][br][[존노]] || [[https://5easy.ebs.co.kr/aujisik/detail/412026#none|#]] || || 21 ||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오페라#s-2.3.3|코지 판 투테]] - 2 || [[https://5easy.ebs.co.kr/aujisik/detail/412026#none|#]] || || 22 ||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오페라#s-2.3.3|코지 판 투테]] - 3 || [[https://5easy.ebs.co.kr/aujisik/detail/412026#none|#]] || || 23 || || [[루치아(오페라)|람메르무어의 루치아]] - 1 ||<|3> 테너 최원휘 &[br]소프라노 박소영 || [[https://5easy.ebs.co.kr/aujisik/detail/412026#none|#]] || || 24 || || [[루치아(오페라)|람메르무어의 루치아]] - 2 || [[https://5easy.ebs.co.kr/aujisik/detail/412026#none|#]] || || 25 || || [[루치아(오페라)|람메르무어의 루치아]] -3 || [[https://5easy.ebs.co.kr/aujisik/detail/412026#none|#]] || || 26 || || [[파우스트(희곡)|파우스트]] - 1 ||<|2> 테너 정호윤 &[br]소프라노 서선영 || [[https://5easy.ebs.co.kr/aujisik/detail/412026#none|#]] || || 27 || || [[파우스트(희곡)|파우스트]] - 2 || [[https://5easy.ebs.co.kr/aujisik/detail/412026#none|#]] || || 28 || || [[마술피리|마술피리(Die Zauberflöte)]] - 1 ||<|3> 테너 박회림 &[br]안단테[br]안동영 || [[https://5easy.ebs.co.kr/aujisik/detail/412026#none|#]] || || 29 || || [[마술피리|마술피리(Die Zauberflöte)]] - 2 || || || 30 || || [[마술피리|마술피리(Die Zauberflöte)]] - 3 || || || 31 || || [[아틸라#s-5|아틸라(Attila)]][* [[주세페 베르디]]의 오페라] - 1 ||<|3> [[레떼아모르]][br][[길병민]] || [[https://5easy.ebs.co.kr/aujisik/detail/412026#none|#]] || || 32 || || [[아틸라#s-5|아틸라(Attila)]] - 2 || || || 33 || || [[아틸라#s-5|아틸라(Attila)]] - 3 || || || 34 || || [[가면무도회#s-3|가면무도회(Un Ballo in Maschera)]][* [[주세페 베르디]]의 오페라] - 1 ||<|3> 소프라노 서선영 & 바리톤 김기훈 || [[https://5easy.ebs.co.kr/aujisik/detail/412026#none|#]] || || 35 || || [[가면무도회#s-3|가면무도회(Un Ballo in Maschera)]] - 2 || || || 36 || || [[가면무도회#s-3|가면무도회(Un Ballo in Maschera)]] - 3 || || || 37 || || [[맥베스(베르디 오페라)|맥베스]] - 1 ||<|3> 안단테[br][[구본수]] || [[https://5easy.ebs.co.kr/aujisik/detail/412026#none|#]] || || 38 || || [[맥베스(베르디 오페라)|맥베스]] - 2 || || || 39 || || [[맥베스(베르디 오페라)|맥베스]] - 3 || || || 40 || || 운명의 힘[* [[주세페 베르디]]의 오페라] - 1 ||<|3> 소프라노 홍주영 & [[듀에토]] [[유슬기]] || [[https://5easy.ebs.co.kr/aujisik/detail/412026#none|#]] || || 41 || || 운명의 힘 - 2 || || || 42 || || 운명의 힘 - 3 || || || 43 || || 진주조개잡이 - 1 ||<|2> 테너 박승주 || [[https://5easy.ebs.co.kr/aujisik/detail/412026#none|#]] || || 44 || || 진주조개잡이 - 2 || || || 45 || || 나부코 - 1 ||<|3> [[레떼아모르]][br][[길병민]] || [[https://5easy.ebs.co.kr/aujisik/detail/412026#none|#]] || || 46 || || 나부코 - 2 || || || 47 || || 나부코 - 3 || || || 48 || ||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 1 ||<|2> [[미라클라스]][br][[정필립]] || [[https://5easy.ebs.co.kr/aujisik/detail/412026#none|#]] || || 49 || ||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 2 || || || 50 || || [[일 트로바토레]] - 1 ||<|3> 소프라노 홍주영 || [[https://5easy.ebs.co.kr/aujisik/detail/412026#none|#]] || || 51 || || [[일 트로바토레]] - 2 || || || 52 || || [[일 트로바토레]] - 3 || || || 53 || || 폴리우토 - 1 ||<|2> || [[https://5easy.ebs.co.kr/aujisik/detail/412026#none|#]] || || 54 || || 폴리우토 - 2 || || || 55 || || [[팔리아치]] - 1 ||<|2> 테너 [[유슬기]] || [[https://5easy.ebs.co.kr/aujisik/detail/412026#none|#]] || || 56 || || [[팔리아치]] - 2 || || || 57 || || 리날도 - 1 ||<|2> 카운터테너 [[최성훈(성악가)|최성훈]] || [[https://5easy.ebs.co.kr/aujisik/detail/412026#none|#]] || || 58 || || 리날도 - 2 || || || 59 || || [[나비부인]] - 1 ||<|3> 소프라노 한지혜, 테너 박회림 || [[https://5easy.ebs.co.kr/aujisik/detail/412026#none|#]] || || 60 || || [[나비부인]] - 2 || || || 61 || || [[나비부인]] - 3 || || || 62 || || 몽유병의 여인 - 1 ||<|2> 소프라노 김유미, 베이스 구본수 || [[https://5easy.ebs.co.kr/aujisik/detail/412026#none|#]] || || 63 || || 몽유병의 여인 - 2 || || ===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RIpnA2S8AI, width=100%, height=33.3%)]}}}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LWrQF8zOPc, width=100%, height=33.3%)]}}} || || '''{{{#white {{{-3 ▲ 시간을 거슬러}}}}}}''' || '''{{{#white {{{-3 ▲ 그래서 그대는}}}}}}''' ||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161~165차 경연#s-5|복면가왕 327, 328]]회에 [[백 번 싸워도 백 번 이기는 노래 실력! 백전무패]]라는 가명으로 참가해서 3라운드에 진출하며 준우승 했다. [[최성봉|상대]]의 논란 때문에 1라운드 무대가 아예 통편집 되는 바람에 그의 팬들은 그가 나온 줄도 모르고 있다가 일주일 뒤에 뒤늦게 알게 되었다. 1라운드 곡은 순정마초 였으며 팬들은 김주택이 부른 부분만이라도 따로 편집해서 올려주면 안되냐고 요청을 했었다. 328회 방송 자료 화면에서 이 곡을 부른 장면이 잠시 스쳐 지나갔기만 했을 뿐 여전히 올라오지 않고 있다. 그 이후에 미라클라스 콘서트에서 순정마초를 솔로 버전으로 커버하면서 팬들의 아쉬움을 달래 주었다.[[https://www.youtube.com/watch?v=oZMuUiebBno&feature=emb_title|#]] 3라운드에서 얀의 노래를 선곡하면서 한 때 꿈꿨던 록발라드 가수의 꿈을 이룬 것 같다고 밝혔으며 곧 열릴 독창회 홍보를 했다. 가면을 벗은 뒤에는 자신의 오페라 데뷔작인 [[세비야의 이발사]]의 곡인 Largo al factotum 을 무반주로 열창한 후에 멋있게 퇴장했다. ||<-7> '''{{{#white 백 번 싸워도 백 번 이기는 노래 실력! 백전무패}}}''' || || '''{{{#ffffff EP.}}}''' || '''{{{#ffffff 방송 날짜}}}''' || '''{{{#ffffff 곡명}}}''' || '''{{{#ffffff 원곡자}}}''' || '''{{{#ffffff VS.}}}''' || '''{{{#ffffff 득표수}}}''' || '''{{{#ffffff 환산}}}''' || || '''163-1''' || 2021년 10월 17일 || [[서해안 고속도로 가요제#s-4.1|순정마초]] || [[서해안 고속도로 가요제#s-4.1|파리돼지앵]] || [[백발백중(복면가왕)|백발백중]] || '''{{{#orange ?}}}''' || '''{{{#orange ?}}}''' || || '''163-2''' ||<|2> 2021년 10월 24일 || [[시간을 거슬러]] || [[린(가수)|린]] || [[163대 가왕? 그게 바로 내 운명! 운명 교향곡]] || '''{{{#lime 11}}}''' || '''{{{#lime 52}}}''' || || '''163-3''' || [[그래서 그대는]] || [[얀(가수)|얀]] || [[복면가왕에서 재주 부리고 가왕석 지킬게요! 곰발바닥]] || 4 || 19 || == 여담 == * 별명은 김집, 캡틴집, 지비 등이 있다. 이름이 주택인 것을 이용한 언어유희. 번외편으로 김궁궐, 김베버리힐즈도 있다. 그 밖에 다른 별명들로는 세오스바[* '''세'''계적인 '''오'''페라'''스'''타 '''바'''리톤의 줄임말.], 김집사, 비닐하우스, 이태리 그분, 티라노, 푸들푸들, 유비, 킹주택[* [[미라클라스]] 멤버들이 [[팬텀싱어 올스타전]]에서 솔로 대표전에 출전한 리더형에게 응원하면서 지어준 별명.], 너굴교수님 등이 있다. 저스트 텐미닛에선 웃음 소리 때문에 아학학 자판기라는 새로운 별명을 획득했다. * 굉장히 성격이 좋다. 포용력도 좋고 딱히 크게 화내는 적도 없어 그야말로 리더로서 제격이다. 어린 시절 아버지로부터 화가 날 때는 소리를 낮추고 작게 말하라는 가르침을 받았다고. * 진지해보이는 첫인상과 다르게 반전미가 있는 성격이다. 웃음항마력이 매우 낮고 미칠 듯한 비글미의 소유자로서 특유의 유머로 동료들을 웃기게 만들기도 하며, 스스로 망가지는 모습에 거리낌이 없고 약간의 빙구미도 있는 편. 같은 [[미라클라스]] 멤버 [[정필립]]에 따르면, '''알면 알수록 바보같다고'''. 사람이 그리워 오디션 프로그램에 지원했다는 그의 말에 답변이라도 하는 듯, [[미라클라스]] 동생들과 굉장히 유쾌한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 기억력이 좋은 편이다. 2년도 넘은 전국투어 장소 순서를 지금도 순서대로 줄줄 말할 수 있으며 심지어는 콘서트 끝나고 먹은 음식까지 기억해서 멤버들을 놀라게 만들었다. * [[팬텀싱어 2]] 예선 심사위원 오디션에서 [[포레스텔라]]의 [[강형호]], [[에델 라인클랑]]의 [[김동현(1986)|김동현]]과 같은 죽음의 조[* 11명 중 무려 10명이 합격을 받았다고 한다.]였다. 당시 일반인이었던 [[강형호]]의 오디션을 보며 입모양으로 '잘 한다.' 라고 말하는 모습이 카메라에 포착되었다. * 유독 [[팬텀싱어 2]]에서 승률이 별로 안좋았다. 2:2 듀엣 무대에서 부터 승리를 거둔적이 없었다. 그래도 뛰어난 실력을 바탕으로 추가합격을 하여서 결승에 진출하였고, [[팬텀싱어 올스타전]]에서는 거의 웬만한 대결에서 전부 MVP를 거둬 일종의 설욕(?)을 했다. * [[팬텀싱어 3]] 공식울보 [[길병민]] 이전에 먼저 '''[[팬텀싱어 2]] 공식울보 타이틀을 달았던''' 사람. MC [[전현무]]가 직접 언급했다. * 자신에 뒤를 이어 [[팬텀싱어 3]]에 출연했던 [[길병민]]과 [[평행이론]]처럼 공통점이 많다. 두 사람 모두 해외에서 이름이 알려져 있는 성악가이지만 '[[팬텀싱어]]' 라는 오디션에 참가한 점, 같은 저음파트[* 차이점은 김주택은 '''명백한 [[바리톤]]'''이지만 곡에 따라서 종종 고음도 커버하는 하이바리톤이고, [[길병민]]은 베이스바리톤으로 곡에 따라 저음파트 기준으로 다른 성부로 소개하는 듯.], 같은 서울출신, 같은 예고 출신, 자기애가 넘치는 점, 열정맨 성격, 같은 콩쿨 우승자 출신, 알고 보면 무진장 울보라서 각각의 시즌에서 공식울보 타이틀을 달았다. * [[팬텀싱어 3]] 우승팀 [[라포엠]]의 리더 [[유채훈]]과 친분이 있다. 2015년도에 열렸던 김주택의 리사이틀 무대에 게스트로 유채훈이 참여한 적 있으며 김주택의 누나 결혼식 때 축가를 부르기도 했다. 꽤나 오래 전부터 알고 지낸 사이인 듯. 무려 [[유채훈]]의 개명 전 이름 [[https://www.instagram.com/p/CPDhX6ppidt/?utm_medium=copy_link|유다빈을 알고 있다.]] 후에 [[팬텀싱어 올스타전]]에 함께 출연하게 되면서 [[https://www.instagram.com/p/CL3SzHepoK-/?igshid=zz9ac1twsvrn|자신들의 추억을 소환하는 발언을 했다.]] * [[흉스프레소]]의 리더 베이스바리톤 [[권서경]]과는 이탈리아에서 같이 공부한 사이라고 한다. [[팬텀싱어 올스타전]]에서 4차전 중 3번째 듀엣무대에 참여했던 [[권서경]]을 보고 만감이 교차하는 듯한 표정과 함께, [[권서경]]을 위해 눈물을 흘린 건 덤. * 30년 쯤 후에는 지휘자가 되고 싶다고 한다. 지휘자 [[정명훈(지휘자)|정명훈]]과 함께 공연을 많이 하면서 개인적으로도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스튜디오를 차리면서 지휘봉을 구입했다.~~ * [[팬텀싱어 2]] 출연을 결정하던 당시, 주위의 반대가 아주 심했고 특히나 성악을 전공하셨던 어머니의 반대가 굉장히 심했는데 정통 클래식의 길만 걷길 원하셨던 이유에서였다고. ~~갈등이 정말 심했던 것 같다. 방송 당시 이 얘기를 하면서 눈물을 글썽이기도 했으며, 이후에 다른 방송에서도 주위의 반대가 심했냐는 질문을 받으면 굉장히 강한 긍정의 표현을 하는걸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팬텀싱어 2에 신청했던 이유는 클래식이라는 장르가 좀 더 대중들에게 친숙해지는 계기가 되었으면 해서 였다고 한다. 다행히도 지금은 전혀 갈등이 없다. 결승전 때는 직접 찾아오셔서 멤버들을 모두 따뜻하게 안아주셨다. * [[포레스텔라]] 리더 [[조민규]]에게 [[츤데레]]적인 애정을 가지고 있다. [[팬텀싱어 2]] 4중창 경연을 위한 팀 결성 당시 [[조민규]]가 속해 있는 트레피톤에 영입되고 싶다고 손을 들었으나 거절당했고, 마지막까지 같은 팀으로 노래하는 일 없이 라이벌로서 자리잡았으며 결승전에서 조민규와 포레스텔라를 이기지 못하고 [[팬텀싱어 2]]를 마무리한다. 그리고 4년이 지난 [[팬텀싱어 올스타전|올스타전]]에서 [[미라클라스]]의 리더로서 예고편에 [[조민규]]에게 '''[[https://youtu.be/MZJEjY057MI?t=16s|"4년 동안 칼을 갈았다."]]''' 는 재밌는 멘트를 날리기도 했으며, 끝내 [[팬텀싱어 올스타전]] 1회전에서 [[미라클라스]]가 팬텀싱어 9팀 중 전체 우승을 차지하고 4회전에서 조민규와 듀엣으로 노래해 승리를 거두면서 유종의 미--대화합의 장--를 거두게 되었다. --꿈☆은 이루어진다!-- * 2020년 6월 개인 스튜디오를 오픈했다. 작업실 겸 연습실 겸 레슨실로 이용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름은 JK Studio. * 2020년 8월 8일 결혼하여 미라클라스 멤버들 중 유일한 유부남이 되었다. 원래는 3월에 식을 올릴 예정이었으나 [[코로나 19]]로 인해 한 차례 연기되었다. [[미라클라스]] 멤버들이 [[팬텀싱어 2]] 결승전 마지막 곡이었던 'Feelings'를 축가로 불렀다. 1절까진 멤버 셋이서 부르다가 2절 시작 부분부터 정필립이 김주택을 무대로 데리고 와서 완전체로 부르는 훈훈한 광경이 펼쳐졌다. [[https://youtu.be/jXB9KV8xU3k|영상]] * 초등학생 때 육상 선수였다고 한다. * 한 때 락발라드 가수를 꿈꿨었다고 한다. 그래서 3라운드 곡이 [[얀(가수)|얀]]의 '그래서 그대를'이였다. * 인생 영화로 [[러셀 크로우]] 주연의 [[신데렐라 맨]]을 뽑았다. * [[박강현]]이 김주택을 모르고 있었을 때, 팬텀싱어 2 예선에서 다들 김주택을 알아보고 인사하자 유명한 바리톤인 걸 몰라서 [[마피아]]인 줄 알았다고 한다. * 2023년 3월 16일, 소속사 유튜브 채널을 통해 나무위키 본인 문서 팩트체크 인터뷰가 올라왔다. 해당 영상에 따르면 평소 나무위키에서 본인 문서를 자주 검색해 본다고 밝혔다. [* [[https://youtu.be/X_k6Dq9GHRs?t=32s|출처]] 언급되며, 채널명은 현 소속사의 이전 사명인 '위클래식'으로 되어 있다.]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오페라의 유령 역대 배우)] [[분류:한국의 성악가]][[분류:바리톤]][[분류:미라클라스]][[분류:1986년 출생]][[분류:2009년 데뷔]][[분류:선화예술고등학교 출신]][[분류:음악 그룹/리더]][[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 신자]][[분류:팬텀싱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