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해당 이름을 가진 동명이인, rd1=김준영)] ||<-5> [[성균관대학교|[[파일:external/www.timeshighereducation.com/sungkyunkwan-university-skku-_logo.png|width=35px]]]] {{{+1 '''{{{#003875,#8ac2fe [[성균관대학교|{{{#8dc73f,#86c038 학교법인 성균관대학}}}]] {{{#8dc73f,#86c038 이사장}}}}}}'''}}} || || 12대[br][[서정돈]] || → || '''13대(현재)[br][[김준영(교수)|김준영]]''' || → || || [include(틀:역대 성균관대학교 총장)] ||<-2> {{{#!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0E995 0%, #C1DA68 10%, #9FC73B 20%, #6cb545 50%, #9FC73B 80%, #C1DA68 90%, #E0E995 100%)" {{{+3 {{{#ffffff '''김준영'''}}}[b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준영교수.jpg|width=50%]]}}} || || '''출생''' ||<(> 1951년 9월 25일[br][[경상북도]] [[상주시]] || || '''학력''' ||상주경동고등학교 {{{-2 (졸업)}}}[br][[성균관대학교]] {{{-2 (경제학 / 학사)}}}[br][[미네소타 대학교]] {{{-2 (경제학 / 박사)}}} || || '''약력''' ||제14회 행정고등고시 합격[br]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및 전 총장[br][[경제·인문사회연구회]] 전 이사장[br]학교법인 성균관대학교 제13대 이사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거시경제학자. 새고전학파 경제학자로 [[로버트 루카스 주니어|루카스]]와 사전트의 제자로 알려졌다. == 내용 == === 학창시절 및 관료시절 === 상주에서 태어나 상주 경동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에 입학했다. 서울대학교 [[이준구(교수)|이준구]] 교수도 언급한 적이 있지만 당시 우리나라 경제학 교육은 대학교를 불문하고 지금과 비교하면 많이 뒤떨어졌다고 한다. Samuelson 경제학 원론이 기껏해야 있었는데 그가 입학한 시절 Hicks - Hansen이 막 IS-LM모형을 만들어서 주목받기 시작한 시절이였다고 한다. 그는 외국우편으로[* 지금과 달리 시간과 돈이 더 들었던 시절이다] 거시경제학책을 사서 IS-LM모형을 접하고 감탄을 금치 못했다고 한다. 이후 재학 중 제14회 행정고등고시를 합격해 경제기획원[* 지금의 기획재정부]에서 근무하다가 미네소타 대학교로 국비유학을 가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돌아왔다.[* 스승 루카스와 사전트 모두 당시에는 [[시카고 대학교]]에 있기 전이였다. 당시 회상에 따르면 [[로버트 루카스 주니어]]는 뭘 알려줘도 시원시원하게 알려주기보다 생각할 여지를 많이 줬고 담배도 많이 피우는 골초라고 했는 반면 토마스 사전트는 시원시원하게 잘 알려주고 했다고 한다] === 평교수 시절 === 박사학위를 따고 처음에는 관료생활을 이어나가면서 모교 강사로 출강하다가 성균관대학교 조교수로 임용되면서 관료를 그만두었다. 그 뒤 부교수, 정교수를 역임하였다. 전공은 거시재정 쪽으로 금융전공인 [[김경수(교수)|김경수]] 교수와 거시 양김으로 알려졌다. 강의력도 뛰어나고 학점도 그리짜지 않아[* 다만 마냥 잘 주는건 아니었다고. 성적 하위 15%에겐 반드시 F학점을 주며, 최고 학점인 A+는 딱 5%만 주되 이를 포함한 A학점도 F와 마찬가지로 15% 비율이 되게끔 한다고 한다] 거시경제학의 경우 수강신청으로 김준영 교수의 수업을 듣고 청강으로 김경수 교수의 수업을 듣는다거나 김경수 교수의 수업을 한번 듣고 학점을 꼬라박은 후[* 수업은 좋았지만 그놈의 학점이...] 재수강으로 김준영 교수의 수업을 듣는 경우로 나뉘었다.[* [[장선구]] 강사는 전자였다고 한다] -- 물론 그냥 수업 하나 들은 사람들도 많았다 -- 강의를 들은 사람 모두 실력이 월등했다는 평이 많았다고 한다. 재정학의 경우 그 전에는 제대로 가르칠만한 교수가 없었으나 김준영 교수가 오고나서 재정학 교육의 체계가 잡혔다고 한다. [[안종범]] 교수는 그 뒤에 온 교수[* 둘이 선후배 관계이기도 하고 정견도 비슷하다.]이며 그가 교무처장을 할 때부터 재정학 강의는 못할 때까지는 안종범과 재정학의 양 축이였다. 교수 재직 중 [[하버드 대학교]] 객원 교수 경험도 있다고 한다. === 보직교수 부총장 및 총장시절 === 교무처장, 인사캠퍼스 부총장을 지냈고 [[서정돈]] 총장의 후임으로 총장을 지냈다. 총장시절에도 1년의 한 학기에 전공과목 거시경제학은 꼭 수업을 했다고 한다. === 이후 === 총장 퇴임 직후 제20대 총선에서 상주시에 [[새누리당]] 공천을 받으려했으나 도중에 그만두었다. 이후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으로 있다가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교체되었다. 지금은 제13대 학교법인 성균관대학교 이사장에 있다. 임기는 2023년까지. 역대 둘째 재직대학 교수 출신이자 총장 출신 이사장이며 첫 자교출신 이사장이다. == 저서 == * 거시경제학 : 법문사에서 출간되는 책으로 4판까지 나왔다. 본인은 새고전학파임에도 학부 시절 IS-LM에 감명을 먹어서 그런지 케인즈학파 내용도 충실히 소개한다. 틀이 맨큐의 거시경제학과 비슷하다는 평도 있다.[* 공교롭게도 [[맨큐]] 자신도 새케인즈학파인데 책 내용에 고전학파 내용도 균형잡힌 시각에서 소개하고 있다] 가독성은 나쁘지 않은 편이다. 책이 처음 나왔을 때 각 학파별 소개가 잘 되어있으며, 거시재정파트와 새케인즈학파의 이력가설 등을 잘 소개하였다고 한다.[* [[황종휴]] 강사가 합격하던 때에 당시 이 책 개정판에서 그 내용들이 처음으로 나왔다는데 그 부분이 신기해서 법문서점에서 쓱 보고 정리해뒀다고 한다. 마침 시험에 그대로 나와버려서 대박을 맞게 되었다. 황종휴 강사는 수업 시간때마다 이 책 때문에 합격했다고 종종 언급한다] 내용적으로 비슷한 성격의 책이 [[안국신]] 교수의 책인데 그 책보다 수식을 덜 복잡하게 써서 초심자도 읽기 나쁘지 않다. 다만 새고전학파의 원래 이야기가 조금은 [[조하현]] 교수나 이우헌 교수의 책에 비해서 아쉽기는 하다.[* RAS-RAD모형은 그 책에서 소개하지 않으며 실물경기변동이론을 IS-LM모형의 가정을 바꿔서 풀어놓는 식으로 소개하는데 이는 안국신 교수의 책도 그러하다] 그리고 마지막 판이 2011년에 나와서 내용이 좀 부족할 수 있다. == 여담 == * 거시재정 전공자는 요즘에는 흔치 않은데 그의 전공까지 완전히 이어받은 제자로 이준상 교수가 있으며 그도 모교 교수로 있다. * 남동생이 서울대학교 경제학부에서 계량경제학을 강의, 연구하는 김재영 교수이다. [[분류:1951년 출생]][[분류:성균관대학교 출신]][[분류:성균관대학교 재직]][[분류:사립대학 총장]][[분류:상주시 출신 인물]][[분류:5급 공개경쟁채용시험 출신]][[분류:한국의 경제학자]][[분류:상경계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