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Liiv SANDBOX/카트라이더: 드리프트)] ---- || {{{#000000 '''김지민 관련 틀'''}}} || ||<^|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background: #fcfcfc,#1f2023" ---- [include(틀:카트라이더 리그/역대 팀전 우승)]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 KDL_JiMin.png|width=75%]]}}} || ||<-2> '''Liiv SANDBOX[br]{{{+1 JiMin}}}''' || ||<-2> '''김지민 (金知民[* 2023년 1월 13일 개인방송에서 밝혔으며, 알 지(知)에 백성 민(民)을 쓴다.] | Kim Ji-min)''' || ||<|2> '''출생''' ||[[2002년]] [[4월 18일]] ([age(2002-04-18)]세)[* [[말띠]]와 [[양자리]]다. ] || ||[[경기도]] [[화성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신체''' ||167cm[*추정 168의 [[유창현]]보다는 작다.] || || '''가족''' ||[[부모님]], [[남동생]][* 2019 시즌 1 당시 김지민을 소개할 때 부모님이 응원하러 온 장면이 카메라에 잡혔는데 부모님과 한 남학생이 같이 있었던 것을 보아 김지민의 남동생일 가능성이 높다.] || || '''학력''' ||[[향남중학교]] {{{-2 (졸업)}}}[br][[향일고등학교]] {{{-2 (졸업)}}} || || '''병역''' ||미필 || || '''종교''' ||[[무종교]] || || '''MBTI''' ||[[ISTP]] || || '''ID''' ||'''JīMīn''' || || '''포지션''' ||HYBRID {{{#!folding [ 포지션 변천사 ] ITEM ACE / SWEEPER → HYBRID}}} || || '''데뷔''' ||[[2023년]] [[4월 8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000000); font-size: .7em"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ffffff '''Preseason 1'''}}}]]}}}[br]{{{-2 (데뷔일로부터 '''[dday(2023-04-08)]일째''', '''[age(2023-04-08)]주년''')}}} || || '''소속''' ||[[Liiv SANDBOX/카트라이더: 드리프트|'''Liiv SANDBOX''']] [br] '''(2023.01.06~)'''|| ||<-2> [[https://www.instagram.com/jim._.stagram/|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www.twitch.tv/dalla040| [[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https://bj.afreecatv.com/dalla040|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ㆍ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1px" ||<-2>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파일: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svg|width=20%]]]] || || '''생성일''' ||[[2010년]] [[6월 11일]] || || '''레벨''' ||'''Lv.108''' (만렙) || || '''라이센스''' ||[[파일:라이센스 Pro.png|width=25]] || || '''ID''' ||'''지밋''' [[https://tmi.nexon.com/kart/user?nick=지밋|#]] 낑지민 [[https://tmi.nexon.com/kart/user?nick=낑지민|#]] {{{#!folding [ ID 변천사 ] 지밋 → z1존짱지민 → 짐거버거 → 지밋 → 짐붕빵 → 지밋, 칸쵸지민 → 지쵸민파 → 센스쟁이지민 → vnfqpd → 낑지민 → 벵풀 → 낑지민}}} || || '''클럽''' ||TEAMAOX, 지민 || ||<-2> [[카트라이더 리그|[[파일:KartLeague Logo W.svg|width=10%]]]] || || '''포지션''' ||HYBRID || || '''데뷔''' ||[[2019년]] [[1월 19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22222, #b22222); font-size: .7em" [[넥슨 2019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ffffff '''2019-1'''}}}]]}}}[br]{{{-2 (데뷔일로부터 '''[dday(2019-01-18)]일째''', '''[age(2019-01-18)]주년''')}}} || || '''소속''' ||꾼[* 개인전만 출전.] [br] (2019-1)[br] PATHOS [br] (2019.08.17~2019.11.09) WHEELZ [br] (2020.01.04~2020.05.23) [[E-STATS Esports/카트라이더|E-STATS Esports]] [br] (2020.06.01~2021.05.19) '''[[BLADES]] [br] (2021.06.01~2022.05.28)''' [[On-Off]] [br](2022.11.05~2022.12.17) [*전환 카트라이더 리그에서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로 전환]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現 [[Liiv SANDBOX/카트라이더: 드리프트|Liiv SANDBOX]] 소속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프로게이머]]. 2019년 만 17세의 나이로 데뷔 후 꾸준히 출전하며 끊임없는 노력과 도전정신을 바탕으로 '''개인전 결승 4연속 진출'''[* 2020-2 ~ 2021-S]이라는 결과를 얻어내며 [[카트라이더 리그]]를 이끌어갈 유망주로 기대를 받은 신예 중 하나. == 주요 입상 기록 == ||<-5> [[카트라이더 리그|[[파일:KartLeague Logo W.svg|width=35]] '''{{{#fff 카트라이더 리그}}}''']] || ||<-5> '''{{{#fff 우승 기록}}}''' || ||<-5> '''[[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수퍼컵]] 팀전 우승'''[br]'''[[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 팀전 우승''' || || [[Liiv SANDBOX/카트라이더|Liiv SANDBOX]] || → || '''[[DFI BLADES/카트라이더|[[파일:BLADES logo.png|width=20]] BLADES]]^^2연속^^''' || → || [[Liiv SANDBOX/카트라이더|Liiv SANDBOX]] || ||<-5> '''{{{#fff 준우승 기록}}}''' || ||<-5> '''[[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 팀전 준우승''' || || [[한화생명e스포츠/카트라이더|한화생명e스포츠]] || → || '''[[DFI BLADES/카트라이더|[[파일:BLADES logo.png|width=20]] BLADES]]''' || → || [[Liiv SANDBOX/카트라이더|Liiv SANDBOX]] || ---- ||<-5>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파일:KDL logo.png|width=35]] '''{{{#fff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 ||<-5> '''{{{#fff 준우승 기록}}}''' || ||<-5>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 팀전 준우승'''[br]'''[[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 팀전 준우승''' || || 리그 개최 || → || '''[[Liiv SANDBOX/카트라이더: 드리프트|[[파일:Liiv SANDBOX 로고.svg|width=20]] Liiv SANDBOX]]'''[br]{{{-3 박인수 · 박현수 · 정승하 · '''김지민''' · 리우창헝}}}[br]{{{-4 Insoo · HyunSu · SeungHa · '''JiMin''' · NEAL}}}[br]{{{-3 박현수 · '''김지민^^2연속^^''' · 고병수 · 홍승민 · 리우창헝}}}[br]{{{-4 HyunSu · '''JiMin''' · ByungSu · Daldda · NEAL}}} || → || ''정규 시즌 전환'' || == 플레이 스타일 == '''전형적인 스피드형 하이브리드 스타일.'''[* [[유창현]], [[김승태]], [[박현수]], [[배성빈]], [[송용준(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송용준]], [[정승하]] 등이 대표적인 스피드형 하이브리드라고 할 수 있다. 아이템형 하이브리드 유형의 선수로는 [[최영훈]], [[홍승민]], [[장건(프로게이머)|장건]], [[유관영]], [[전진우(프로게이머)|전진우]], [[박태민(프로게이머)|박태민]] 등이 있다.] 스피드전에 비하면 떨어지지만 아이템전 또한 즐겨 하는만큼 준수하기 때문에 '''스피드형''' 하이브리드라고 할 수 있다. 주로 베히모스나 롤러붓을 타고 러너 역할을 맡는다. 상위권에서 주행 실력으로 달아나거나 상대의 공격 아이템을 소진하면서 버티기도 하고, 특유의 공격성으로 상대가 치고 나가지 못하게 몸으로 막는 플레이를 보여준다. 스피드전에서 가장 큰 장점은 준수한 멀티 센스. 미들에서 상대를 휘저어줄 수 있을 정도의 몸싸움 능력을 갖췄으며, 필요할 땐 자신이 자폭하면서까지 상대를 터뜨려줄 수 있는 과감성, 싸움닭 기질까지 가지고 있다. 주행 능력도 좋은 편이라 상위권에서 러너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여러모로 봤을때 팀전에서는 '''미들 포지션의 정석을 보여주는 선수.''' 개인전에서는 상당히 공격적인 주행을 바탕으로 '''곡예사×연금메타'''를 쓰는 대표적인 선수다. 이는 [[박인수]]의 컬러와도 겹친다. 박인수는 자신이 주도적으로 순위 경쟁을 이끌어나가며, 자신이 죽는 한이 있더라도 몸싸움을 사리지 않는데, 김지민 또한 적극적으로 순위 경쟁과 경합을 한다는 점에서 박인수의 모습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김지민이 있는 구간에선 자주 사고가 터지며 김지민은 사고가 나 혼란스러운 와중에 빠르게 회복해 순위를 챙기고, 점수를 착실히 쌓아올린다. 자칫하면 리타이어 당할 수 있는 엄청난 공격성을 띄는 전략을 통해 4시즌 연속 개인전 결승에 진출할 정도로 포텐은 상당한 듯 보인다.[* 2020 시즌 2가 끝난 후, 김대겸의 뒤풀이 방송에서 '''[[문호준]]이 김지민을 지목하며 "한 번 키워보고 싶다"고 말하기도 했을 만큼''' 잠재력이 뛰어난 선수라고 평가받는다. 그리고 실제로 [[박도현(2001)|박도현]]의 공백을 채우기 위해 문 감독이 운영하는 블레이즈로 한때 영입되었다. 사실 이렇게 공격적이고, 적극적인 전략으로 개인전에서 유의미한 성적을 낸 선수는 이중대, 박인수, 강다훈 정도밖에 없다.] 빠른 사고 회복과 파고들 각을 노리는 안목, 과감성과 멀티센스까지. 이런 다각도의 능력이 필요한 전략인데도 김지민은 이 전략을 운용해 개인전 결승전에 '''4회 연속''' 진출한 만큼, 그의 잠재력이 더욱 기대된다고 할 수 있다. 단점이라면 뒷심 부족으로 인해 경기가 끝날 때까지 텐션이 잘 유지가 되지 않는 점, 그리고 1등을 연속으로 해놓고 갑자기 7,8등을 연속으로 하며 최종순위 1위를 노려봤으나 2,3등으로 떨어져 놓치기도 하는 등[* 박인수는 예선에서 보면 워낙 잘하다보니 기복이 있다고 느껴지지는 않지만 결승전에서 보면 순위 기복이 있는 편임을 알 수 있다.] 은근히 존재하는 기복으로 인해 경기 후반으로 갈수록 하위권으로 처진다는 점이다.[* 이것이 가장 잘 드러난 것이 21-1 개인전 16강 최종전과 개인전 결승전으로 최종전에서는 본인이 1등을 차지해서 경기를 끝낼 수 있었음에도 사고의 파편을 맞아 최하위로 밀려나며 결국 3등을 차지했고 결승전에서는 초중반에서 승승장구하여 2인전 내지 타이브레이커를 기대해볼 수 있었음에도 마지막 트랙에서 꼴등해 간발의 차로 입상행 티켓을 놓치고 말았다. 게다가 1판만 더 1등했어도 '''쿼드러플 60점'''으로 4인 타이브레이커라는 희대의 사건을 찍었을 것이며 2판 더 1등만 했다면 2세트는 가볍게 진출했다.] 그러나 이 또한 경험이 쌓이면서 보완되어 가는 중. 곡예사 메타로 승부를 보는 것을 좋아한다.[* 개인전에서 김지민 외에도 '''곡예사''' 메타를 선호하는 선수로 [[이중대]]와 [[강다훈]]이 있었다. 특히 [[이중대]]는 쌍둥이인 [[이중선]]과는 정반대 스타일이라 의아함을 샀을 정도.(이중선은 하위 라운드에선 무조건 안정적으로 상위권을 유지한 후 결승에서 부진한 스타일이었다.) 강다훈의 경우 처음에는 곡예사 메타로 좋은 성적을 냈지만 그렇게까지 롱런하지는 못했다.]그 때문인지 상술한 단점이 발목을 잡지만 멘탈이 나쁜 것은 아닌 게 '''떨어져도 상관없는 경기에서만 바닥을 긁고, 떨어지면 절대 안 되는 경기에서는 초반부터 미친듯이 점수를 쌓는 스타일'''이다.[* 20-2 ~ 21-2 시즌만 봐도 1라운드 4~5위->패자부활전에선 여유있게 진출->16강에선 또 7~8위->패자전, 최종전에선 여유있게 진출->결승에선 다시 중하위권을 기록하였다. 21 수퍼컵 시즌은 16강 3위, 승자전 8위, 최종전 3위, 결승전 8위를 기록하여 어느 시즌이든 '''최종전은 꼭 거친 후''' 결승전으로 진출했다. ~~그러고 22-1 때는 까먹고 신청 안해서 안 나갔다~~] 결승에서 또다른 스타일로는 연금메타형의 승부를 보기도 한다.[* 사실상 곡예사 메타와 연관이 되는데 타 선수들은 포디움에 많이 들고도 기복이 심해서 한 끗 차이로 떨어지는 반면 김지민은 연금메타로 바닥은 최대한 긁지 않으며 점수를 잘 쌓아 턱걸이로 상위 라운드 진출에 성공했다.] 어차피 개인전 결승 1세트까지 진출한 것만으로도 본인의 커리어 하이를 이미 등록한데다 비록 최종 6위를[* 최영훈과 '''공동 6위'''나 마지막 트랙에서 아쉽게 꼴찌를 해서 사실상 7위 자격을 얻었다. 그러나 하위권 성적치고는 매우 고득점인 '''49점이었다.''' 마지막 트랙에서 실수만 없었어도 가능성이 있었다.] 했어도 초반부에 결승 우승컵의 주인공이라 불려도 이상하지 않을 만큼 절정의 폼을 보여준 2021-1 시즌을 제외하면 나머지 결승은 모두 1위를 한번도 하지 않고 2,3위 내지 중위권을 맴도는 점수로 경기를 마무리했다. 물론 입상 실패인 5-8위에 머물렀으나 그래도 40점대라는 높은 점수로 끝낸 바가 있다.[* 20-2 5위(40점), 21-2 7위(43점), 21-S 8위(46점). 커리어로는 20-2 5위가 가장 높지만 점수는 21-1 49점이 가장 높다.] [[카트라이더: 드리프트]]로 넘어온 뒤에는 개인전에서 훨씬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사고의 중심이 되거나 혼자 삽을 푸는 일이 거의 없어졌으며 주행에 안정감이 생겼다는 평가.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 결승전에서도 4등이라는 기록을 세우며 커리어 하이를 찍었고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 오프라인 예선에서도 승자전에서 여유롭게 본선 진출을 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단 정규시즌에서는 개인전 최종 패자부활전까지 간 후 거기서 공동 4위를 하는 바람에 1:1까지 하면서 간신히 본선에 진출하며 이쯤 되면 일부러 이러는 것 아니냐는 말이 나올 정도. == [[김지민(프로게이머)/선수 경력|선수 경력]] == || '''{{{#000 김지민의 선수 경력}}}'''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0> '''통합 선수 경력''' : '''[[김지민(프로게이머)/선수 경력|김지민/선수 경력]]''' || ||<-4> [[카트라이더 리그|[[파일:logo_kart.png|width=90]]]] || || [[김지민(프로게이머)/선수 경력#s-2.2|'''{{{#fff 2019년}}}''']] || [[김지민(프로게이머)/선수 경력#s-2.3|'''{{{#fff 2020년}}}''']] || [[김지민(프로게이머)/선수 경력#s-2.4|'''{{{#fff 2021년}}}''']] || [[김지민(프로게이머)/선수 경력#s-2.5|'''{{{#fff 2022년}}}''']] || ||<-4>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파일:KDL logo.png|width=90]]]] || ||<-4> [[김지민(프로게이머)/선수 경력#s-3.1|'''{{{#white 2023년}}}''']] || }}}}}}}}} || == [[김지민(프로게이머)/대인관계|대인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지민(프로게이머)/대인관계)] == 별명 == * '''짐''' : 지민을 줄여서 '''짐'''이라고 한다. [* 예시로, 같은 팀의 박인수가 '''박''', 박현수는 '''넴'''이 있다. ] * '''다람지민''' : 포레스트 테마만 나오면 김지민이 맹활약하면서 붙여진 별명으로, 아예 '''날다람지민'''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괴물같이 잘할때는 '''호랑지민'''이라 불리기도 한다. * '''곡예사''' : 개인전에서 매번 패자부활전-패자전-최종전을 거치고도 어떻게든 살아남아서 결승전에 진출했기에 생긴 별명. * '''이세계 아이엠 에이스'''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 8강 19경기 인터뷰에서 최시은 아나운서가 스피드/아이템 둘 다 맹활약 하는 김지민에게 지어준 별명. == 여담 == * 김지민의 시그니처는 테마, 컬러 총 2개 분야에서 찾을 수 있다. 우선, 테마 면에서는 '다람지민'이란 별명이 붙은 '포레스트 오싹한 공중다리'가 있고[* 이는 [[김기수(프로게이머)|김기수]]도 마찬가지.] 본인도 자신있어 하는 테마인 '''포레스트'''에서 강점을 많이 보이고 있다. 또한 컬러 면에서는 {{{#orange '''오렌지 라이더'''}}}와 {{{#dodgerblue '''블루 라이더'''}}}가 그의 상징인데, 2020-2 첫 개인전 결승 진출 당시 커리어 하이였던 컬러와 KDL 프리시즌1 결승 컬러가 {{{#orange '''오렌지'''}}}였고 하위권을 기록했지만 점수가 최고점에 폼이 절정이었던 2021-1 개인전, 첫 팀전 별을 달성했던 시즌이자 양대 {{{#1e90ff '''블루 라이더'''}}}였던 2021-S, 2연속 팀전 결승 진출 성공에 페이즈 제도 도입 이래 첫 우승을 기록한 2022-1에서 {{{#1e90ff '''블루 라이더'''}}}가 된 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심지어 KDL 프리시즌1 팀전 결승도 {{{#1e90ff '''블루 팀'''}}}이 되었다. ~~그러고보니 {{{#1e90ff '''블루'''}}}로 팀전을 2번이나 우승해봤다~~ * 21-1 시즌까지만 해도, '''프로팀 소속 중 [[장건(프로게이머)|장건]]과 더불어 가장 나이가 어린 선수였다.''' 2002년생으로 [[2023년]] 기준 22살.[* 애초에 아마추어 팀에서도 김지민 나이대보다 어린 선수는 20-2시즌에 나왔던 스타라이트의 [[최민석(프로게이머)|최민석]](2003년생), 모토의 [[박민호(프로게이머)|박민호]](2003년생)과 김현민(2004년생)정도 뿐이다.] 21-2부터 [[최민석(프로게이머)|최민석]]이 03년생으로 기록을 내주고 아마추어 팀인 [[THREAT|트릿]]의 김민준은 04년생으로 알려져 있어 기록을 내주었다. * [[전대웅]]이 [[E-STATS Esports/카트라이더|GC부산]] 입단 후 가장 성적이 좋아진 선수라며 아마 다음 시즌에 포텐이 터질 것 같다는 말을 했다. 그리고 그 말이 사실이 되어 21-1 개인전 결승전 초반부에서 엄청난 돌풍을 보여줬다. 1~2판만 더 단상에 들었다면 김지민도 입상은 충분히 하고도 남았을 것이다.[* 15트랙 순찰로에서 1위를 다시 하며 이때까지만 해도 50점이었다. 만약 마지막 트랙에서 최영훈에게 1위를 뺏기지 않고 끝까지 사수했다면 상술했듯 '''쿼드러플 60점 타이브레이커까지 가는 건 기본이었고''' 다른 트랙에서 꼴찌를 하지만 않았다면 [[유창현]]에 뒤이어 2위로 2세트 진출 성공했다.] * 굉장히 수줍음이 많은 선수다. 그 때문인지는 몰라도 방송을 많이 키지 않는 몇 안되는 선수 중 한 명이다. 팀 동료 선수의 방송 캠에 나올때도 부끄러워하며 캠에 나오려고 하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 항상 캠에 나올때는 [[마스크]]를 쓰고 나온다. 대표적으로 전대웅이 [[사쿠란보]] 김지민과 같이 추기 미션을 할 때와 임재원의 리그 리뷰방송 당시.] 그렇지만 낯을 많이 가리는 성격과는 달리 카트 경기에 참여했다 하면 180도 달라지며 내재된 그의 과감성, 적극성의 시너지로 경기에서 항상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즉, 상황이 주어지면 그 상황에 정신집중하는 스타일. * [[2021 신한은행 Hey Young KRPL 시즌1|KRPL 시즌 1]]에 동명이인 선수가 출전한 적이 있어 화제가 되기도 했다. * 블레이즈를 포함한 팀전 리그부터 문호준이 소속되어 있는 팀[* 솔라이트 인디고(에볼루션) -> 알엔더스(버닝타임) -> 솔라이트 인디고(듀얼레이스 1) -> SEDA-RACING(듀얼레이스 2) -> GameKing(듀얼레이스 3) -> 아프리카 Flame • Flame(듀얼레이스 X ~ 2019-1) -> 한화생명 e 스포츠(2019-2 ~ 2021-1) -> BLADES(2021-2 ~)]에서 최초로 Gamekings, OneQ 출신이 아닌 선수였다.[* 문호준하고 같이 (감독시절을 포함한)팀원으로 활동 한 선수들을 보면 [[전대웅]](Gamekings(클장)), [[최영훈]](OneQ -> Gamekings -> OneQ), [[유창현]](Gamekings -> OneQ), [[강석인]](Gamekings-> OneQ), [[장진형]](Gamekings -> 모티브), [[이은택(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이은택]](OneQ), [[유영혁]](Gamekings-> MysTic-> P5NTA-> OneQ ,MysTic-> OneQ Rookies -> OneQ), [[배성빈]](Gamekings -> OneQ), [[박도현(2001)|박도현]](Gamekings-> OneQ)이 있다. 번외로는 유은호(Gamekings-> OneQ), [[서주원(카레이서)|서주원]](Gamekings), [[이재성(프로게이머)|이재성]](OneQ(클장),OneQ Rookies(클장)) 등이 있다.] 이는 [[박도현(2001)|박도현]]의 갑작스런 휴식 선언으로 팀에 공백이 생긴 시점이 대체할 만한 선수들이 소속팀을 다 구한 상태여서 선택지가 없었고[* 만약 21-1 시즌 당시 한화생명이 결승전 이전에 탈락하고 박도현이 휴식을 선언했다면, 김지민이 아닌 [[노준현]]이 빈 자리를 채웠을 가능성이 크다. 노준현은 개월드 시절부터 문호준에게도 이름이 알려졌던 유명한 고수이고, 리그에서의 경기력도 확실하기 때문.] 제한적인 인재풀 내에서 문호준의 선택을 받은 것이었지만 그만큼 김지민의 노력과 성장속도가 대단한 부분을 알 수 있는 대목. * 개인 휴대폰으로 [[iPhone 7]] 혹은 [[iPhone 8]]을 사용 중인 것으로 추측된다. 색상은 골드. * 상술했듯 20-2 시즌부터 3시즌 연속으로 32강-패자부활전-16강-패자전-최종전-결승 루트로 개인전 결승에 진출하고 있었다. 하지만 2021 수퍼컵 시즌에서는 그 징크스가 깨지며 16강 승자전에 선수생활 최초로 진출 성공하는 쾌거를 이뤄냈다![* 물론 수퍼컵 시즌 자체가 코로나 시국으로 인해 자주 일정이 지연되었던 시즌 3를 대체하기 위해 급하게 왕중왕전으로 진행한 시즌이다보니 16강에서 바로 시작한 것도 있었지만.] 다만 이후 승자전에서 다른 선수들의 실력에 눌려버려서 최종전으로 진출하는 바람에 어느쪽 경기로 진출하든 '''최종전은 무조건 거치고 결승전에 진출하는 선수'''로 낙인이 찍혀버렸다. 김지민에게 있어서 차기 시즌부터는 이 징크스를 과감히 깨부수고 승자전에서 바로 진출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다. 어쨌든 요즘들어 결승 고정이 된 건 확실하다. * 방송을 정말 안 켠다.(…)[* 예전 같은 팀 소속인 [[유창현]]도 방송을 정말 안 켠다.] 정말 가끔 킬 때는 [[트위치]]에서 키는데, 블레이즈 이적 후 처음 방송을 켰을 때 게임하면서 [[씨야]] 노래를(...)[* 선곡 센스로 인해 '''02가 아니라 92 아니냐'''는 얘기가 있었을 정도였다.(…)] 틀었고, 방송을 보러온 문호준은 저작권 노래를 튼 모습을 보고 바로 끄라고 했는데, 이에 김지민은 노래를 끄다가 뭘 잘못 눌렀는지 '''문호준에게 600초 차단을 걸어버렸다(...) 문호준의 대노는 덤. '''이후 다음 방송에서는 채팅창부터 띄우느라 애쓰는 모습을 보였고, 이를 보러 온 [[노준현]]과 [[임재원(프로게이머)|임재원]]이 놀리기도 했다.--[[임재원(프로게이머)|???]] : 지민아 너 페이소스때부터 답답해 죽겠어-- * 방송과 관련해서 유료 퇴근 미션을 받았는데 이걸 24시간 동안 기다려야 가져갈 수 있는 줄 알고 24시간 방송을 하려했다. 김지민의 이 반응을 본 시청자들은 [[충공깽]]...[* 사실 이걸 모른다는 소리는 정말 전혀 인터넷 방송을 본 적이 없었다고 받아들여질 수도 있는 소리다. 김지민의 나이를 생각한다면...] * 뒤늦게 우승하고 밝힌 바로는 방송을 자주 키면 시청자들과 만날 수 있어서 좋지만 보여준 것도 없는데 방송을 자주 키는 건 아니다 싶어서 거의 안 켰다고 하고, '''이제 우승했으니 자주 키겠다고 밝혔다.'''--그리고 김지민이 방송을 자주 켜는일은 없었다-- 2022년 5월 18일 드디어 방송을 켰다. 마지막 방송이 2021년 12월 31일인 거를 고려하면 거의 반 년만인 셈. 그나마 현 소속팀인 샌드박스는 프릭스처럼 의무방송이 있는 수준까지는 아니지만 소속 선수의 개인방송을 어느정도 권장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는 볼 일이 많아지게 되었다. * 제일 좋아하는 카트라이더 캐릭터는 [[디지니]]고 가끔 [[배찌]]를 끼지만 [[다오]]는 잘 안 낀다고 한다. * 피부가 매우 안 좋다.[* 그래서인지 현재 21살 성인인데도 불구하고 얼굴에 심각한 [[여드름]]이 많은 편.] 문호준의 말에 의하면 세수할 때 그냥 집에 굴러다니는 비누를 쓴다고 하며, 결승 때 얼굴의 [[뾰루지]]가 터져서 마스크에 피가 묻어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우승 상금으로 문호준이 [[피부과]]로 데려가겠다고.(...) * [[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2022 시즌 1]] [[김승태/선수 경력/2019년#s-1.2|'''개인전 신청을 깜빡하고 못 했다.''']] 예선 신청 마지막 날 개인전 신청을 깜빡하고 못해 문호준에게 카톡으로 개인전 신청을 못 하였다고(...). 하필 이때 [[문호준]]이 방송을 키고 스폰을 못 구해 다음 시즌 해체 위기라는 심각한 이야기를 하고 있어서 문호준한테 욕을 엄청나게 먹은건 덤.[* [[문호준]]: 아니 근데 개인전 나랑은 상관이 없지. 상금 때는 것도 아니고 개인전 지들이 알아서 먹는건데. 근데 '''이 새끼 어떻게 대회를 신청을 안할수가 있나?''' 심지어 얘가 '''32강 탈락하는 것도 아니고 계속 결승 올라가는 앤데 뭔 세상에 이런 새끼가 다 있어?'''] * 20-2 시즌부터 포텐이 터지기 시작했으며, 2022년 기준 현재도 선수들 중에서 어린 축에 속하는 선수로 카트라이더의 요즘 메타에서 보기 드문 '''10대때 전성기를 맞이하기 시작한 선수'''다.[* 최근 데뷔에 속하는 타 선수까지 고려하면 [[강다훈]]과 [[김우준]]이 김지민처럼 곡예사를 타며 결승까지 꾸역꾸역 진출했는데 그의 나이는 '''18살이고''' [[김다원(프로게이머)|김다원]]도 괴물 신인으로써 올해 '''19살에 [[로열로더]]가 된 케이스'''다.] 앞으로도 꾸준히 발전 가능성이 높고 조만간 팀전, 개인전 양대 우승 후보 선수로 입모아 말을 하고 있다.[* 포지션이나 스타일 적으로 유사하다 꼽히는 선수는 같은 팀의 [[정승하]]와 친구인 [[전진우(프로게이머)|전진우]] 등이 있다.] * 2022-S 프로필 사진이 전체 선수들 중 제일 호평이지만, 본인 프로필 역사상으로도 제일 잘 나왔다고 입 모아 말한다. 그리고 유일하게 사진이 잘 나왔다는 말도 있다(...). 그런데 전체적으로 안 그래도 마른 선수가 더 샤프해져서 왔는지 성숙한 면모를 풍기기 시작했는데, 복귀시즌에 여러 사연과 더불어 카리스마 넘치게 나오니 '''[[흑화]]한 김지민'''이라는 소리도 듣는다. 마침 유니폼도 어두운 색 계열이다. * 김지민이 Liiv SANDBOX 입단 후에 '''[[박현수]]가 막내를 무려 4년만에 탈출했다.''' 또, [[박인수|형]][[정승하|들]]과는 이전에도 친했지만 귀여움을 많이 사는 편. 박현수와 정승하의 방송에서 텐션도 밝고 팀의 분위기에 잘 녹아들어가고 있다. 그리고 키가 샌드박스 감독 포함해 '''키가 제일 작아 6명 중 독보적 최단신(...)'''이라는 타이틀까지 가져가버렸다. 그리고 막내 타이틀은 [[2023년]] [[5월 24일]] [[고병수(프로게이머)|고병수]]가 샌드박스에 들어오면서, 가져갔다. 그러나 최단신 타이틀은 [[홍승민]]이 들어와도 유지를 하게 되었다. 독보적 최단신이 아니란게 위안.[* 이건 Liiv SANDBOX 팀이 대한민국 '''평균 이상의 장신 선수 팀'''이었던 것과 이전 팀 멤버들이 단신(...)이어서 부각이 안 되었던 것의 괴리감이 심한 것이 크다. 최장신 183cm인 [[정승하]]와는 무려 16cm 차이, 前 최단신이었던 [[박현수]]도 평균 이상인 175cm로 작은 편은 아니다. 그리고 [[박인수]]도 178cm, [[NEAL]]도 177cm, [[뿡준석|박준석]] 감독도 182cm...로 장신들이 즐비한 팀이다. 178인 박인수와 183인 정승하가 군 입대를 하면서 잠정 은퇴를 하였지만, 정승하보다 더 큰 '''185cm'''의 고병수가 들어왔다. 홍승민도 168로, [[유창현]]과 같은 키라 김지민보다 큰 편. 결국,'''역대 샌드박스 멤버들 전체 최단신''' 타이틀을 가져가 버렸다.][* 고병수-185cm, 정승하-183cm, 박준석-182cm, 박인수-178cm, NEAL-177cm, 김승태-176cm, 박현수-175cm, 홍승민, 유창현-168cm, 김지민-167cm...] * 김지민의 입단 이후 박인수가 개인방송에서 달라진 김지민에 대해서 이야기를 꺼낸 적이 있다. 자신이 알던 지민이는 어딘가 좀 위축된 이미지였는데, 정승하와 같은 방을 쓰고 붙어다니면서 사람이 완전히 달라져 지금은 오히려 샌박에서 제일 시끄러운 사람이 되어버렸다는 모양... * 개인전 결승전 진출 한정 리그에서의 순위가 단 한번도 겹치지 않았다. 순서대로 5-6-7-8-4위(…) ~~입상 빼고 다 해봤다.~~ == [[카트라이더 리그]] 기록 == === 대회 입상 === [* {{{#C8AB37 ★}}}는 팀전 우승을 의미한다.] || {{{#000 연도}}} || {{{#000 대회명}}} || {{{#000 순위}}} || {{{#000 비고}}} || || 2021 || [[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 팀전 || '''{{{#000 준우승}}}''' || [* '''정규리그 첫 입상'''] || || 2021 || [[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수퍼컵]] 팀전 || '''{{{#000 우승}}}''' || {{{#c8ab37 ★}}}[* 정규리그 첫 우승] || || 2022 || [[2022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 팀전 || '''{{{#000 우승}}}''' || {{{#c8ab37 ★★}}} || ===# 입상 실패 리그 #=== || {{{#000 연도}}} || {{{#000 대회명}}} || {{{#000 순위}}} || {{{#000 비고}}} || || 2019 || [[넥슨 2019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 개인전 || 18위 || [* 32강 패부 6위.] || || 2019 || [[2019 KT 5G 멀티뷰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 개인전 || 28위 || [* 32강 C조 7위.] || || 2019 || [[2019 KT 5G 멀티뷰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 팀전 || 7위 || [* 페이소스 소속.] || || 2020 || [[2020 SKT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 개인전 || 26위 || [* 32강 A조 6위. [[송용준(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송용준]]과 공동 순위 및 평점이 일치함.] || || 2020 || [[2020 SKT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 팀전 || 5위 || [* 휠즈 소속.] || || 2020 || [[2020 SKT 5GX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 팀전 || 5위 || || || 2020 || [[2020 SKT 5GX JUMP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 개인전 || 5위 || [* 커리어 하이] || || 2021 || [[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 팀전 || 6위 || [* [[GC Busan E-STATS|E-STATA Esports]] 소속, 2승 5패.] || || 2021 || [[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1]] 개인전 || 6위 || [* [[최영훈]]과 공동 6위.] || || 2021 || [[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 개인전 || 7위 || || || 2021 || [[2021 신한은행 Hey Young 카트라이더 리그 수퍼컵]] 개인전 || 8위 || || || 2022 || [[2022 신한은행 SOL 카트라이더 리그 수퍼컵]] 팀전 || 5위 || || ===# 이벤트 대회 #=== || {{{#000 연도}}} || {{{#000 대회명}}} || {{{#000 순위}}} || {{{#000 비고}}} || || 2020 || [[https://www.youtube.com/watch?v=1iuR4VhO5x4|제 1회 한국외대 GSI 카트라이더 컵]] || 준우승 || [* Severity 팀 : 우성민 김경록 김지민 조인희][* [[https://www.youtube.com/watch?v=2준vfY1fdvzw|결승전 영상]]] || || 2021 || [[https://www.youtube.com/watch?v=nOGeSoFgcp8&t=18947s|제 2회 한국외대 GSI 카트라이더 컵]] || 준우승 || [* ZI존 팀 : 김경록, 조현수, 노준현, 김지민] || || 2022 || [[제3회 GSI 카트라이더 컵]] || 8강 탈락 || 팀명: BTX [* 팀원 : [[배성빈]], 김지민, 김종호, [[박민호(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박민호]].] || || 2022 || 대전 레이싱 챌린지 팀전 || 우승 || 이벤트 리그 ||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기록 == === 대회 입상 === || {{{#000 연도}}} || {{{#000 대회명}}} || {{{#000 순위}}} || {{{#000 비고}}} || {{{#000 상금}}} || || 2023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 팀전 || {{{#000 준우승}}} || 비정규 리그 || 20,000,000 / 5 = \ 4,000,000 || || 2023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 팀전 || {{{#000 준우승}}} || 비정규 리그 || 20,000,000 / 5 = \ 4,000,000 || || 2023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대전 레이싱 챌린지|대전 레이싱 챌린지 팀전]] || 준우승 || 이벤트 리그 || ₩ 1,000,000 / 5 = 200,000 || ===# 입상 실패 리그 #=== || {{{#000 연도}}} || {{{#000 대회명}}} || {{{#000 순위}}} || {{{#000 비고}}} || {{{#000 상금}}} || || 2023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1]] 개인전 || 4위 || 비정규 리그 || 1,000,000원 || || 2023 ||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리그 프리시즌 2]] 개인전 || 8위 || 비정규 리그 || 1,000,000원 || == 타임어택 영상 == == 둘러보기 == [include(틀:E-STATS Esports/카트라이더)] [include(틀:On-Off)] [[분류:프로게이머/카트라이더]][[분류:2002년 출생]][[분류:2019년 데뷔]][[분류:화성시 출신 인물]][[분류:Liiv SANDBOX/카트라이더]][[분류:대한민국의 무종교인]][[분류:프로게이머 출신 트위치 스트리머]][[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인터넷 방송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