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대전광역시|{{{#cfa547 대전}}}]] [[대덕구(선거구)|{{{#cfa547 대덕구}}}]])'''}}} || || 제16-17대[br][[김원웅]] || → || '''제18대[br]김창수''' || → || 제19대[br][[박성효]][* [[대전광역시장]] 선거 출마로 인한 의원직 사퇴.] || || '''{{{#fff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대전광역시 대덕구청장)] }}} || |||| '''[[대덕구청장|{{{#FFF 제8대 대전광역시 대덕구청장}}}]]''' || ||||<-2><#808080> '''{{{#FFF {{{#ffffff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br]{{{+1 김창수}}}[br]金昌洙 | Kim Chang-soo}}}'''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D6B7A4C-CF74-42C3-9DE0-D80579095117.jpg|width=100%]]}}} || ||<|2> '''출생''' ||[[1955년]] [[2월 13일]] ([age(1955-02-13)]세) || ||[[충청남도]] [[대전광역시|대전시]] [[삼성동(대전광역시 동구)|삼성동]][br](現 대전광역시 [[동구(대전광역시)|동구]] 삼성동) || || '''현직''' ||[[대한민국헌정회]] 법·정관개정특별위원회 위원장 || || '''본관''' ||[[경주 김씨]] (慶州 金氏)[* 계림군파 21세손.] || ||<|2> '''재임기간''' ||제8대 [[대전광역시]] [[대덕구청장]] || ||[[2004년]] [[6월 6일]] ~ [[2006년]] [[6월 30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형제자매''' ||형 1명[br]동생 김학희, [[김학철(배우)|김학철]] || || '''학력''' ||[[대전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 {{{-2 (정치학 / [[학사]])}}} || || '''종교''' ||[[가톨릭]] {{{-2 ([[세례명]]: [[스테파노]])}}} || || '''소속 정당''' ||[include(틀:무소속)] || || '''의원 선수''' ||'''1''' || || '''의원 대수''' ||'''[[제18대 국회의원|18]]''' || || '''약력''' ||[[조선일보]] 정치부/사회부 [[기자]][br]조선일보 노조위원장[br]전국언론인노동조합연맹 부위원장[br]대덕포럼 공동대표[br][[새천년민주당]] 부대변인[br]제8대 대전광역시 대덕구청장,,(민선3기),,[br][[한남대학교]] 행정복지대학원 객원교수[br][[제18대 국회의원]],,([[대덕구(선거구)|대전 대덕]]),,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제8대 대덕구청장, 제18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 생애 == 1955년 [[충청남도]] 대전시 삼성동(현 [[대전광역시]] [[동구(대전광역시)|동구]] [[삼성동(대전광역시 동구)|삼성동]])에서 태어났다. [[대전고등학교]], [[서울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정치외교학부|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하였다. 이후 [[조선일보]]에서 정치부, 사회부 [[기자]]로 근무하면서 조선일보 노동조합위원회 위원장, [[전국언론노동조합]]연맹 부위원장 등을 겸하였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대전광역시 [[대덕구(선거구)|대덕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김원웅]]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새천년민주당 부대변인을 역임하였다. 2004년 [[오희중]] [[대덕구청장]]의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출마로 인하여 치러진 [[재보궐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러나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열린우리당 공천에서 탈락하자 무소속으로 대덕구청장 선거에 출마하였다가 한나라당 [[정용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선진당]] 후보로 대전광역시 대덕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김원웅 후보에 설욕하였다. 이후 자유선진당에서 공동대변인, 원내수석부대표, 사무총장을 역임하였다. 2011년 말 자유선진당을 탈당하고 [[민주통합당]]에 복당 신청을 하였으나 '''거부'''당했다. 비슷한 시기 같이 복당신청을 한 같은 대전의 [[이상민(1958)|이상민]] 의원과 대비되는 부분.[* 단 이상민 의원은 김창수보다 명분은 많았던게, 일단 18대 총선에서 민주당이 공천을 안줘서 쫓아낸 거나 마찬가지였고, 두번째로 18대 국회 내내 보수정당인 자유선진당에서 민주당과 정책적 동조를 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후 총선 불출마를 선언했고,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새누리당으로의 합당에 반대한 다른 선진당 탈당파들과 함께 [[문재인]] 후보를 지지했다. 이후 [[안철수]]의 [[새정치연합]]에 참여했다가 그대로 [[새정치민주연합]]에 합류하였고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서 대덕구 출마를 노렸으나 경선에서 [[박영순]] 후보에게 패했다. 이후 안철수의 새정치민주연합 탈당때 동행하여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새누리당]] [[정용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박영순]] 전 청와대 행정관과는 같은 [[민주당계 정당]]에 속해 있었으면서도 오랜 악연을 가지고 있다. 김창수는 2006년 지방선거 당시 공천배제된 것이 박영순을 내리꽂게 하려는 것이라는 의심을 갖고 있고, 이후로도 김창수와 박영순은 대덕구에 선거가 있을 때마다 서로 후보가 되기 위해 경쟁을 펼쳤다. 특히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때 감정이 크게 상한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2016년 총선에서는 둘이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으로 나뉘어 독자행보를 하는 덕에 새누리당 정용기 후보만 득봤다.[* 여기선 [[선병렬]] 전 의원과 [[강래구]] 현 더불어민주당 동구 지역위원장의 갈등이 2012년 이후 비슷한 양상으로 지속되었다. 한 배를 탄 이후로 지속적인 경쟁을 펼쳤고, 마침내 2016년 총선에서 독자행보(단일화 파토)를 해버려서 이 곳 역시 새누리당 [[이장우(1965)|이장우]] 후보만 득봤다.][* 뜯어보면 대덕과 비슷한 점이 많다. 국회 경력이 있는 김창수 - 선병렬과 그렇지 않은 박영순 - 강래구. 김창수와 선병렬이 새정치연합에 참여했었고, 이후 다시 국민의당으로 갔다는 것. 반대로 박영순과 강래구는 더불어민주당에 잔류. 그러나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선병렬은 [[안철수]]를 떠나 더불어민주당 [[황인호]] 동구청장 후보 선거 캠프에 들어갔고, 마침내 황인호 후보는 [[바른미래당]] [[한현택]] 동구청장을 격침시키는데 성공했다.][* 이 악연(?)은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 이르러서야 정리가 된다. 동구의 강래구는 수자원공사 상임감사가 되어서 불출마했고, 민주당의 젊은 피 [[장철민]]이 경선에서 승리해서 공천되었는데 선병렬은 장철민 지지를 선언하며 복당을 신청했고, 승리했다. 대덕구에서 박영순은 딱히 김창수와 화해를 한 것 같진 않지만 민주당 바람에 힘 입어 승리해서 5전 6기만에 선출직에 당선되는데 성공했다. 20대 총선 이후 김창수의 근황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보면 정계를 은퇴한듯.] 이후 도시공감연구소라는 시민단체의 소장을 맡고 있는데, 교육감은 진보, 대전시장은 국민의힘 이장우 후보와 정책협약을 맺었다. == 여담 == * 이름이 [[김구]]의 젊은 시절 [[본명]]과 같은데 실제로 그가 태어날 때, 김구 선생처럼 훌륭한 사람이 되라는 뜻으로 지은 것이라 한다.[* 참고로 원래 돌림자는 가운데 '학'이라고 하며 그의 형제들은 다 항렬자를 지키고 있다. 뒤에서 나오듯 그의 동생이 배우 김'''학'''철.] * 그의 사위가 바로 노성철. 즉 [[노홍철]]의 친형이다. 그리고 배우 [[김학철(배우)|김학철]]이 그의 친동생이다. 따라서 김학철과 노홍철은 사돈 지간이다. 그리고 [[1박 2일]] 시청자투어 3탄의 최고령 출연자인 김정암 옹(1910~2015)의 종손자라고 한다. * 2022년 2월 24일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를 지지 선언을 한 대한민국 헌정회원 중 316명의 명단에 포함되었다.[[http://www.sisa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6591|#]]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대전 [[대덕구(선거구)|대덕]]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14,035 (16.52%) || 낙선 (4위) || || || 2004 || [[2004년 재보궐선거#s-2|상반기 재보궐선거]][br]([[기초자치단체장]]) ||<|2> 대전 [[대덕구청장]] || '''[include(틀:열린우리당)]''' || '''30,296 (52.15%)''' || '''당선 (1위)''' || '''초선''' [* 전임자 오희중 구청장직 사퇴][* 2006.4.10 탈당(공천불복)] || || 2006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include(틀:무소속)] || 14,465 (19.01%) || 낙선 (4위) ||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2> 대전 [[대덕구(선거구)|대덕]] || '''[include(틀:자유선진당)]''' || '''24,079 (33.93%)''' || '''당선 (1위)''' || '''초선'''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16,753 (18.88%) || 낙선 (3위) || || == 둘러보기 == [include(틀:대전광역시의 기초자치단체장(민선 3기))] ---- [include(틀:제18대 국회의원/대전광역시)] ---- [include(틀:제18대 국회의원/무소속)]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창수, version=50)]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언론인]][[분류:대한민국의 남성 기자]][[분류:대덕구청장]][[분류:제18대 국회의원]][[분류:자유선진당 국회의원]][[분류:열린우리당 기초자치단체장]][[분류:무소속 기초자치단체장]][[분류:기자 출신 정치인]][[분류:조선일보 관련 인물]][[분류:동구(대전) 출신 인물]][[분류:1955년 출생]][[분류:경주 김씨 계림군파]][[분류:대전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무소속 정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