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헌 국회의원/경상북도)] [include(틀:제3대 국회의원/경상북도)]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FFFFFF '''{{{+1 김철}}}'''[br]'''金喆'''}}}}}}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김철(1898).jpg|width=100%]]}}} || || '''이명''' ||김천근(金千根) || ||<|2> '''출생''' ||[[1898년]][* [[http://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mngNo=2423|독립유공자 공적조서]]에는 1896년으로 기재되어 있다.] [[9월 6일]] || ||[[경상북도]] [[경주군]] [[양남면|남도면]] 수영포[* 독립유공자 공적조서에는 [[경주군]] 경주면 성건리(현 [[경주시]] [[성건동]])으로 본적이 기재되어 있으나, [[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5819&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05367&actionType=det&flag=2&search_region=|수형인명부]]에 따르면 양남면 수렴리가 출생지라고 한다.][br](현 [[경상북도]] [[경주시]] [[양남면]] 수렴리) || ||<|2> '''사망''' ||[[1978년]] [[3월 21일]] (향년 79세) || ||[[경상북도]] [[경주시]] [[황오동]] 자택[* 당시 자택의 주소지는 [[http://naver.me/xjX4LpPs|황오동 359-7번지]]였는데, 2007년 3월 이곳 일대가 [[https://www.sedaily.com/NewsVIew/1VPQJHJ0W6|쪽샘유적지구에 편입되어]] 현재는 발굴 조사 중에 있다.] || || '''학력''' ||경주 계남학교 {{{-2 (졸업)}}}[br][[계성고등학교(대구)|대구 계성학교]] {{{-2 (졸업)}}}[br][[일본]] 슈케에학교 {{{-2 (졸업)}}}[br][[주오대학|주오대학 전문부]] {{{-2 ([[법학]] / 3학년 / 중퇴)}}} || || '''묘소''' ||[[경상북도]] [[경주시]] [[현곡면]] 소현리 || || '''상훈''' ||대통령표창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전 [[정치인]]이다. 199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898년 9월 6일 [[경상북도]] [[경주군]] 남도면 수영포(현 [[경주시]] [[양남면]] 수렴리)에서 태어났다. 이후 경주군 경주면 성건리(현 경주시 [[성건동]])으로 이주하여 본적을 두었다. 일찍이 한문을 수학하였으며, 이후 경주 계남학교[* 1939년 경영난으로 폐교되었다.]와 [[계성고등학교(대구)|대구 계성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슈케에(主計)학교를 졸업하고 [[주오대학]] 전문부 법과를 다니다가 3학년 때 중퇴하였다. 그는 1919년 3월 11일부터 12일 이틀에 걸쳐 경주군 경주면 노동리(현 경주시 [[노동동]]) 교회당에서 목사 [[박내영]]과 장로 윤기효(尹琪涍) 등의 주도로 이튿날인 13일 독립만세운동을 일으킬 것을 결의하고 [[박문홍]]의 집에서 태극기 300여 개를 만드는 등 준비를 하다가 일본 경찰에 사전 발각되어 실패하였다. 며칠 후 15일 그는 박봉록(朴鳳祿)·서봉룡(徐鳳龍) 등과 함께 경주면 장날에 장터에 모인 다수의 군중을 규합하여 태극기를 앞세우고 독립만세를 외치며 시위를 벌이다가 체포되었다. 그리하여 그 해 4월 15일 대구지방법원 영덕지청[* 또는 경주지청]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4개월형을 [[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2508&evntId=0034993531&evntdowngbn=Y&indpnId=0000024466&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선고받고]] 대구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경주 계남학교 [[교사]]로 근무하면서 [[신간회]] 경주지부장으로 활동하였다. [[8.15 광복]] 이후 [[미군정]]청 경주군 [[고문(직위)|고문]]을 역임하면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에서 [[우익]] 정치인으로 활동하였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후보로 경상북도 경주군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일민구락부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안용대]]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현역 [[지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인 [[자유당]] 안용대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의당(1963년)|국민의당]] 후보로 경상북도 경주시-월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이상무(정치인)|이상무]]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78년 3월 21일 경상북도 경주시 황오동 자택에서 [[숙환]]으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8032100209207017&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8-03-21&officeId=00020&pageNo=7&printNo=17372&publishType=00020|별세하였으며]], 1993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 == 선거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48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경주군 갑)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15,333표 (40.11%)''' || '''당선''' || '''초선''' || || 1950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경주군 갑) || [[일민구락부]] || 2,829표 (7.0%) || 낙선 (4위) || || || 1954 ||[[제3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경주군 갑) || '''[[무소속]]''' || '''15,116표 (33.18%)''' || '''당선''' || '''재선''' || || 1963 ||[[제6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경주시-월성군) || [[국민의당(1963년)|국민의당]] || 1,988표 (2.19%) || 낙선 (6위) ||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철, version=43)]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제헌 국회의원]][[분류:제3대 국회의원]][[분류:대한독립촉성국민회 국회의원]][[분류:무소속 국회의원]][[분류:경주시 출신 인물]][[분류:1898년 출생]][[분류:1978년 사망]][[분류:계성고등학교(대구) 출신]][[분류:대통령표창(독립유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