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김태균/별명)] [include(틀:김태균/별명)] * '''김16억''': 2016시즌 FA로 연봉 16억에 계약.[* 정확히는 연봉 16억 + 계약금 20억 = 4년 84억. 전년도까지는 연봉 15억을 받아 '''김15억'''이었다.] * '''김브콜''': 2016시즌 스프링캠프(서산)에서 찍힌 사진에 헤어스타일이 브로콜리 (브콜돼 완성?)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hanwhaeagles&no=8143025&page=1&exception_mode=recommend|관련 게시물]] * '''김임팩트, 김슬라이딩, 김모래요정''': 2016 스프링캠프에서 슬라이딩 훈련을 하던 중... 그라운드가 울부짖는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hanwhaeagles&no=8150684&page=1&exception_mode=recommend|관련 게시물]] * '''김주춤''': 2월 27일 KIA 타이거즈와 연습경기 중 4회초 주루플레이 때 계속 주춤거리는 모습으로 빵 터지게 만들어 생긴 별명. * '''김[[킹콩]]''': 3월 16일 LG트윈스와 시범경기 승리 후 시범경기 홈런을 친 [[윌린 로사리오]]가 김태균을 킹콩이라고 불러서 생긴 별명. * '''김먹튀''': 4월 6일까지의 경기에서 시원한 타격을 보여주지 못한데다 시즌 첫 홈런을 [[강경학]]에게 넘겨주자 4년 84억의 계약금이 아깝다고 이야기하며 생긴 별명 * '''김실책, 김[[답이 없는 한화의 수비|노답]]''': 중요할 때마다 하주석과 실책을 합작해서. 또 베이스커버, 타구 판단도 좋지 않았서도 있다. * '''김패대기, 김시카, 패대균''': [[한화 이글스/2016년/5월/7일|5월 7일 KT와의 경기]]에서 패대기 송구를 보여주었는데 공 던지는 게 제시카 시구랑 비슷하다며 붙은 별명.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aseball_new4&no=6980611&page=1&exception_mode=recommend|관련 게시물]] * '''김아마추어, 김걸시, 김시구''': 위의 김패대기, 김시카와 같은상황이다. 걸시는 걸그룹시구의 줄임말인걸 보니 김걸시와 김시구는 위에 상술된 제시카시구에서 나온것을 알수있다. 김아마추어는 아마추어보다도 송구를 못해서.... * '''84억 시리즈''': 근래에 김태균이 fa계약한후 시즌에 영좋지 못한 추한 모습을 보이자~~먹튀가 슬슬..~~ 계약값인 84억을 빗대어 생긴 시리즈. 용례로는 84억 똑딱이,84억 명품수비(영좋지 않는 수비 에러를 자주 저질러서 그렇다. 반어법..) 84억 패대기,84억 병살(...) 84억짜리 홈송구. 84억똥차 등등이 있다(...)[* 5월 후반기부터 김태균이 다시 살아나자 [[정우람|다른 84억]]이 블론왕(...)이 되면서 덜 쓰이는 별명이다.] * '''김보토(보토태균)''': 주간 야구와 SBS 야구 경구 중계 도중 김태균과 [[조이 보토]]와 통산 성적이 거의 비슷해서 붙여졌다! * '''김머균''': [[야민정음]] * '''김세균, 김병균 → 김세스코''': 4~5월 동안 팀의 세균과 병균같은 존재라는 의미(...) 나중에 잘하면서 김세스코로 등극(...) * '''긴또망''': 네이버 댓글의 한 네티즌이 김태균의 별명인 '김도망'을 [[신지민|지민]], [[김설현|설현]]의 역사 의식 논란에 빗대어 "혹시 긴또망?"으로 패러디 해서 유래. * '''김뒷굽, 김족발, 김뒷다리, 김뒤태, 김거대소금쟁이, 김포복''': 6월 4일 경기 참고 * '''김폭격''': 11경기 연속 안타 행진을 소개하며 엠스플에서 붙여준 별명. * '''[[돗돔]] 김태균 선생''': 6월 5일 경기가 끝나고 [[야구친구]]에서 MVP를 선정하면서 김태균을 소개할때 붙인 별명 * '''김사이다, 김해결''': 6월 5일 경기에서 결승타를 쳐내 붙인 별명 * '''김소금쟁이, 김궁뎅이, 김푸짐, 김수비''': 1루에서 공을 잡으면서 넘어졌기에 아웃 처리 되었으나 합의판정 요청 후 베이스에 발이 붙인 상태에서 공이 들어간게 확인되자 세이프로 판정되어서 붙인 별명 * '''김조폭, 김깡패''': 3:4 스코어에서 역전 투런을 쳐내면서 [[윌린 로사리오]]랑 [[이용규]]의 공격을 막으며 한대씩 때리면서 덕아웃에 들어와서 붙인 별명. 7월 7일 경기 참조. * '''김머쓱, 김착각''': 전 타석에서 역전포를 쏘아올리고 한 이닝에 연타석 홈런을 도전한듯했으나...담장 맞고 떨어지는 펜스 1루타 기록.(...) 인터뷰에서 넘어가는줄 알았는데 아니어서 머쓱했다고. * '''김픽쳐, 김큰그림, 김도루''': SK전 3회 11점차에서 첫도루를 하면서 까였는데[* 무관심 도루였다.] 9회에 4점차까지 좁혀지면서 재평가되었다. * '''김치졸, 김상상, 상상파울''': 8월 4일 KIA 전에서 9회초 2아웃에서 떨어지는 공에 헛스윙 삼진을 당했는데, 스치지도 않은 공을 가지고 파울이라는 주장을 한 뒤 합의판정을 해서 획득. 비디오 판독 결과 공과 방망이의 차이는 꽤 났다. * '''김충돌, 김도저, 비켜상원아''': 8월 9일 삼성전에서 3루로 가던중 [[백상원]]이랑 충돌을 했다. * '''김데굴, 김밥말이''': 8월 26일 sk전에서 홈승부를 하면서 두루치기하듯 데구르르 구르면서(...)들어와서 붙인 별명. * '''김포커, 김스트레이트, 김콤보''': 8월 27일 sk전에서 홈런 하나 더 추가하면서 8월간 5홈런을 쳤는데, 우연찮게도 4월에 1개, 5월에 2개 , 6월에 3개, 7월에 4개를 쳐서~~등차수열~~ 홈런 수로 포커한다고(...)해서 붙여진 별명.[* 8월까진 성공했으나 9월에 5홈런으로 그쳐 실패 ~~아쉽다~~] * '''김연어''': 초반의 부진 당시 많은 우려를 딛고 [[내려갈 팀은 내려간다|올놈올]]의 표본을 보여주며 뜨거운 타격감으로 후반기 타율 1위로 시즌 타자 순위 싸움중을 두고 기존 별명인 [[돗돔]]이 아니라 [[연어]]라면서 붙여진 별명.[* 돗돔은 심해어인 반면 연어는 폭포 위로 거슬러 올라가는 회유성 어종이다.] * '''김본즈''': 9월 4일 넥센전에서 8회초 만루상황 고의사구같은 볼넷을 얻어 밀어내기로 출루하였다. 만루 고의사구를 받았던 [[배리 본즈]]와 비슷한 상황이 펼쳐졌다. * '''김대피''': 9월 12일 [[2016년 경주 지진|연속으로 일어난 규모 5.1, 5.8의 지진]]을 경험한 야갤러들은 김지진, 김도망이 아닌 김대피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 '''콩태균, 김두콩''': 2016시즌 타격 기록에서 타율 2위, 최다안타 2위,타점 2위, 2루타 2위로(...) 4개 모두 1위인 [[최형우]]에게 뒤쳐져서 붙혀진 별명. * '''김출루, 김삼백, 김스파르타''': 10월 3일, KBO 역대 최초 300출루 달성기념으로 붙여진 별명이다. * '''김따뜻, 김친절''': 야구친구에 김태균이 서울고에서 배팅연습 한후 후배들을 격려해 주는 모습을 보며 붙여진 별명--- 김ㄸㄸ 이라고 적기도 하는데 저 약어보고 몇몇은 [[김상현(1980)|이분]] 생각하는 듯-- * '''김삼천, 김자축''': 10월 5일 KBO 역대 최연소 3000루타를 홈런으로 달성하며 기념으로 붙여진 별명이다. * '''김골글''': 골든글러브를 수상해서 * '''김전설''': 위에 3000루타와 시즌 300회 출루 등 이번시즌 새로운 전설을 쓰고있기 때문에 붙여진 별명 * '''김초밥, 돗돔초밥, 김성민''': 출루왕 시상식 때 머리스타일이 꼭 초밥(...)처럼 이상하게 덮여있다고 해서 붙여진 별명. 마침 같은 머리스타일로 시상받었었던 문성민 짤방과 함께 비교짤로 돌아다니고 있다. [[분류:김태균/별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