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태욱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한화 이글스 역대 1차 지명선수)] ---- ||
'''김태욱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68번}}}''' || || [[신성현]][br](2016) || {{{+1 →}}} || '''김병현[br](2017~2018)''' || {{{+1 →}}} || [[이원석(1999)|이원석]][br](2019.5.1.~2019) || || [[이원석(1999)|이원석]][br](2019.5.1.~2019) || {{{+1 →}}} || '''김병현[br](2020)''' || {{{+1 →}}} || [[유로결|유장혁]][br](2021) || ||<-5> '''{{{#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91번}}}''' || || [[송창현]][br](2020) || {{{+1 →}}} || '''김태욱[br](2021)''' || {{{+1 →}}} || [[최이경]][br](2022) || ||<-5> '''{{{#fff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101번}}}''' || || [[김인환]][br](2021) || {{{+1 →}}} || '''김태욱[br](2022)''' || {{{+1 →}}} || [[김관우(야구선수)|김관우]][br](2023~) || ||<-5> '''{{{#ffffff [[롯데 자이언츠|{{{#fff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107번}}}''' || || [[박영완(야구선수)|박영완]][br](2019) || {{{+1 →}}} || '''김태욱[br](2023~2023.8.12.)''' || {{{+1 →}}} || 결번 || ||<-5> '''{{{#ffffff [[롯데 자이언츠|{{{#fff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14번}}}''' || || [[김세민(2003)|김세민]][br](2022~2023.7.23.) || {{{+1 →}}} || '''김태욱[br](2023.8.13.~2023)''' || {{{+1 →}}} || 결번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creenshot_20230902_122324_Chrome.jpg|width=100%]]}}} || ||<-2> '''{{{+2 김태욱}}}[* 개명 전 이름은 김병현.][br]Kim Tae-Wook''' || ||<|2> '''출생''' ||[[1998년]] [[4월 15일]] ([age(1998-04-15)]세)|| ||[[충청남도]] [[예산군]]||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학력''' ||온양온천초 - [[온양중학교|온양중]] - [[북일고등학교 야구부|북일고]]|| || '''신체''' ||187cm, 88kg|| || '''포지션''' ||[[투수]]|| || '''투타''' ||[[좌투좌타]]|| || '''프로입단''' ||[[KBO 리그/2017년/신인드래프트#s-2|2017년 1차 지명]] ([[한화 이글스|한화]])|| || '''소속팀''' ||[[한화 이글스]] (2017~2021, 2022)[br][[파주 챌린저스]] (2023)[br][[롯데 자이언츠]] (2023)|| || '''병역''' ||[[상근예비역]] [[병장]] [[소집해제]][br]{{{-2 (2018년 10월 16일 ~ 2020년 5월 29일)}}}||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한화 이글스]], [[롯데 자이언츠]] 소속 좌완 투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태어나서부터 오른손잡이로 초등학교 4학년 때까지만 우완으로 던졌다. 하지만 팔을 다쳐 의사로부터 '오른팔로 야구를 할 수 없다'[* 4년간 공을 만지지 말라고 했단다.]라는 진단을 받자 과감히 왼손으로 전향했다. 마치 일본의 유명한 야구 애니메이션 [[메이저(만화)|메이저]]의 주인공 [[시게노 고로]](박찬)와 비슷한 케이스다. [[http://news.joins.com/article/3673085|출처]] 멀리 갈 것도 없이 비슷한 사례로 팀 대선배 [[구대성]]이 있었다. 이런 일은 매우 힘들다고 하는데, 이 때문에 김병현의 근성을 기대하는 팬들이 많다. 고교 통산 19경기에 출전하여 9승 2패 94⅔이닝 평균자책점 3.42을 기록했다. 직구 최고 구속은 142km/h 정도가 나올 정도로 높지 않지만, 체격조건이 좋아 구속이 상승할 여지는 충분하다. 또, 변화구로는 슬라이더와 커브를 구사할 수 있다고 한다. === [[한화 이글스]] === ==== 2017 시즌 ==== 팔꿈치 상태가 좋지 않아 마무리 캠프를 소화하지 못하고 있다고 [[김성근]] 감독이 밝혔다. 퓨처스리그 개막과 함께 선발 로테이션에 합류했다가 선발과 구원을 왔다갔다 하는 식으로 출전했다. 퓨처스리그 성적은 24경기 17선발 2승 10패 1홀드 54K 6.38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사실 겉으로 보는 성적으로는 큰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지만 다른 의미로 생각해보면 대단하다. 대부분 신인들의 1년차는 재활을 하는 경우가 빈번하지만 로테이션을 거의 거르지 않고 정상적으로 돌았다는 것, 1년차 신인이 2군 로테이션을 풀로 소화했다는 그 자체만으로 박수받아야 할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군에 올라가지 못했다는 점은 아쉽다고 평가받는다.[* 올 시즌 육성선수가 아닌 등록선수로 이름이 올라가 있었다!] 당연히 내년 목표는 1군에 올라가는 것 이라고 한다. 시즌 중계 중 투구폼은 키킹과정에서 팀 내 투수 [[김범수(야구선수)|김범수]]처럼 잠시 멈춤동작이 있었지만 9월 26일 서산에서 열린 연습경기에서는 그런 동작이 사라졌다. 얼핏 보면 [[차우찬]]이 던지는 모습과 흡사하다. ==== 2018 시즌 ====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117&aid=0003016172|한화 김병현·김민하·김태연, 1군 캠프 합류…박정진은 귀국]] 시작을 2군 고치 캠프에서부터 시작했으나 2월 22일, 오키나와 스프링캠프에 중도 합류하기로 결정되었다. [[강경학]], [[김진영(1992)|김진영]], [[김진욱(2000)|김진욱]]이 2군 캠프로 이동했다.[* [[박정진]]은 컨디션 저하로 아예 귀국했다.] 2월 27일 LG와의 연습경기에서 삼진 두 개를 잡은 이후 백투백 홈런을 맞아 1이닝 2실점을 마크했다. 점수 차가 8점차라 큰 의미는 없었지만, 일단 홈런을 맞더라도 안 쫄고 스트라이크를 욱여넣는 피칭을 고평가해주는 팬들이 생겨나고 있는 듯. 3월 16일 kt전에서 2점 차로 뒤진 9회초 등판했으나 [[오태곤]]에게 투런을 허용하는 등 1이닝 2실점을 기록했다. 팀이 9회말 상대 실책을 틈타 2점을 뽑아주었기에 더 아쉬운 기록. 2군에서 작년에 선발 로테이션을 돌았던 것과 반대로 불펜으로 뛰고 있다. 4월 4일 이후 경기 기록이 없었으며 5월 11일에야 육성군에서 2군으로 올라왔다. 표본이 4경기로 많지는 않지만 평균자책점이 2.70, 삼진이 5개, 4사구가 1개로 비율 자체는 나쁘지 않다. 6월 7일, 두산과의 퓨처스리그 경기에서 선발로 등판, 6이닝 5피안타 6K 무실점을 기록했다. 중요한 것은 이 경기에서 4사구가 단 한 개도 없었다는 것. 10경기 동안 선발로 1차레 출전하여 1승 1홀드 17이닝, 1.59의 평균자책점, 피안타율은 0.238을 기록하고 있다. 삼진 16개, 4사구 4개로 비율도 괜찮으며, WHIP는 무려 1.06. 이를 기점으로 다시 선발로 전환된 듯하다. [[박성웅(야구선수)|박주홍]]과의 경쟁에서 승리한다면 1군에서도 기회가 주어질 듯. 2018 시즌 역시도 1군 등판 없이 시즌을 마감하게 되었다. 10월 16일 군입대하여 상근예비역으로 복무하였고, 2020년 5월 29일 전역했다. ==== 2020 시즌 ==== 복귀 후 육성선수로 전환되었다. 2군 경기에 불펜자원으로 나오고 있긴 하지만, 17일 이전 경기에서는 실점 없는 피칭을 잘 보여줬지만 17일 두산과의 경기에서 ⅔이닝 동안 9타자에게 '''4피안타, 3볼넷, 4실점'''을 하며 완전히 망가지는 모습을 보였다. ==== 2021 시즌 ==== 김태욱으로 개명을 한 사실이 공개되었다. 3월 3일 열린 팀 내 연습경기에 등판해 1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그런데 10월 14일 육성 말소(방출)되었다. [[성시헌]]에 이어서 '''1차 지명 선수의 두 번째 방출'''이다. ==== 2022 시즌 ==== [[https://blog.naver.com/sstcompany/222733281415|SSTC 야구 아카데미]] 측에 따르면 [[두산 베어스]]에서 방출됐던 [[오세훈(야구선수)|오세훈]]과 함께 [[한화 이글스]]에 재입단하였다고 한다. 입단 테스트에서, 패스트볼 최고 구속은 147km/h를 기록했다고 한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477&aid=0000359909|#]] 성장 정체 및 방황하는 모습 때문에 방출되었지만, 방출하면서 제시한 목표를 채우면 다시 기회를 주겠다 했고 그 목표치를 개인 훈련으로 채웠다고 한다. 재입단 이후 5월 25일 SSG와의 퓨처스리그 경기에 두 번째 투수로 등판했고, 2이닝 동안 피안타 없이 3사사구 2탈삼진 무실점 투구로 팀 타선의 도움을 받아 이 날 경기의 승리투수가 되었다. 그러나 시즌 종료 후 육성 말소되면서 선수 경력 두 번째 방출을 당했다. 결국 끝내 두 번째 기회도 살리지 못하며 한화의 1차지명 잔혹사가 추가되었다. 아직 나이가 젊고 좌완투수가 필요한 팀들이 데려갈 가능성이 있다. 이후 [[파주 챌린저스]]에 입단한 사실이 확인되었다. === [[롯데 자이언츠]] === ==== 2023 시즌 ==== 3월 16일, 파주 챌린저스 인스타그램에 롯데 자이언츠로 입단했다는 소식이 올라왔다. 3월 24일 KBO 공식 사이트의 선수 명단에 등재되었다. 등번호는 107번으로 [[육성선수]]로 계약했다. 7월 20일 기준 퓨처스 리그에서 19경기 2승 3패 4홀드 ERA 3.48을 기록중이다. 후반기 확대 엔트리 때 콜업을 기대해볼 만하다. 8월 13일 정식선수로 전환되었으며, 동시에 1군에 콜업되었다. 배번은 [[김세민(2003)|김세민]]의 입대로 비어있던 14번을 받았다. 8월 17일 사직 SSG전 11점차로 앞선 9회초에 등판하며 '''프로 입성 7년만에''' 1군 데뷔전을 치렀고 무실점으로 막아내었다. 시즌이 끝난 10월 17일 [[윤명준]], [[국해성]]과 함께 웨이버 공시되었다. == 피칭 스타일 == == 연도별 성적 == ||<-16>
{{{#ffffff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2017 ||<|6> [[한화 이글스|한화]] ||<-14><|2> 1군 기록 없음 || || 2018 || || 2019 ||<-14> 군복무([[상근예비역]]) || || 2020 ||<-14><|3> 1군 기록 없음 || || 2021 || || 2022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2023 || [[롯데 자이언츠|롯데]] || 1 || 1 || 0 || 0 || 0 || 0 || 0.00 || 0 || 0 || 0 || 0 || 0 || 0 || 0 || ||<-2> '''[[KBO 리그|KBO]] 통산'''[br](1시즌) || 1 || 1 || 0 || 0 || 0 || 0 || 0.00 || 0 || 0 || 0 || 0 || 0 || 0 || 0 || == 여담 == * [[김병현]]이 KIA의 보호 선수단 명단에서 제외되고 김성근 감독이 영입을 타진했으나 구단이 메디컬 체크 후 영입 불가를 선언해 두 선수가 한화에서 만날 일은 없게 되었다. 이후 동명이인이 사실상 은퇴한 상황이라서 두 사람이 현역 선수로 만나게 될 일은 아예 없게 되었다.[* 여담으로 김태욱은 [[김병현]]이 병역 혜택으로 미국 진출의 발판을 마련한 [[1998 방콕 아시안 게임]]이 개최되던 해에 태어났다.] * 한화에서 방출된 후 [[최강야구]] 시즌 2 트라이아웃에 출연했었다. 하지만 2차 테스트에서 탈락한 뒤 롯데에 입단하며 프로 복귀에 성공함에 따라 [[최강 몬스터즈]] 합류는 불발되었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98년 출생]][[분류:2023년 데뷔]][[분류:예산군 출신 인물]][[분류:온양중학교 출신]][[분류:북일고등학교 출신]][[분류:좌완 투수]][[분류:좌투좌타]][[분류:빙그레-한화 이글스/은퇴, 이적]][[분류:롯데 자이언츠/은퇴, 이적]][[분류:개명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