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팔]][[분류:손]][[분류:근육]] [include(틀:근육)] ||||
{{{#ffffff ''' ''flexor digitorum profundus'' '''}}}[br]{{{#ffffff ''' ''(깊은손가락굽힘근, 심지굴근)'' '''}}} || |||| [[파일:깊은손가락굽힘근.jpg|width=100%]] || || 이는 곳[br](origin) || 자뼈의 앞안쪽 면[br](anteromedial surface of ulna) || || 닿는 곳[br](insertion) || 둘째~다섯째손가락 끝마디뼈바닥[br](base of 2nd~5th distal phalanges) || || 동맥[br](artery) || 앞뼈사이동맥[br](anterior interosseous artery) || || 신경[br](nerve) || 안쪽: 자신경(ulnar nerve)[br]가쪽: 정중신경의 앞뼈사이신경(anterior interosseous n. of median nerve) || || 기능[br](action) || 2~5번째 손가락들 굽힘[br](flexion of 2nd~5th fingers) || [목차] [clearfix] == 개요 == 깊은손가락굽힘근(flexor digitorum profundus muscle)은 [[자뼈]]에서 일어나 손가락의 끝마디뼈들에 닿는 아래팔 앞칸 깊은층의 근육이다. 개정 이전 용어는 심지굴근([[深]][[指]][[屈]][[筋]])[* [[깊을 심]], [[손가락 지]], [[굽힐 굴]], [[힘줄 근]].]. == 구조 == || [[파일:깊은손가락굽힘근과긴엄지굽힘근.jpg|width=100%]] || [[파일:깊은손가락굽힘근상세.jpg|width=100%]] || || 아래팔 앞칸 셋째 층 || 깊은손가락굽힘근의 구조 || 깊은손가락굽힘근은 아래팔 앞칸 깊은층 근육들 3개를 다시 3층과 4층으로 나눴을 때, [[긴엄지굽힘근(손)|긴엄지굽힘근]](flexor pollicis longus m.)과 함께 3층에 위치한다. 상당히 넓고, 매우 두꺼운 근육이다. [[벌레근(손)|벌레근]]들(lumbrical mm.)은 이 근육의 힘줄들에서 일어난다. 자뼈와 [[노뼈]] 사이의 뼈사이막(interosseous membrane) 일부와 자뼈의 앞면과 안쪽면 3/4 정도, 아래팔의 깊은 근막(deep fascia) 등에서 일어난다. 그 후 둘째손가락으로 가는 힘줄이 먼저 나눠지고, 나머지 세 개의 힘줄은 손바닥 부위까지 성긴결합조직(loose connective tissue)으로 묶인다. || [[파일:손바닥윤활집.jpg|width=100%]] || || 손바닥의 윤활집들 || 힘줄들은 [[얕은손가락굽힘근]](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m.) 힘줄들 깊은쪽에서 같이 손가락굽힘근온힘줄집(common flexor sheath)에 싸이고, [[손목터널]](carpal tunnel)을 지나서 각각의 손가락들로 나누어져 가 손가락 섬유집(fibrous sheath)에 싸인다. 근육을 지배하는 신경은 근육의 부위마다 다르다. 둘째와 셋째손가락으로 가게 되는 가쪽 부분은 [[정중신경]](median n.)의 가지인 [[앞뼈사이신경]](anterior interosseous n.)이다. 반면 넷째와 다섯째손가락으로 가는 근육의 안쪽 부분은 [[팔신경얼기]](brachial plexus)의 안쪽다발 종말가지인 [[자신경]](ulnar n.)이다. 자신경은 아래팔 앞칸에서 이 안쪽 부분과 [[자쪽손목굽힘근]](flexor carpi ulnaris m.)만을 지배한다. 혈액을 주로 공급하는 동맥은 [[자동맥]](ulnar a.)에서 갈라져 나온 [[온뼈사이동맥]](common interosseous a.)이 다시 갈라진 [[앞뼈사이동맥]](anterior interosseous a.)이다. == 기능 == 둘째~다섯째 손가락 끝마디뼈바닥에 붙은 깊은손가락굽힘근은 주로 먼쪽손가락뼈사이관절(distal interphalangeal joint, DIP)에서 끝마디뼈들을 굽힌다. 물론 이게 주된 작용일 뿐, 그 외에 근육이 주행 중 지나가는 손허리손가락관절(metacarpophalangeal joint, MCP), 몸쪽손가락뼈사이관절(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 PIP)에서도 각각 첫마디뼈들과 중간마디뼈들을 굽힐 수 있다. 얕은손가락굽힘근과 다르게 [[위팔뼈]] 밑에서 일어나므로 팔꿉관절(elbow joint)에는 작용하지 않는다. [[대항근]]은 아래팔 뒤칸의 손가락을 펴는 [[손가락폄근]](extensor digitorum m.)이다. == 사진 == || [[파일:아래팔단면들.jpg|width=100%]] || || '''아래팔의 단면들''' || (단면 사진의 글자가 안 보이면 클릭해 파일 문서에서 확대하여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