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한국식 중화 요리]] [include(틀:한국식 중화 요리)] [include(틀:일본식 중화 요리)] ||[[파일:乾燒明蝦.jpg|width=400px]] || [[파일:깐쇼새우.jpg|width=400px]] || || 쓰촨식. 간결하게 [[고추기름]]과 마라 양념에 볶아낸 형태다. || 일본식. 소스의 점도가 진해졌으며, 흔히 국내에서 알려진 형태는 이 쪽이다. || ||<:><-2> '''언어별 명칭''' || || [[중국어]] || 干烧(明)虾(간체)/乾燒(明)蝦(번체) || || [[영어]] || Chili Shrimp || || [[일본어]] || エビチリ || [목차] [clearfix] == 개요 == [[새우튀김]]에 [[케첩]], [[두반장]]을 넣어 만든 [[칠리소스]]를 곁들여 만든 [[중화 요리]]이다. 본래 [[사천 요리]]의 간샤오밍샤(최상단 왼쪽 사진)는 새우튀김을 [[마라]] 등 여러 가지 재료를 넣은 고추기름에 볶아내는 요리였다. 그런데 [[상해 요리]]로 전수되는 과정에서 케첩을 넣게 되었고, 이 방식이 [[일본식 중화 요리]]로 편입되었다.[* 영어 위키피디아에서도 일본 요리 프로그램에 출연한 중화요리사의 예시를 들어 일본식으로 보고 있다.] 칠리새우로도 불리고 두 요리를 분리해서 판매하는 경우도 있다. [[https://iwanttobearichman.tistory.com/24|깐쇼새우와 칠리새우의 차이로 두반장인지, 칠리 소스인지로 구분하는 의견도 있으나]] 두 요리의 골자는 튀긴 새우를 빨간 양념에 버무리거나 튀긴 새우 위에 빨간 양념을 부은 요리고, 두 요리의 맛도 매운맛+신맛+단맛 위주라는 점에서 엄밀히 구분하는 의미가 없다. 영어 위키피디아에서도 [[https://en.m.wikipedia.org/wiki/Chili_shrimp|같은 요리로 취급]]한다. [[중국집]]에서는 취급하는 가게도 있고 그렇지 않은 가게도 있다. 중국집에서 깐쇼새우나 칠리새우가 메뉴에 있다면 상당히 비싸게 가격이 책정된다. 아무리 싸도 2만원은 족히 넘어가고, 더 비싸면 3만원을 넘길 수도 있다. 때문에 직접 사 먹는 선호도는 다소 낮으며, 중식 코스에 포함되거나 [[뷔페]] 메뉴로 자주 볼 수 있다. == 베리에이션 == === 크림새우 === [[파일:크림새우.jpg]] 중국어 간체자: 富贵明虾, 정체자: 富貴明蝦 깐쇼새우의 매운맛을 싫어하는 입맛에 맞춰 소스를 바꾼 요리. 이름은 '''크림'''새우지만, 사실 [[크림소스 스파게티]]같은 [[생크림]] 베이스의 요리가 아니라, [[마요네즈]] 베이스에 [[레몬]]즙으로 신맛을 더한 소스다. 레몬즙 대신 [[망고]]즙을 넣은 경우도 있다. 조리사의 취향에 따라 생크림을 쓸 수도 있지만 특유의 '''좀 저렴하면서도 맛있는 맛'''을 내려면 마요네즈가 필수적이다. 깐쇼새우와 마찬가지로 중식코스에 많이 들어가기도 하고 뷔페에서도 적지 않게 볼 수 있다. "진쓰(金丝, 金絲, jīnsī, 금사)"라 불리는 얇은 감자 튀김을 올려 먹기도 한다. === 깐풍새우 === 새우튀김에 [[깐풍기]] 양념을 넣고 양파, 피망, 홍고추 등을 넣은 뒤 볶아서 만든 요리이다. == 조리법 == [youtube(HHxrciV2-MU)] [youtube(SpaHdzvQRV4)] [youtube(5UVURwno_jA)] 조리법 자체는 [[새우튀김]]을 할 줄 안다면 아주 어렵지 않다. 소스 만들기도 귀찮다면 그냥 칠리소스를 마트에서 구해서 조리할 때 쓰면 그만이다. == 대중매체에서 == 만화 [[철냄비짱]]의 2부인 R에서 등장. 서틴드래곤배 요리대회 본선 8강전에서 주제로 [[새우]]가 주어지자. 약속이라도 한 듯이 8명의 참가자 모두가 칠리새우를 조리하겠다고 해 새우 종류, 조미료, 스파이스유까지 각양각색의 8가지 칠리새우가 펼쳐진다. == 기타 == [[트위치]]의 [[스트리머]] [[얍얍]]이 [[시청자]]가 후원한 깐쇼새우를 먹다가 남긴 것 때문에 '깐쇼'라는 말이 트위치에서 음식을 남기는 것을 일컬을 때 사용되곤 했다. [[분류:중화 요리]][[분류:사천 요리]][[분류:일본식 중화 요리]][[분류:새우 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