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지속 함정]]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함정 카드. == 설명 == === 원작 === [[파일:Life-ShaverFL.jpg]] || 한글판 명칭 ||'''사그라지는 생명''' (원작)[br]'''꺼져가는 생명'''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일어판 명칭 ||'''[ruby(削, ruby=けず)]りゆく[ruby(命, ruby=いのち)]'''|| || 영어판 명칭 ||'''Life Shaver'''|| ||<-2> 일반 함정 || ||<-2>이 카드를 리버스 상태로 놔둔 턴 수와 같은 수의 카드를 상대의 카드패에서 빼내 묘지에 버린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결선 편|배틀 시티 결선 편]]에서 [[어둠의 유우기]]가 [[카이바 세토]]와의 듀얼 중 덱에 투입한 카드로 등장. 유우기의 패에 있었으나 [[익스체인지(유희왕)|익스체인지]]로 인해 [[카이바 세토]]의 손에 들어가서[* 사실 이건 결과적으로 드물게 유우기의 실수였다. 카이바의 두 번째 턴에 오벨리스크 소환 콤보를 저지하고 다음 자신 턴에 이 카드가 들어왔고 바로 세트하지 않은 것이 화근이 되었던 것.] 유우기의 [[오시리스의 천공룡]]을 약화시키는 데에 쓰였고[* 때문에 유우기는 카이바가 카드를 세트할 때마다 꺼져가는 생명이 아닌가 경계하기도 했다.] 오시리스와 오벨리스크가 동귀어진하는 결과를 낳았다. 세트한 턴 수만큼 상대의 패를 털어가는 흉악한 성능을 자랑하는 함정 카드. 없어지지만 않는다면 상대 패의 카드를 전부 털어버리는 것도 가능하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削りゆく命.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꺼져가는 생명, 일어판명칭=(けず)りゆく(いのち), 영어판명칭=Life Shaver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효과1=①: "꺼져가는 생명"은 자신 필드에 1장밖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수 없다., 효과2=②: 상대 엔드 페이즈에 발동한다. 이 카드에 카운터를 1개 놓는다., 효과3=③: 이 카드에 카운터가 놓여 있을 경우\, 자신 / 상대의 메인 페이즈 및 배틀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낸다. 그 후\, 이 카드에 놓여 있던 카운터의 수까지\, 상대는 패를 가능한 한 고르고 버린다.)] 25주년 얼티메이트 카이바 세트를 통해 OCG화가 결정되었다. 원래는 유우기의 카드지만 카이바의 카드로써 OCG화되었다. 효과 자체는 원본 그대로 나왔다. 하지만 세트된 턴을 세는게 아니라, 발동한 후에 카운터를 놓고 그 수만큼 상대 패를 터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이로 인해 카드 종류도 일반에서 지속으로 바뀌었고, 발동 이후부터 카운터를 놓을 수가 있어 발동 타이밍은 많이 느려졌다. [[핸드 데스]]의 위력을 생각한다면 당연한 너프. 타이밍과 쌓는 속도가 느리다 하더라도 두 세 카운터만 쌓아도 흉악한 성능을 자랑하며, 카운터 하나 쌓는데만 성공해도 아드 교환까지는 성립하니 상대 입장에서는 우선적으로 견제해야 한다. 마함 보호 능력이 출중한 [[용기사 블랙 매지션]]과 시너지가 좋다. 마침 이쪽도 유우기의 카드이다. ||<-5>수록 시리즈 || ||<(> 2022-04-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KC01-JP002 | '''25th ANNIVERSARY ULTIMATE KAIBA SET'''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23-05-1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23PP-KRB35 | '''[[프리미엄 팩/한국판|프리미엄 팩 2023 2nd WAV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