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주로 [[AOS]], 팀제 [[FPS]]를 비롯한 [[팀플레이]] 게임 등에서, 정석이나 권장되는 캐릭터, 숙련도가 있는 캐릭터가 아닌 '''꼴'''리는 캐릭터를 고르는('''픽''', Pick) 행위를 뜻한다.[* 여기서 '''꼴린다'''는 의미는 흔히 이야기하는 성적 꼴림이 아닌, 성능이나 컨셉, 플레이스타일 등 호감가는 요소 전반에 적용된다. 물론 어원 자체는 그 성적인 꼴림이 맞지만.] 이런 꼴픽에 등장하는 캐릭터들은 보통 팀과 조화를 이루기보다는 그냥 플레이하는 사람이 즐거운 캐릭터인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 때문에 팀과의 협력이 필요한 [[온라인 게임]] 전반에서 팀과 불협화음이 나는 것은 기본이고 심지어는 픽한 것만으로도 게임에서 질 수도 있다. == 문제가 되는 이유 == [[MMORPG]]처럼 아예 특정 캐릭터를 지정하고, 그 캐릭터에 맞는 팀을 찾아갈 수 있는 게임에서는 이런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솔로잉|솔로 플레이]]가 주류인 게임들도 자신이 어떤 캐릭터를 고르건 간에 자신만 감당하면 되는 문제이므로 역시 꼴픽 문제가 없다. 하지만 [[AOS]] 장르처럼 경기라는 개념이 있고, 여러 사람들이 한 전투에서 제각각 매칭되며, 게임이 시작하고 나서 다양한 캐릭터(특히 캐릭터별 역할구분이 명확한 경우)를 선택할 수 있는 경우라면 크게 문제가 된다. 꼴리는 대로 픽을 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탱커]]-[[딜러]]-[[힐러]] 체제나 [[EU 스타일]] 등 기존의 정석적인 전략에 비해 운영 방법이 많이 달라진다. 평소 합을 맞춰 본 사람들끼리라면 문제가 안 되겠지만, 처음 보는 사람들과 합을 맞춰 새로운 운영 방법을 사용해야 하니 승리하기 어려워진다. 1. 또한 꼴픽에 주로 등장하는 캐릭터들은 보통 팀원에게 맞춰주는 캐릭터가 아닌, 팀이 자신에게 맞춰줘야 하는 캐릭터들이다. 즉 꼴픽이 있는 팀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서로 협력하는 것이 아닌, 꼴픽 유저에게 맞춰주는 플레이를 해야 한다. 꼴픽 유저들도 대체로 이런 플레이를 할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팀원들의 불만이 쌓이고 사기가 떨어지기 쉽다. 요컨대, 조화가 전혀 되지 않기 때문에 게임 패배율이 높고, 서로 믿고 의지해야 승리할 수 있는 팀 게임에서 팀원들의 불만과 분노를 사기 쉽다. == 꼴픽이 발생하는 원인 == 꼴픽의 원인은 다양한데, 주로 "1. 자신감이 과함"과 "2. 게임에 대한 이해도가 낮음", "3. 그냥 이 캐릭터로 하고 싶어서"가 원인이다. 특히 1이 문제되는데, 게임의 스타일이나 성향, 전략을 모두 무시한 채 자신이 하고 싶어 하는 캐릭터로 뭔가 해낼 수 있다는 [[근자감|근거 없는 자신감]]과 남들 앞에서 활약하고 싶다는 심리로 게임에 임하기 때문에, 승리를 추구하는 다수의 플레이어들에게는 암적인 존재로 여겨진다. 2와 3은 [[봇|AI전]]이나 [[티어]]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고, 유명 게임 가운데 다수가 그 방법을 택하기에 큰 문제는 없다. == 꼴픽은 절대 안되는가 == 참으로 애매하다 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 모든 캐릭터들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분명히 유저들의 권한이다. 해당 캐릭터로 실력을 기르고 [[장인]]의 수준에 이르려면 어쩔 수 없이 그 캐릭터를 선택해서 게임을 해봐야 하기 때문에 운영 입장에서 이를 막을 수는 없고, 또 특정 직업군 성향의 사람들만 모일 경우에도 조화가 이뤄지지 않기 때문에 반 강제적으로 꼴픽이 발생하며 [[정치질]]이 발생해 서로에게 책임이 전가되는 상황에서는 운영진이 개입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운영진 입장에서도 꼴픽이라고 마구잡이로 막을 수도 없는 노릇이다. == 꼴픽에 대한 운영진의 책임 == 그러나 '''꼴픽'''이라는 이 행위 자체가 게임 내에서 도가 넘게 심각할 때는 해당 게임 자체의 운영 자질 문제로도 이어진다. [[운영진]]의 책임이 전혀 없다고 하기는 힘든 것이 [[밸런스 붕괴|게임에 조화되지 않는 성능의 캐릭터]]를 내놓았는가도 따져야 하기 때문이다. 많은 상황에서 밸런스가 맞기 힘든 캐릭터[* 대표적으로 [[팀 포트리스 2]]의 [[스씨]], [[오버워치]]의 수비 영웅 등]가 있다면 그건 분명 제작사의 책임이다. == 운영차원에서는 미진한 대응 == 많은 게임에서는 꼴픽 자체보다는 게임에 충실히 임하지 않거나([[탈주]]), 욕을 하거나([[욕설]]), 타 유저들을 악의적으로 방해하는 경우([[트롤링]])에 처벌할 뿐, 꼴픽 자체를 처벌하는 경우는 드물다. 꼴픽을 했다는 증거를 찾는게 다른 문제들에서 증거를 찾는 것 보다 어려운 편이라는게 주 원인으로 추측된다. [[분류:게임 속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