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learfix] == 사슴의 한 종류 == ||<-2><#F60> '''{{{#FFF {{{+1 꽃사슴}}}(대륙사슴, 매화록)[br]Sika de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꽃사슴 무리.jpg|width=100%]]}}} || ||<#F93> '''학명''' || ''' ''Cervus nippon'' '''[br]Temminck, 1838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포유류|포유강]]^^Mammali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경우제류|경우제목]]^^Cetartiodactyl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사슴과^^Cervid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사슴속^^Cervus^^||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꽃사슴^^''Cervus nippon''^^'''||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아종}}}]]''' || ||<-2><#fff>{{{#!folding [펼치기·접기] * 일본사슴(규슈사슴)(''C. n. nippon'') * 혼슈사슴(''C. n. aplodontus'') * 에조사슴(''C. n. yesoensis'') * 야쿠사슴(''C. n. yakushimae'') * 쓰시마사슴(''C. n. pulchellus'') * 게라마사슴(류큐사슴)(''C. n. keramae'') * 마게사슴(''C. n. mageshimae'') * 산시사슴(''C. n. grassianus'') * 대륙사슴(''C. n. mantchuricus'')[* 한반도 북부에 서식하고 있는 아종으로서 우수리사슴의 동물이명으로 취급하는 경우가 있으나 소수 의견이다.] * 우수리사슴(''C. n. hortulorum'')[* 1967년 문교부가 출간한 '''『한국동식물도감 포유류편』'''의 [[http://www.wildlife.re.kr/mammal/order-bull/bull-nokwoo-so-deer-f-deer-sf-cervus-g-sika-sg-1.htm|사슴과 사슴아과 1/4]]에서 대륙사슴과 함께 한반도 서식 꽃사슴 아종으로 거론된 바 있는 아종이나 정확한 유전자를 알 수 없어 별도의 아종으로 취급하지 않거나 대륙사슴의 동물이명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잦다.] * 북중국꽃사슴(''C. n. mandarinus'') * 쓰촨꽃사슴(''C. n. sichuanicus'') * 베트남꽃사슴(''C. n. pseudaxis'') * 타이완꽃사슴(''C. n. taiouanus'') * †솔로엔시스꽃사슴(''C. n. soloensis'')}}} || [[파일:꽃사슴 수컷.webp]] [clearfix] [[사슴]]의 한 종류인 '''매화록'''(梅花鹿)을 말한다. 학명은 ''Cervus nippon''으로 주로 동아시아에 서식하며 수렵용으로 유럽과 북아메리카, 호주와 뉴질랜드에 많이 도입되었다. 10개 아종이 있는데 한반도에 살던 아종은 '''대륙사슴'''이다. 대륙사슴은 한반도에서 전국적으로 서식하였지만 조선시대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남획되어 남한에선 멸절되었고[* 이상오의 한국야생동물기(수렵비화)에서도 멸종 상태에 있어 보기 드물다고 한다. 이 책은 1959년에 발행되었다.], 북한에서는 야생 서식지 일부를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지만, 북한과 중국에 분포하는 대륙사슴 야생개체는 사실상 거의 멸절되었다고 본다.[* 출처 European Ungulates and Their Management in the 21st Century 2010 p. 248][* 다만 [[조선족 자치주]] 지역에서 복원 중이라는 말도 나온다.] 우리나라에서도 2012년 7월 27일 [[대한민국 환경부]]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Ⅰ급'''으로 지정해 보호하고 복원사업을 진행 중이다. 이뿐만 아니라 농가 사육도 가능하게 하여 현재는 전국 여러 지역에서 사육되고, [[제주도]]의 [[한라산]] 등지에는 인위적으로 도입되어 서식한다.[* 농가에서 탈출했거나 종교적 방생 및 관광용으로 풀어넣은 개체들이 기원이다. 이런 개체들은 일단 국내 아종들도 아닐뿐더러 일본이나 대만 출신 아종들이 마구잡이로 교배되거나 [[와피티사슴]] 같은 몸집이 더 큰 대형 사슴 종과 교잡된 개체들도 많기에 복원용으로는 부적절하여 제주도에서는 제주도 내 야생 꽃사슴들을 생태계 교란종으로 지정했다.] 다른 아종인 타이완꽃사슴은 순혈은 현지에선 멸종위기종이지만, 흔히 농장에서 키우는 대만꽃사슴들은 대개 잡종으로 이 쪽은 개체수가 많다. 잡종 개체들은 [[한국]]에서 많이 사육하여 그 [[녹용]]을 한약재로 사용하는데 녹용 품질은 소위 B급. 이런 농장에서 탈출한 사슴들이 야생화되어 외래종이 되는 바람에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고, [[TV 동물농장]]에도 관련 에피소드가 몇 번 나온 적 있다. [[서울특별시]]의 [[서울숲]]의 생태숲 구역에서 [[고라니]]와 함께 방사되어 사육 중인 꽃사슴을 구경할 수 있다. 먹이 체험도 가능하다. 이 꽃사슴들은 야생이 아니라 농장 출신 꽃사슴들이다. 일본사슴은 [[일본]]에서 [[오사카시|오사카]] 근처에 있는 관광도시 [[나라시|나라]]에 가면 발에 채이게 많은 꽃사슴들이 유적 사이에서 돌아다니는 것을 볼 수 있다. 공식적으로 1200마리가 넘고 [[도다이지]] 입구 쪽에 가장 많고 사람을 전혀 피하지 않아서 만져도 별로 신경쓰지 않는다. 그렇다고 계속 귀찮게 하면 뿔로 받으려고 하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 일본에 서식하는 유일한 사슴류로 한국에 서식하는 고라니나 노루, 사향노루가 일본에 없기 때문이다. 개체수는 3백만 마리로 추산되며 유해동물로 매년 포획된다. [[러시아]]의 [[연해주]]에서는 일본 다음으로 개체수가 많으며 [[우수리불곰]]이나 [[시베리아호랑이]]와 [[아무르표범]], [[스라소니]], [[늑대]], [[승냥이]]의 먹이 동물이다. 그 외에도 [[검독수리]]에게 50kg의 암컷 개체가 잡아먹히는 것이 카메라에 포착된 적이 있다. [[영국]], [[미국]], [[호주]], [[뉴질랜드]]에서도 과거 사냥용으로 도입된 종들이 현재 야생에서 산다. 다른 사슴들[* 고라니의 끼에우으엑!이라든가.]에 비하면 울음소리가 굉장히 귀여운 편이다. == 1에서 유래한 애칭 == 남성이 자신의 연인, 아니면 사모하는 여성을 부르는 애칭이자, 눈망울이 초롱초롱하고 선한 인상을 가진 사람(주로 여성들)에게 자주 붙는 별명. 옛날 영화에서 자주 나오는 "오, 내 꽃사슴이여!" 이런 식으로. 주로 이 대사 나오면 상대방 여성은 정색하고 도망가거나, 아니면 뺨을 후려갈기던가(...) 하는 것이 클리셰. 대한민국의 여자 배구 선수 [[황연주]][* 실제로 황연주가 [[복면가왕]]에 출연했을 때, 힌트를 주기 위해 전화연결이 되었던 배구 선수 [[김희진(배구선수)|김희진]]이 별명을 묻는 질문에 '꽃사슴'이라 답하면서 이를 인증하기도 했다.], 야구 선수 [[오선진]], 가수 [[노사연]][* [[두시만세]] 진행 당시에 붙여진 별명이며 노사연을 대표하는 별명 중 하나다.], [[양준일]][* 큰 키, 긴 목, 긴 다리, 맑은 눈으로 인해 꽃사슴이라고 종종 불렸으며 심지어 태몽에도 꽃사슴이 등장했다고 한다. 또한 양준일의 복귀작인 [[투유 프로젝트 - 슈가맨 3]]에 노사연이 제보자로 등장해 양준일을 자신과 같은 가요계의 꽃사슴이라고 언급했다.], [[장민호]], [[소녀시대]]의 멤버이자 배우 [[윤아]], [[샤이니]]의 멤버이자 배우 [[민호]][* 그렇지만 민호의 경우는 꽃사슴파와 다람쥐파가 갈린다. 어느 순간부터 [[다람쥐]]로 모에화가 자주 되더니 공식 굿즈도 ‘다라밍’이라고 하는 다람쥐 캐릭터로 나왔다.], [[NMIXX]]의 멤버 [[설윤]], 배우 [[고윤정]]의 별명이기도 하며, 사슴의 외모와 이미지 때문에 주로 눈이 크고 목이 길며 예쁘고 착하게 생긴 사람들한테 붙는 별명이다. == 국내보유현황 == 한국에는 과거 서울대공원에서 꽃사슴을 사육했지만 아주 오래전에 병에 걸리자마자 방사장에서 그대로 안타깝게도 평균수명을 못채우고 결국엔 단명으로 폐사하면서 국내에서 아쉽게도 소멸되었다 == [[98꽃사슴|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98꽃사슴)] [[분류:사슴속]][[분류:동음이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