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호쿠리쿠신에쓰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나가노현 선거구}}}}}}'''[br]{{{-1 {{{#ffffff 長野県選挙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aninsen_Nagano.svg|width=100%]]}}}|| ||<-2><:>'''선거인 수'''||<-2><:>947,426명 (2021)|| ||<-2><:>'''구성 행정구역'''||<-2><:>[[나가노현]]|| ||<-2><:>'''의원정수'''||<-2><:>2인|| ||<|2><:>'''국회의원'''||<:>'''2025 개선'''||<:>[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하타 지로]][* 코로나19 감염으로 사망한 [[하타 유이치로]]의 남동생이다.]|| ||<:>'''2028 개선'''||<:>[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스기오 히데야|| [목차] [clearfix] == 개요 == [[나가노현]] 전역을 관할하는 일본의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의 선거구이다. 유권자 수는 약 173만 명이다. 정수는 2인이며, 3년 마다 1인씩 번갈아가며 선출하는데, 이는 2016년의 [[제2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제24회 선거]]부터 바뀐 것이다. 나가노현을 기반으로 한 [[하타 쓰토무]] 전 총리와 그의 장남인 [[하타 유이치로]] 전 참의원 의원의 영향으로 혁신계 정당의 지지세가 강한 곳이다. == 현재 국회의원 == ||<:>{{{#ffffff 2025년 개선}}}||<(>[include(틀:입헌민주당 표시)] [[하타 지로]] || ||<:>{{{#ffffff 2028년 개선}}}||<(>[include(틀:입헌민주당 표시)] [[스기오 히데야]] || == 역대 국회의원 == ||<-3>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나가노현 선거구 역대 참의원의원}}}''' || ||<:>'''{{{#ffffff 연도(회차)}}}'''||<:>'''{{{#ffffff 의원명}}}'''||<:>'''{{{#ffffff 소속 정당}}}'''|| ||<|2><:>[[제1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1992(16회)]]||<:>기타자와 도시미||<:>[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이마이 기요시||<:>[include(틀:일본사회당(1945년))]|| ||<|2><:>[[제17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1995(17회)]]||<:>고야마 미네오||<:>[include(틀:신진당)]|| ||<:>무라사와 마키||<:>[include(틀:일본사회당(1945년))]|| ||<|2><:>[[제18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1998(18회)]]||<:>기타자와 도시미||<:>[include(틀:민주당(일본))]|| ||<:>와카바야시 마사토시||<:>[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1999년 일본 국회의원 보궐선거|1999(17보)]][* 무라사와 마키 의원이 임기 도중인 1999년 9월 8일 사망.]||<:>[[하타 유이치로]]||<:>[include(틀:민주당(일본))]|| ||<|2><:>[[제19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001(19회)]]||<:>요시다 히로미||<:>[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하타 유이치로]]||<:>[include(틀:민주당(일본))]|| ||<|2><:>[[제20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004(20회)]]||<:>기타자와 도시미||<:>[include(틀:민주당(일본))]|| ||<:>와카바야시 마사토시||<:>[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2><:>[[제21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007(21회)]]||<:>[[하타 유이치로]]||<:>[include(틀:민주당(일본))]|| ||<:>요시다 히로미||<:>[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2><:>[[제22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010(22회)]]||<:>와카바야시 겐타||<:>[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기타자와 도시미||<:>[include(틀:민주당(일본))]|| ||<|2><:>[[제2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013(23회)]]||<:>요시다 히로미||<:>[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하타 유이치로]]||<:>[include(틀:민주당(일본))]|| ||<:>[[제2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016(24회)]]||<:>[[스기오 히데야]]||<:>[include(틀:민진당(일본))]||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019(25회)]]||<:>[[하타 유이치로]]||<:>[include(틀:국민민주당(2018년))]|| ||<:>[[2021년 일본 국회의원 보궐선거|2021(25보)]][* [[하타 유이치로]] 참의원 의원의 코로나19 감염으로 인한 사망.]||<:>[[하타 지로]]||<:>[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022(26회)]]||<:>[[스기오 히데야]]||<:>[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선거 결과 == === [[제2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http://www.asahi.com/sp/senkyo/senkyo2016/kaihyo/B20.html|아사히 신문에 발표된 선거 결과]] [[https://news.yahoo.co.jp/articles/5b9975a6ecfee5231d67a5ae1cb9d641a37488df|야후 뉴스 논평]] ===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4> '''{{{+1 [[나가노현 선거구|{{{#fff 나가노현 선거구}}}]]}}}'''[br]{{{#fff 1인 선출 선거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003F88> [[국민민주당(2020년)|[[파일:국민민주당 로고.svg|width=50]]]] || '''[[하타 유이치로]][br](羽田雄一郎)''' || '''512,462''' || '''1위''' || || [include(틀:국민민주당(2018년))] || '''55.13%''' || '''당선''' || ||<|2><#e50038>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고마쓰 유타카[br](小松裕) || 366,810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39.46% || 낙선 || ||<|2><#FFEE02> [[NHK당|[[파일:NHK수신료를 지불하지 않는 방법을 알리는 당 로고.svg|width=45]]]] || 후라야 다카시[br](古谷孝) || 31,137 || 3위 || || [include(틀:NHK당)] || 3.35% || 낙선 || ||<|2><#ff0000> [[노동의 해방을 목표로 노동자당|{{{+1 {{{#fff '''労働'''}}}}}}]] || 사이토 요시아키[br](斉藤好明) || 19,211 || 4위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em" {{{#ffffff '''[[노동의 해방을 목표로 노동자당|{{{#fff 노동자당}}}]]'''}}}}}} || 2.07%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929,620 ||<|2> '''투표율'''[br]54.29% || || 선거인 수 || 1,744,373 || === [[2021년 일본 국회의원 보궐선거]] === ||<-4> '''{{{+1 [[나가노현 선거구|{{{#fff 나가노현 선거구}}}]]}}}'''[br]{{{#fff 1인 선출 선거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40]]]] || '''[[하타 지로]][br](羽田次郎)''' || '''415,781''' || '''1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include(틀:국민민주당(2020년))]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include(틀:일본 공산당)] 지지] || '''54.77%''' || '''당선''' || ||<|2><#e50038>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고마쓰 유타카[br](小松裕) || 325,826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42.92% || 낙선 || ||<|2><#FFEE02> [[NHK당|[[파일:NHK수신료를 지불하지 않는 방법을 알리는 당 로고.svg|width=45]]]] || 가미야 고타로[br](神谷幸太郎) || 17,559 || 3위 || || [include(틀:NHK당)] || 2.31%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895,564 ||<|2> '''투표율'''[br]44.40% || || 선거인 수 || 1,732,060 || 전임 참의원 의원이었던 [[하타 유이치로]] 참의원 의원이 [[코로나19]]로 사망하면서 진행된 보궐선거다. 원래 혁신계 정당세가 매우 강한 지역구인데다가 하타 유이치로 전 의원에 대한 추모의식, [[스가 요시히데]] 총리의 낮은 지지율이 합쳐져 입헌민주당의 승리가 예측되고 있다.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에선 [[하타 유이치로]] 전 의원의 남동생이자 [[하타 쓰토무]] 전 총리의 차남인 [[하타 지로]] 후보를 공천했다.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에선 [[비례대표]] 출신 전 중의원으로 2년전에 있었던 선거에서 하타 유이치로와 맞대결을 펼쳤던 고마쓰 유타카 후보를 재차 공천했다. [[NHK당]]에서는 가미야 고타로 후보를 입후보했다. 개표 결과, 예상대로 입헌민주당 하타 지로 후보가 자민당 고마쓰 유타카 후보를 12%p 격차로 크게 누르며 승리를 거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8oLZFPJbrY0)]}}} || || '''{{{#FFF 첫 당선의 기쁨을 누리는 하타 지로 후보}}}''' || ===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4> '''{{{+1 [[나가노현 선거구|{{{#fff 나가노현 선거구}}}]]}}}'''[br]{{{#fff 1인 선출 선거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40]]]] || '''[[스기오 히데야]][br](杉尾秀哉)''' || '''433,154''' || '''1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공산 [include(틀:일본 공산당)] 나가노현위원회 지지][*사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지지] || '''44.62%''' || '''당선''' || ||<|2><#e50038>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마츠야마 산시로[br](松山三四六) || 376,028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38.74% || 낙선 || ||<|2><#1dac42> [[일본 유신회(2016년)|[[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width=40]]]] || 데즈카 다이스케[br](手塚大輔) || 102,223 || 3위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6년))] || 10.53% || 낙선 || ||<|2><#f66620> [[참정당|[[파일:참정당 심볼.svg|width=45]]]] || 아키야마 요시하루[br](秋山良治) || 31,644 || 4위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B6100, #F39800); font-size: .9em" {{{#FFFFFF '''참정당'''}}}}}} || 3.26% || 낙선 || ||<|2><#FFEE02> [[NHK당|[[파일:NHK수신료를 지불하지 않는 방법을 알리는 당 로고.svg|width=45]]]] || 히다카 치호[br](日高千穂) || 16,646 || 5위 || || [include(틀:NHK당)] || 1.71% || 낙선 || ||<|2><#808080> {{{+3 {{{#fff 無}}}}}} || 사루사 이와부치[br](サルサ岩渕) || 10,978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1.13%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993,314 ||<|2> '''투표율'''[br]57.70% || || 선거인 수 || 1,721,369 || 1인 선출 선거구로 바뀐 이후 첫 지역구 탈환을 노리는 여당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은 라디오 DJ 출신으로 자민당 나가노현련부회장 역할을 맡고 있는 마츠야마 산시로를 후보로 내세웠고, 연립 여당 공명당 역시 마츠야마 후보를 추천했다. 제1야당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에서는 TBS 뉴스캐스터 출신의 지역구 현역 의원인 [[스기오 히데야]] 참의원을 다시 공천했다. 공산당과 사민당 역시 야권 연대를 위해 스기오 후보를 공동 추천했다. 일본 유신회에서는 1년전 보궐선거 당시와는 달리 인터넷 회사 임원을 지내고 있는 데즈카 다이스케 후보를 별도 공천하면서 1여다야 구도가 형성되었다. 한편 참정당에서는 [[유도정복술|유도정복사]]로 일하고 있는 아키야마 요시하루 후보를, NHK당에서는 일반 회사 임원으로 일하고 있는 히다카 치호 후보를 각각 공천했다. 그 외 프로 복서 출신 저널리스트 사루사 이와부치 후보도 무소속으로 도전장을 내밀었다. 선거를 앞두고 여러 언론으로부터 경합 선거구로 분류되면서 야권 지지층에 충격을 주기도 했지만, 개표 결과 입헌민주당의 스기오 후보가 유신회로 일부표가 갈렸음에도 불구하고 5.88%p 차로 승리를 거두고 재선 고지에 올랐다. 선거 막판에 터진 마츠야마 후보의 사생활 문제가 유권자들 사이에서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입헌민주당이 승리한 단 둘뿐인 1인 선거구 중 한 곳이자[* 나머지 한 곳은 [[아오모리현 선거구]]다.], 야당 전체로 봤을 때 야당이 승리한 4개의 1인 선거구 중 하나다. 참고로 [[아베 신조]] 전 내각총리대신이 [[아베 신조 피살 사건|피살]] 당일에 이곳을 방문하여 마츠야마 후보에 대한 지지를 호소하는 내용의 가두연설을 할 예정이었지만 비슷한 시기에 마츠야마 후보의 논란이 터져 [[나라현]]에서의 가두연설로 일정을 옮겼다. 사소한 일정 변경이 엄청난 [[나비 효과]]를 초래한 셈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2XNQc6gioKY)]}}} || || '''{{{#FFF 당선에 환호하는 스기오 히데야 후보}}}''' || [[분류:선거구/일본]][[분류:나가노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