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호쿠리쿠신에쓰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나가노현 제4구}}}}}}'''[br]{{{-1 {{{#ffffff 長野県第4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Nagano4.svg|width=100%]][br]}}}|| ||<-2><:>'''선거인 수'''||<-2><:>240,401명 (2021)|| ||<-2><:>'''상위 도도부현'''||<-2><:>[[나가노현]]|| ||<-2><:>'''하위 행정구역'''||<-2><:>[[오카야시]], [[스와시]], [[치노시]], [[시오지리시]],[br][[스와군]], [[키소군]]|| ||<-2><:>'''국회의원'''||<:>[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고토 시게유키]]|| [목차] [clearfix] == 개요 == [[나가노현]]의 [[오카야시]], [[스와시]], [[치노시]], [[시오지리시]], [[스와군]], [[키소군]]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소속 [[고토 시게유키]]. == 개요 == 소선거구 출범 이후부터 나가노현 북부에 위치한 [[나가노현 제1구|1구]], [[나가노현 제2구|2구]], [[나가노현 제3구|3구]]에 비해, 나가노현 남부에 위치한 4구와 [[나가노현 제5구|5구]]는 자민당 지지세가 강했다. 그나마 두번째 선거인 [[2000]]년 제42회 총선에서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 [[고토 시게유키]] 후보가 자민당 오카와 하지메 의원과의 설욕전에 성공해 민주당 우세 선거구로 변모할것이라는 전망이 있었지만, 고토 의원이 당의 좌경화를 명분으로 자민당으로 갈아타는 바람에 다시 자민당 우세 선거구가 되었다. 이후에는 자민당이 참패한 [[2009년]]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제45회 총선]]을 제외하면 전부 고토가 당선되었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나가노현 제4구 역대 중의원 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 오가와 하지메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3> [[고토 시게유키]] ||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2>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야자키 고지 ||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4> 고토 시게유키 ||<|4>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나가노현 제4구}}}}}}'''[br]{{{#fff 오카야시, 스와시, 치노시, 시오지리시, 스와군, 키소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오가와 하지메''' || '''72,810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3.30%''' || '''당선''' || ||<|2><#cf0a2c> [[신진당|[[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width=50]]]] || [[고토 시게유키]] || 65,009표 || 2위 || || [include(틀:신진당)] || 38.66%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기무라 히데오 || 30,327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8.04% || 비례당선 || ||<|2> '''계''' || 유효표 수 || 168,146표 ||<|2> '''투표율''' || || 선거인 수 ||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나가노현 제4구}}}}}}'''[br]{{{#fff 오카야시, 스와시, 치노시, 시오지리시, 스와군, 키소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고토 시게유키]]''' || '''78,397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3.84%'''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오가와 하지메 || 72,772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0.69%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기무라 히데오 || 27,661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5.47% || 비례당선 || ||<|2> '''계''' || 유효표 수 || 178,830표 ||<|2> '''투표율'''[br]72.74% || || 선거인 수 ||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나가노현 제4구}}}}}}'''[br]{{{#fff 오카야시, 스와시, 치노시, 시오지리시, 스와군, 키소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고토 시게유키]]''' || '''70,618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3.39%''' || '''당선''' || ||<|2><#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호리고메 이쿠오 || 50,651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1.12% || 비례당선 || ||<|2><#00a7db> [[사회민주당(일본)|[[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width=50]]]] || 하마 마키히코 || 26,211표 || 3위 ||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16.10%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우에다 히데아키 || 15,286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9.39%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62,766표 ||<|2> '''투표율'''[br]65.90% || || 선거인 수 || 253,374인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나가노현 제4구}}}}}}'''[br]{{{#fff 오카야시, 스와시, 치노시, 시오지리시, 스와군, 키소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고토 시게유키]]''' || '''87,859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9.72%''' || '''당선''' || ||<|2><#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호리고메 이쿠오 || 66,503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7.63%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우에다 히데아키 || 22,349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2.6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76,711표 ||<|2> '''투표율'''[br]72.05% || || 선거인 수 || 251,779인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나가노현 제4구}}}}}}'''[br]{{{#fff 오카야시, 스와시, 치노시, 시오지리시, 스와군, 키소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야자키 고지''' || '''106,262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56.27%'''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고토 시게유키]] || 63,118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3.43%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우에다 히데아키 || 16,575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8.78% || 낙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50]]]] || 마스자와 히로아키 || 2,878표 || 4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1.52%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88,883표 ||<|2> '''투표율'''[br]77.01% || || 선거인 수 || 249,373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나가노현 제4구}}}}}}'''[br]{{{#fff 오카야시, 스와시, 치노시, 시오지리시, 스와군, 키소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고토 시게유키]]''' || '''68,083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3.87%''' || '''당선''' || ||<|2><#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야자키 고지 || 47,089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추천] || 30.34% || 낙선 || ||<|2> [[일본 미래당|[[파일:일본 미래당 로고.png|width=50]]]] || 미우라 시게키 || 20,462표 || 3위 || || [include(틀:일본 미래당)][* [include(틀:신당대지)] 추천] || 13.19%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우에다 히데아키 || 19,552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2.60%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55,186표 ||<|2> '''투표율'''[br]65.42% || || 선거인 수 || 246,633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나가노현 제4구}}}}}}'''[br]{{{#fff 오카야시, 스와시, 치노시, 시오지리시, 스와군, 키소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고토 시게유키]]''' || '''63,121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6.07%''' || '''당선''' || ||<|2><#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야자키 고지 || 51,816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7.82%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우에다 히데아키 || 22,068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6.11%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37,005표 ||<|2> '''투표율'''[br]57.70% || || 선거인 수 || 244,255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나가노현 제4구}}}}}}'''[br]{{{#fff 오카야시, 스와시, 치노시, 시오지리시, 스와군, 키소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e50038>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고토 시게유키]]''' || '''68,673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5.65%''' || '''당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모리 에이코 || 40,898표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27.19% || 낙선 || ||<|2><#046240> [[희망의 당(2017년)|[[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width=50]]]] || 데라시마 요시유키 || 40,863표 || 3위 || || [include(틀:희망의 당(2017년))][* [include(틀:민진당(일본))] 나가노현 총지부 연합회 추천] || 27.16%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50,434표 ||<|2> '''투표율'''[br]62.54% || || 선거인 수 || 246,516인 || [[희망의 당(2017년)|희망의 당]]에 나가노 3구 현역 이데 요세이 의원과 데라시마 요시유키 전 의원이 동시에 입당하자, 후보자 조정이 필요했다. 따라서 희망의 당은 데라시마 전 의원을 4구로 보냈다. 하지만 급히 4구로 옮겨서인지 지역구에서의 반응이 썩 좋지 않았고, 결국 [[일본 공산당|공산당]] 후보에게도 밀리며 3위로 낙선했다. 야권표가 분열되는 덕분에 자민당 고토 의원은 과반 득표에 실패하고도 압승했다.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나가노현 제4구}}}}}}'''[br]{{{#fff 오카야시, 스와시, 치노시, 시오지리시, 스와군, 키소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e50038>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고토 시게유키]]''' || '''86,962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62.61%''' || '''당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나가세 유키코 || 51,922표 || 2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나가노현 연합 지지] || 37.39%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38,884표 ||<|2> '''투표율'''[br]59.37% || || 선거인 수 || 240,401인 || 현역 자민당 [[고토 시게유키]] 의원이 재출마한다. 고토 의원은 [[기시다 내각]]의 후생노동대신으로 임명받으면서, 체급이 더 커졌다. 공산당은 나가세 유키코 후보를 공천했다. 공산당 이외의 야당은 후보를 공천하지 않았고, 무소속 후보도 출마하지 않아 자민당과 공산당의 1대1 대결이 성사되었다. 투표 결과, 이변 없이 자민당 고토 시게유키 후보가 당선되었다. 하지만 공산당 나가세 유키코 후보도, 자민당과의 1대 1 대결에서 37.4%를 득표하며 공산당 후보치고는 꽤 선전했다.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나가노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