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호쿠리쿠신에쓰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나가노현 제5구}}}}}}'''[br]{{{-1 {{{#ffffff 長野県第5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Nagano5.svg|width=100%]][br]}}}|| ||<-2><:>'''선거인 수'''||<-2><:>280,074명 (2021)|| ||<-2><:>'''상위 도도부현'''||<-2><:>[[나가노현]]|| ||<-2><:>'''하위 행정구역'''||<-2><:>[[이다시]], [[이나시]], [[코마가네시]],[br][[카미이나군]], [[시모이나군]]|| ||<-2><:>'''국회의원'''||<:>[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미야시타 이치로]]|| [목차] [clearfix] == 개요 == [[나가노현]]의 [[이다시]], [[이나시]], [[코마가네시]], [[카미이나군]], [[시모이나군]]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소속 미야시타 이치로. == 개요 == 소선거구 출범 이후부터 나가노현 북부에 위치한 [[나가노현 제1구|1구]], [[나가노현 제2구|2구]], [[나가노현 제3구|3구]]에 비해, 나가노현 남부에 위치한 4구와 [[나가노현 제5구|5구]]는 자민당 지지세가 강했다. 게다가 이 선거구는 미야시타 가문의 정치적 영향력이 강한 세습 선거구다. 미야시타 소헤이 전 방위청장관, 후생대신이 [[2003년]]에 정계를 은퇴하며 아들인 미야시타 이치로에게 지역구를 물려줬다. 자민당이 유일하게 패했던 2009년 45대 총선거 당시에도 6.7%의 적은 차이로 민주당이 승리했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나가노현 제5구 역대 중의원 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2> 미야시타 소헤이 ||<|4>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2> 미야시타 이치로[* 미야시타 소헤이의 아들.]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가토 가쿠/마나부[* 이름이 두 개인 이유는 한자 읽는 법이 두 개이기 때문이다.] ||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4> 미야시타 이치로 ||<|4>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나가노현 제5구}}}}}}'''[br]{{{#fff 이다시, 이니시, 코마가네시, 카미이나군, 시모이나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미야시타 소헤이''' || '''106,449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7.85%''' || '''당선''' || ||<|2><#cf0a2c> [[신진당|[[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width=50]]]] || 나카지마 마모루 || 94,496표 || 2위 || || [include(틀:신진당)] || 42.48%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야마구치 노리히사 || 21,502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9.67%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22,447표 ||<|2> '''투표율''' || || 선거인 수 ||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나가노현 제5구}}}}}}'''[br]{{{#fff 이다시, 이니시, 코마가네시, 카미이나군, 시모이나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미야시타 소헤이''' || '''120,337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6.97%'''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가토 다카시 || 55,736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6.39%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오츠보 이사무 || 35,141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6.64%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11,214표 ||<|2> '''투표율'''[br]73.98% || || 선거인 수 ||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나가노현 제5구}}}}}}'''[br]{{{#fff 이다시, 이니시, 코마가네시, 카미이나군, 시모이나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미야시타 이치로''' || '''108,567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2.66%'''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가토 다카시 || 70,507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4.20%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미사와 요시오 || 20,679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0.03% || 낙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세키 히로유키 || 6,408표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3.11%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06,161표 ||<|2> '''투표율'''[br]71.55% || || 선거인 수 || 294,005인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나가노현 제5구}}}}}}'''[br]{{{#fff 이다시, 이니시, 코마가네시, 카미이나군, 시모이나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미야시타 이치로''' || '''120,025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4.83%'''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가토 가쿠 || 72,505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33.12%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미사와 요시오 || 26,363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2.04%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18,893표 ||<|2> '''투표율'''[br]75.86% || || 선거인 수 || 294,037인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나가노현 제5구}}}}}}'''[br]{{{#fff 이다시, 이니시, 코마가네시, 카미이나군, 시모이나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가토 가쿠''' || '''107,300표''' || '''1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46.91%'''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미야시타 이치로 || 91,836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0.15%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미사와 요시오 || 14,841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6.49% || 낙선 || ||<|2><#00a7db> [[사회민주당(일본)|[[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width=50]]]] || 이케다 사치요 || 13,576표 || 4위 ||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5.94% || 낙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50]]]] || 하라야마 코조 || 1,176표 || 5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0.51%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28,729표 ||<|2> '''투표율'''[br]79.40% || || 선거인 수 || 291,541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나가노현 제5구}}}}}}'''[br]{{{#fff 이다시, 이니시, 코마가네시, 카미이나군, 시모이나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미야시타 이치로''' || '''99,225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2.25%''' || '''당선''' || ||<|2> [[일본 미래당|[[파일:일본 미래당 로고.png|width=50]]]] || 가토 가쿠 || 30,737표 || 2위 || || [include(틀:일본 미래당)][* [include(틀:신당대지)] 추천] || 16.19% || 낙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하나오카 아키히사 || 26,079표 || 3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13.73%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미사와 요시오 || 18,723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9.86% || 낙선 || ||<|2><#00a7db> [[사회민주당(일본)|[[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width=50]]]] || 이케다 사치요 || 15,135표 || 5위 ||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7.97%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89,899표 ||<|2> '''투표율'''[br]68.02% || || 선거인 수 || 288,040인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나가노현 제5구}}}}}}'''[br]{{{#fff 이다시, 이니시, 코마가네시, 카미이나군, 시모이나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미야시타 이치로''' || '''91,089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54.67%''' || '''당선''' || ||<|2><#fff>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나카지마 코스케 || 46,595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27.96%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미즈노 치카아키 || 28,947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7.37%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66,631표 ||<|2> '''투표율'''[br]59.86% || || 선거인 수 || 285,418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나가노현 제5구}}}}}}'''[br]{{{#fff 이다시, 이니시, 코마가네시, 카미이나군, 시모이나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e50038>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미야시타 이치로''' || '''91,542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9.87%''' || '''당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소가 이쓰로 || 48,588표 || 2위 || || [include(틀:무소속)][* [include(틀:일본 공산당)],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추천] || 26.47% || 낙선 || ||<|2><#046240> [[희망의 당(2017년)|[[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width=50]]]] || 나카지마 코스케 || 43,425표 || 3위 || || [include(틀:희망의 당(2017년))][* [include(틀:민진당(일본))] 나가노현 총지부 연합회 추천] || 23.66%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83,555표 ||<|2> '''투표율'''[br]65.11% || || 선거인 수 || 287,463인 || 자민당과 야당 표가 엇비슷했지만, 야당 표는 거의 비슷하게 반으로 나뉘었다. 덕분에 자민당 미야시타 의원이 손쉽게 당선되었다. 나카가와무라 촌장을 지낸 소가 이쓰로가 2위를 하고, [[희망의 당(2017년)|희망의 당]] 나카지마 코스케 후보가 3위로 밀려났다.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나가노현 제5구}}}}}}'''[br]{{{#fff 이다시, 이니시, 코마가네시, 카미이나군, 시모이나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e50038>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미야시타 이치로''' || '''97,730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54.86%''' || '''당선'''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50]]]] || 소가 이쓰로 || 80,408표 || 2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include(틀:레이와 신센구미)] 추천] || 45.14%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78,138표 ||<|2> '''투표율'''[br]64.55% || || 선거인 수 || 280,074인 || 현역 자민당 미야시타 이치로 의원이 재출마한다. 지난 총선에서 희망의 당 후보를 제치고 2등을 거둔 소가 이쓰로 의원이 [[입헌민주당(2020년)|입헌민주당]]에 입당해 공천을 받았다. 다른 야당 후보나 무소속 후보가 출마하지 않아 자민당 미야시타 후보와 입헌민주당 소가 후보의 1대1 대결이 치러진다. 박빙으로 나온 여론조사도 몇 개 있었지만, 개표 결과 예상밖으로 자민당 미야시타 후보가 넉넉한 격차로 이겼다. 입헌민주당 소가 이쓰로 후보는 본인이 촌장을 역임한 나카가와무라와 인접 시정촌에서만 높은 득표율을 거두었고, 다른 지역으로 지지세가 크게 확산되지 못했다.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나가노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