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나가타_마사이치.png]] [목차] == 개요 == 永田 雅一(1906년 1월 21일 ~ 1985년 10월 24일) [[일본]]의 사업가, [[영화 제작자]], [[프로야구]] 구단주, [[경마|마주]](馬主). 193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 영화계에서 활동하며 '''[[다이에이]](大映)'''의 사장으로 [[라쇼몽]] 등의 명작을 제작했고 야구계에서는 [[다이마이 오리온즈]]의 구단주, [[퍼시픽 리그]] [[총재]]로 이름을 남긴 인물이다. 평소 허풍과 과장이 심한 언행 때문에 '''나가타 [[나팔]]'''이라는 별명으로도 유명했다. 그래서 [[기자]]들은 나가타가 하는 말을 곧이 곧대로 기사화했다가 적지않게 낭패를 보는 바람에 그의 발언은 절반 정도만 사실로 인정하고 지면에 실을 정도였다. == 생애 == 1906년 [[교토부]] [[교토시]]에서 태어났다. 당시 아버지의 사업 실패로 상당히 어려운 유년 시절을 보냈다. 13살 때 [[도쿄]]로 상경하여 오쿠라 상업학교(현 도쿄경제대학)에 입학했으나 아버지가 [[뇌출혈]]로 돌아가시는 바람에 4년 만에 중퇴하여 고향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었고, 그 후 [[야쿠자]] 조직에 들어가는 등 경찰의 요주의 대상이 되면서 결국에는 가문에서 쫓겨나는 수모까지 겪었다. 1925년 [[닛카쓰|일본활동사진]] 교토 촬영소에 취직하면서 영화계에 입문했다. 당시 심부름꾼으로 일하면서 특유의 말빨과 사교성을 바탕으로 나중에 정치인이 된 실업가 '''후지무라 요시로'''와 배우 '''아사오카 노부오''' 등의 귀여움을 받으며 친분을 쌓았고, 나중에 나가타가 독립하여 영화 등 사업을 벌일 때 이들에게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 1934년 일본활동사진을 퇴사한 나가타는 '''다이이치 영화(第一映画)'''를 설립했지만 2년 만에 문을 닫았고, 1942년 일본 정부가 주도한 영화사 통합 작업으로 창설된 '''대일본 영화제작(大日本映画製作)'''[* [[다이에이]]의 전신.]에 임원으로 입사하여 1947년 사장 자리에 올랐다. 이후 영화 제작과 마주(馬主) 활동에 전념하던 중, 1951년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라쇼몽]]이 [[베니스 국제 영화제]] 그랑프리와 [[아카데미상]] 외국어 영화상을 석권하고 자신이 소유하던 경주마 [[토키노 미노루]]가 [[경마/일본|일본 경마]]에서 10연승 하는 맹활약을 보이면서 나가타는 인생의 절정기를 맞이하였으며 [[다이에이]] 또한 1960년대 초반까지 영화계의 호황으로 좋은 실적을 거두어 들였다. [[파일:yamazaki_nagata.webp]] 1965년 내야수 '''야마자키 히로유키'''[* 1946년생의 [[내야수]]이며 1965년 [[도쿄 오리온즈]]에 입단하여 팀명이 [[롯데 오리온즈]]로 바뀐 이후 1978년 까지 플레이 하고 1979년 [[세이부 라이온즈]]로 트레이드 되어 1984년 현역에서 물러났다. 20시즌 통산 성적은 '''2251경기 출장, 2081안타, 타율 0.265, 270홈런, 985타점, 137도루.''' 은퇴 이후 야구 해설가와 평론가로 활동 중이다.](가운데) 입단식에 참석한 나가타 구단주. 우측은 [[감독]]이던 '''혼도 야스지'''. 그리고 평소 야구에도 관심이 많던 나가타는 1948년 동업 형식으로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도큐 플라이어즈]][* 당시 [[도큐 전철|도큐]]의 [[전무이사]] 이자 후일 [[토에이]]의 실질적인 창업주가 되는 [[오카와 히로시]]가 구단주였다.] 경영에 개입하여 팀명이 '''큐에이 플라이어즈'''로 바뀌기도 했지만 1시즌 만에 손을 떼고 1949년에 인수한 '''긴세이 스타즈'''를 [[치바 롯데 마린즈|다이에이 스타즈]]로 팀명을 바꾸어 운영하면서 본격적으로 프로야구계에 뛰어들었다. 1953년 [[퍼시픽 리그]] 총재로 취임하여 '''다카하시 유니온즈''' 가입 및 통합 등 리그 재편성을 주도했으며, 다이에이 스타즈는 1957년 다카하시를 사들여서 '''다이에이 유니온즈'''가 되었다가 1958년 [[치바 롯데 마린즈|마이니치 오리온즈]]에 흡수 합병되면서 '''다이마이 오리온즈'''로 바뀌었고 나가타는 다이마이 구단의 공동 경영인으로 참가했다. 그러나 사실상의 구단 경영권을 나가타가 장악하면서 야구계에서는 '''"흡수된 곳은 다이에이가 아니라 마이니치였다"''' 라는 평이 나오기도 했다. 명 감독 [[니시모토 유키오]]가 이끌던 다이마이가 1960년 [[일본시리즈]]에 진출했지만 [[미하라 오사무]]의 [[다이요 훼일즈]]에 4전 전패로 참패하고,[* 그것도 전부 1점차 패배였다(...).] 이를 구단주에게 보고하러 온 니시모토에게 나가타가 성질을 못이기고 막 독설을 퍼붓다가 [[바카야로]] 라는 폭언으로 인해 니시모토가 격분하여 단 1시즌 만에 사표를 던지게 만들었던 일화는 아직도 유명하다. 니시모토는 [[일본프로야구]]계의 대표적인 [[콩라인]]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비운의 명장이며 수많은 [[일본시리즈]] 출전 경험에도 불구하고 단 한번도 우승하지 못했다. 1962년 자신의 사재를 털어 오리온즈의 전용 구장 [[도쿄 스타디움(야구장)|도쿄 스타디움]]을 건립했지만 팀 성적 부진, 모기업인 [[다이에이]]의 재정 악화 등으로 불과 10년 만에 문을 닫는 비운을 겪기도 했다. 이후 나가타는 1971년 구단 경영권을 [[롯데]][* 롯데는 이미 1969년 부터 오리온즈의 [[네이밍 스폰서]]로 참여하고 있었다.]에 넘기고 야구에서 손을 떼었다. 도쿄 스타디움은 이후 철거됐으며 현재는 스포츠 센터와 연식 야구장이 들어서 있다. 롯데 측에 구단 인수 제의 시 구장도 함께 인수할 것을 요청했으나 롯데에서 거부하였는데, 투수 출신 감독이었던 [[가네다 마사이치]]가 '''도쿄 스타디움은 타자에게 너무 유리해서 투수가 매우 고생할 것'''이라 주장한 것이 원인이었다. 도쿄를 떠난 [[롯데]]는 무연고를 선언하며 [[집시 롯데]]의 길로 스스로 들어서고 말았다. 한편 1960년대 중후반부터 TV의 급성장으로 인해 영화계는 불황의 늪에 빠져들었고, 다이에이도 이를 피할 수는 없었다. 게다가 나가타의 독선적인 경영으로 인하여[* 아들인 나가타 히데마사 부사장도 이에 한 몫 거들었다고 한다.] '''하세가와 카즈오''', [[타미야 지로]] 등 간판 배우들의 은퇴 또는 퇴사, 해고 이후 다이에이는 간판 배우의 부재로 영화 흥행 실패와 경영난을 겪게 되었다. 결국 [[다이에이]]는 1971년 12월 도쿄 지방재판소의 파산 선고를 받고 도산하였으며, 나가타는 1976년 '''나가타 프로덕션'''을 세워 재기를 노렸지만 무위에 그친 채 병들고 가난한 말년을 보내야 했다. 1985년 10월 24일, 나가타는 급성 [[폐렴]]으로 숨을 거두었다. 향년 79세. 그가 생전 야구계에서 보인 공로를 인정받아 1988년 나가타는 '''야구 전당'''에 입성하였다. == 여담 == * 1951년 다이에이가 제작한 영화 [[라쇼몽]]을 '''"도대체 무슨 내용인지 모르겠다"''' 라며 혹평하고 감독인 [[구로사와 아키라]]에게 제작비 좀 아끼라며 잔소리만 늘어놓았으며,[* 정작 라쇼몽은 등장인물이 10명도 안되는 [[저예산 영화]]였다.] 시사회 도중 자리를 뜰 정도로 부정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라쇼몽이 [[베니스 국제 영화제]], [[아카데미상]]에서 잇달아 상을 받고 해외에서 호평을 얻자 자신의 입장을 확 뒤집어 라쇼몽을 극찬했다고 한다. 게다가 인터뷰 당시 '''이런 명작이 나오게끔 이 몸이 제작한 공이 큰 것 아니겠느냐'''며 [[자화자찬]] 하는 발언을 해댔고, 당연히 구로사와는 '''"나가타 저 놈을 확 두들겨 패버릴까?"''' 라며 아주 불쾌한 감정을 감추지 않았다. [[https://fzari.com/m/365|#]] 그 후 구로사와는 [[7인의 사무라이]]를 감독할 때에도 제작자 '''모토키 소지로''' 등과 비슷한 갈등을 일으키기도 했다. * 1956년 시즌 종료 후 나가타가 구단주이던 다이에이 스타즈가 다카하시 유니온즈를 인수 합병했는데, 이로 인해 [[퍼시픽 리그]]는 7팀 체제가 되면서 경기 일정이 절름발이 처럼 되었다. 이에 나가타가 제안한 해결책은 '''[[캐삭빵|1957년 시즌 최하위 팀은 다른 팀에 강제 합병]]'''이었다. 만년 하위팀이던 [[킨테츠 펄스]]가 또 꼴찌를 하겠거니 라는 생각으로 제시한 것이었는데, 정작 그 해 최하위는 나가타의 다이에이 유니온즈 였고, 킨테츠는 '''6위'''를 마크했다. 결국 다이에이는 [[마이니치 오리온즈]]에 강제로 통합당하고 말았다. * 1964년 [[한신 타이거스]]의 [[고야마 마사아키]]와 [[도쿄 오리온즈]]의 [[야마우치 카즈히로]]를 맞바꾸는 이른바 '''세기의 트레이드''' 당시, 나가타는 직접 한신 사장에게 '''"고야마를 우리 팀에 보내 주시오"''' 라며 전화로 줄기차게 요청했다. 이 소식을 들은 고야마는 감격하여 도쿄 행에 두말없이 응했고, 나가타는 기뻐하면서 고야마에게 경주용 [[말(동물)|말]]을 선물하겠다고 했지만 고야마는 '''"[[경마]]엔 흥미도 없고 무엇보다 집에 말을 키울만한 공간도 없습니다만..."''' 이라 난색을 표하자 나가타는 생각을 바꾸어 고급 외제 [[승용차]]를 주었다고 한다. 평소 비단결같은 마음씨의 고야마는 자신의 실력을 인정해 준 나가타에게 항상 감사해 했고, 다이에이가 망한 후 병석에 누워있던 나가타를 고야마가 문병 차 방문하자 '''"난 자네 같은 친구가 있어 행복하다"'''며 감격의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 1946년 [[중의원 의원 총선거|중의원 선거]]에서 고향 [[교토]] 선거구에 출마했지만 고배를 마셨다. * 독실한 [[일련정종]] 신자였으며, 만년에는 일련정종을 소재로 한 영화를 만들기도 했다. * 교육 사업에도 관심이 커서 [[세이신여자대학|세이신여자학원]](聖心女子学院)을 후원하면서 [[도쿄]] 도내 옛 쿠니노미야(久邇宮)[* [[고준 황후]]의 친정] 사저 부지를 사들여 기증하고 [[삿포로]] 소재의 학원 부지도 마련해 준 적이 있다. 아들인 '''나가타 히데마사'''가 어느 날 "아버지가 정말로 하고 싶었던 일은 무엇인가요?" 라고 묻자, '''"훌륭한 학교를 세워서 부자이건 가난한 사람이건 구별 없이 교육을 받게 해 주는 것"'''이라고 답했다 한다. 사람이 독선적이고 괴팍한 면은 있었지만 성품 자체가 악한 사람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 전설적인 명마 [[토키노 미노루]]의 마주로 미노루에게 깊은 애정을 쏟았던 것으로도 유명하다. 미노루가 [[파상풍]]에 걸려 사경을 헤메자 "치료비는 얼마든지 지불하겠다. 경주마로 다신 뛸 수 없어도 좋으니 제발 목숨만 살려달라"면서 이름난 [[수의사]]들을 모조리 찾아다니며 애원할 정도였다. 결국 미노루가 사망하자 자신의 욕심 때문에 위대한 명마가 죽었다는 세간의 비난을 묵묵히 받아들였고, 다시는 자신이 소유한 말에 [[영구 결번/스포츠|토키노라는 관명을 붙이지 않았다]]. 나가타는 1955년 미노루의 삶을 소재로 한 영화 '''환상의 말'''을 제작했다. [[분류:일본의 남성 기업인]][[분류:일본의 남성 정치인]][[분류:1906년 출생]][[분류:1985년 사망]][[분류:교토시 출신 인물]][[분류:일본의 영화 제작자]][[분류:야구 경영인]][[분류:폐렴으로 죽은 인물]][[분류:기업인 출신 정치인]][[분류:일본의 불교 신자]][[분류:경마 마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