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전직 프로게이머 나경보.jpg]] || || '''이름''' || 나경보 || || '''생년월일''' || [[1984년]] [[11월 15일]] ([age(1984-11-15)]세) || || '''출생지''' || [[서울특별시]] [[성동구]] [[금호동(서울)|금호동]] || || '''신체''' || 175cm, [[O형]] || || '''소속''' || [[SouL]] → 무소속 → [[이네이쳐 탑]] → 은퇴 || || '''주 종목''' || [[스타크래프트]] || || '''종족''' || [[저그]] || || '''ID''' || [SouL]JunioR || || '''별명''' || 도둑저그 || || '''종교''' || [[불교]] || [목차] == 수상 기록 == * 2000년 제1회 코넷배 동상 , 제1회 GGL 우승 * 2000년 제1회 종별선수권대회 준우승 * 2000년 제2회 메가페스배 CGGL 준우승 (팀리그) * 2000년 제1회 2000 Korea e-Sports Championship 준우승 * 2000년 제1회 안산폐스티발2000 준우승 * 2000년 제1회 쉐르파배 4위 * 2000년 PSB 사이버 게임 그랑프리(CCGL) 우승 * 2001년 2001 KPGA 10월 투어 준우승 (나경보 1:3 이태우) * 2001년 GGL 1기 대회 우승 * 2002년 [[리복배 KPGA 투어 2차 리그]] 16강 * 2002년 [[2002 NAT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네이트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8강 * 2003년 [[3차 GhemTV 스타리그]] 16강 * 2004년 [[하나포스 센게임 MSL|센게임 MSL]] 16강 == 전적 == ||<-4>
'''{{{#ffffff 나경보의 스타1 양대 개인리그 A매치 통산 전적}}}''' || || '''방송사''' || {{{#ffffff 온게임넷 A매치 총 전적}}} || {{{#ffffff MBC게임 A매치 총 전적}}} || '''양대 개인리그 합산 전적''' || || vs 테란 || 14전 7승 7패 (50.0%) || 14전 7승 7패 (50.0%) || 28전 14승 14패 (50.0%) || || vs 저그 || 9전 4승 5패 (44.4%) || 16전 6승 10패 (37.5%) || 25전 10승 15패 (40.0%) || || vs 프로토스 || 10전 6승 4패 (60.0%) || 5전 3승 2패 (60.0%) || 15전 9승 6패 (60.0%) || || 총 전적 || 33전 17승 16패 (51.5%) || 35전 16승 19패 (45.7%) || 68전 33승 35패 (48.5%) || == 소개 == [[2000년]]부터 [[프로게이머]]로 활동한 [[올드 게이머|올드 프로게이머]]이며, SouL의 창단 멤버로 활동했다. [[조용호(프로게이머)|조용호]], [[박상익]], [[변은종]] 등과 함께 저그군단 SouL의 일원으로 활약했다. 본격적인 양대방송사 리그가 정립되기 이전인 2000~2002년까지가 전성기였던 선수로, [[2002 NAT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네이트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8강이 양대 방송사 리그에서 기록한 최고 성적이다. 16강에서 대회 우승자인 [[변길섭]]을 꺾고 전 대회 우승자인 [[임요환]]도 광탈시키며 3승으로 8강에 진출했으나, 8강 조별리그 최종전에서 [[한웅렬]]에게 패하며 1승 2패로 아쉽게 탈락했다. 2003년 11월 [[하나포스 센게임 MSL]] 본선에 오랜만에 진출했는데, 본선에서는 [[강민]]과 [[한승엽(게임 해설가)|한승엽]]에게 연패하며 광탈했다. 그 후로는 더 이상 개인리그 본선에 올라오지 못했다.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에서는 주로 [[팀플레이]] 멤버로 활약했다. 이후 [[2004년]] SouL에서 방출되었고, 이듬해 열린 [[드래프트/스타크래프트 시리즈#s-2.1|2005년 상반기 드래프트]]에 참가하여 [[헥사트론 드림팀]]의 4차 지명으로 입단하였다.[* 이때 같이 들어간 선수로는 [[SK텔레콤 T1]]에서 방출된 [[김현진(e스포츠)|김현진]]이 있었다.] [[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에서는 팀플레이에서만 출전해 3패를 기록했다. 그리고 팀이 [[SKY 프로리그 2005 후기리그|후기리그]]에 불참하게 되면서[* 당시에는 전기리그에서 최하위를 기록한 팀은 후기리그에 참가할 수 없다는 규정이 있었다. 결국 문제가 있어서 그런지 다음해인 2006년부터 폐지.] 같은 해 하반기에 [[은퇴]]하였다. 은퇴 이후 [[2006년]]에는 [[스타 무한도전]]에 2번 초청되기도 하였다. 2002년 초 [[게임TV|GhemTV]]에서 벌어진 이벤트성 리그에서 여성 선수 김지혜에게 [[http://www.khga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280|패배했던 적이 있다.]] 김지혜가 2차 겜티비 여성부리그에서 우승한 강자였고 변수가 많은 [[저저전/스타크래프트|저저전]]이긴 했지만, 저 대회에서 벌어진 다른 남녀 대결은 모두 남자 선수가 승리했기 때문에 더 입에 오르내렸다. 그나마 보급률이 낮은 겜티비라 화제가 더 크게 되지는 않았다. [[최진우]], [[김근백]], [[홍진호]], [[박태민]] 등이 공식전이나 예선전에서 [[서지수(프로게이머)|서지수]]에게 패배하는 사건이 발생했는데도 전혀 재조명되거나 주목받지 못했다. [[분류: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스타크래프트]][[분류:1984년 출생]][[분류:2000년 데뷔]][[분류:2005년 은퇴]][[분류:성동구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