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000 나경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광역시장 후보)] ---- [include(틀:노동당(대한민국) 대표)] ---- [include(틀:정의당 중앙당)] }}} || ---- ||<-2> '''{{{#000 제6대 서울특별시 관악구의원[br]{{{+1 나경채}}}[br]羅敬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136606.jpg|width=100%]]}}}|| ||<|2> '''출생''' ||[[1973년]] [[10월 14일]] ([age(1973-10-14)]세)[* 공식 프로필상 생일이지만 실은 음력 9월 19일이고 생일도 음력으로 쇤다고 한다.] || ||[[광주광역시]] 남구 방림동 || || '''학력''' ||광주서산국민학교[* 現 광주서산초등학교] {{{-2 (졸업)}}}[br][[고려중학교]] {{{-2 (졸업)}}}[br][[전남고등학교]] {{{-2 (졸업)}}}[br][[전남대학교]] {{{-2 (법학 / 학사)}}} || || '''소속 정당''' ||[include(틀:정의당)] || || '''종교''' ||[[개신교]] || || '''경력''' ||[[진보신당]] 관악구위원회 [[당협위원장]][br][[진보신당]] 전국위원[br]제6대 [[관악구]]의회 의원[br][[노동당(대한민국)|노동당]] 제6대 대표[br][[진보결집+]] 공동대표[br][[정의당]] 공동대표[br]정의당 광주광역시당 대변인[br]정의당 광주광역시당 위원장 심상찮은 선대위 공동상임선대위원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청소년 인권운동가 출신 [[정치인]]이다. == 생애 == [[1973년]] 가을, [[광주광역시]]에서 2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남구 [[방림동]]에서 태어나 북구 [[오치동]]으로 이사했다. 광주서산국민학교 1학년 때 [[5.18 민주화운동]]을 겪었고 자신이 키우던 고양이 나비의 죽음을 계기로 5.18을 기억하게 되었다. [[고려중학교]]를 졸업하고 [[전남고등학교]]에 입학하면서 친구들과 함께 두발규제와 교복반대 및 체벌폐지를 위한 광주지역고등학생 공동대책위원회를 만들었고, 이후 그 의장까지 맡았다. [[전남고등학교]] 졸업 이후에는 전문대학에 입학해 학생운동을 하다가 퇴학을 당했었다고 하며 군대에 다녀온 후 다시 공부를 해서 [[전남대학교]] 법학과에 입학하였다. 대학교를 졸업하고 사법시험 준비를 위해 서울특별시 관악구에 정착하였다. 하지만 적성에 맞지 않아 시험준비를 그만두고 직장생활을 시작했다. [[2002년]]에 존경하고 사숙하던 인물인 [[이문옥]] 전 감사관[* 세무공무원 출신 정치인으로 1990년 재계의 비업무용 부동산 현황을 내부고발하였다.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노동당]] 소속으로 서울특별시장 선거에 출마했다.]의 서울특별시장 선거운동에 보탬이 되기 위해 [[민주노동당]]에 입당하면서 정계에 입문하였다. == 정치 활동 == === 정의당 입당 이전 === 민주노동당 평당원으로 지내다가 2004년, 관악구위원회 신림2동분회장으로 일했다. 후에는 직장생활을 그만두고 관악구위원회 사무처장을 맡았다. 민주노동당 중앙위원직을 맡고 있던 2008년에 [[진보신당]] 분당 사태로 탈당하였으며, 진보신당 첫 당직으로 [[관악구 을]] 선거구 [[신장식]] 후보 선거본부 사무장을 맡았다. 이후 진보신당 관악구 당협위원장에 선출되었고 당시 관악구청장이었던 [[김효겸]]의 비리를 밝혀내고 비판하는 데에 앞장서서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2010년 지방선거]]에서 [[진보신당]] 후보로 관악구의회 의원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진보신당의 후신격인 [[노동당(대한민국)|노동당]] 6기 지도부의 대표였다. 당내에서는 '통합파'[* 진보(PD)계로서는 껄끄러울 수 있는 참여계가 속해 있는 [[정의당]]까지 포함하여 진보연대를 만들어내자는 정파.]로 분류되었다. [[2014년 지방선거]]에서 노동당 소속으로 관악구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했다가 낙선하였다. 2015년 3월 18일, [[2015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관악구 을]] 선거구에 출마를 선언했으나 후보등록을 하지 않았다. === 정의당 입당 이후 === 노동당 내 투표에서 정의당과의 통합 안건이 부결되자 노동당을 탈당하고 [[진보결집+]]를 만든 후 [[국민모임]], [[노동정치연대]], [[정의당]]과의 4자통합을 이뤄냈다. [[국민모임]] 출신 [[김세균]] 교수와 함께 통합된 정의당의 공동대표를 역임했다. 2017년 5월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당연직으로 [[심상정]] 후보 공동선거대책위원장으로 일했다. 선거 후에는 공동대표에서 물러나 광주광역시 광산구로 이사하였다. 정의당 제4기 당직선거에서 광주광역시당 위원장에 출마하였으나 당선되지 못하고 광주광역시당 대변인으로 활동하였다. 이후 20대 총선에서 [[광주광역시]] [[광산구 갑]]에 출마했으나 3.47%라는 저조한 득표율을 얻어 낙선했다. [[민중연합당]] 후보보다 27표를 더 얻었지만 [[새누리당]] 후보에게 크게 밀려 4위라는 저조한 성적표를 받아들여야 했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광주광역시장 선거 출마를 선언했다. [[민주평화당]] [[김종배(1954)|김종배]] 후보의 사퇴로 야권 단일화 후보로 거론되었으나 [[정의당]] 측에서 응하지 않아 선거를 완주했다. 그리고 선거 결과 그는 [[더불어민주당]] [[이용섭]] 후보에 밀려 2위로 낙선했는데, 정의당 소속으로 출마한 광역자치단체장 후보들 중에서 가장 의미있는 성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득표율이 선거비용 50% 보존 기준인 15%는 물론 10%도 못넘긴 5.99%인 바람에 선거비용 보존에 실패했다.][* [[민주평화당]]과 [[정의당]]의 정치적 스펙트럼이 너무 달라 상호 연대는 애초부터 불가능한 수준이었고, 상기했듯 정의당 지도부조차 연대 제안을 거절했으므로 예상된 결과였다.] 2019년 7월 13일, 정의당 제5기 당직선거 결과 광주광역시당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http://www.justice21.org/go/gj/79/64131|#]] 당직선거에서 당대표로 출마한 [[양경규]] 후보를 공개적으로 지지하기도 했다. [[http://www.redian.org/archive/134037|기사]] 10월 25일 광주 시민단체들과 함께 광주광역시 남구의 중국총영사관 앞에 모여서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지지를 선언하고 중국의 강경대응에 대해 항의시위를 전개하였다. ''' [[https://suncheon.kbs.co.kr/index.html?source=kbslocal&sname=news&stype=magazine&contents_id=3786906|뉴스보도]] 이후에도 시위를 계속하며 홍콩시민활동가를 5.18 인권상 후보로 추천하고 초청 간담회를 기획하는 등 친홍콩 행보를 하고 있다. 중국총영사관의 외압으로 문제가 생기자 합동기자회견을 열어 이를 규탄하였다. [[https://www.google.com/amp/s/kr-mb.theepochtimes.com/%25EA%25B4%2591%25EC%25A3%25BC-%25EC%258B%259C%25EB%25AF%25BC%25EB%258B%25A8%25EC%25B2%25B4-%25EC%25A4%2591%25EA%25B5%25AD-%25EC%25B4%259D%25EC%2598%2581%25EC%2582%25AC%25EA%25B4%2580-%25ED%2595%259C%25EA%25B5%25AD-%25EA%25B5%25AD%25EB%25AF%25BC-%25ED%2591%259C%25ED%2598%2584%25EC%259D%2598-%25EC%259E%2590_512163.html/amp|신문기사]]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광산구 갑]] 지역구에 출마했으나 지지율 4.41%를 얻어 3위로 낙선했다. 2020년 10월 정의당 제6기 당직선거 결과 광주광역시당 위원장으로 [[황순영]]이 선출되어 평당원으로 돌아갔다. 2021년 11월 8일 정의당 [[심상찮은 선거대책위원회]]에 공동상임선대위원장으로 선임되었지만 2022년 1월 19일 선대위 재출범 이후에는 평당원으로 돌아갔다. == 논란 == * 2017년 5월 ,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문재인]] 후보가 당선된 이후, [[심상정]] 전 대표와 [[노회찬]] 전 [[원내대표]]의 입각론이 언론에 나돌자 "그 입 다물라, 책임 있게 말하라, 오만방자하게 떠들지 마시라"라며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들을 비판하여 논란이 되었다. [[https://www.google.com/amp/m.chosun.com/news/article.amp.html%3fsname=news&contid=2017051202639|당시 기사]] [* 다만 이것은 정권교체 직후의 축제 분위기와 맞물렸기에 논란이 되어버린 측면이 있다] * 2017년 6월 [[정의당]] 내에서 다른 당원들을 사상검증하며 자신들과 반대되는 생각을 갖고 있는 당원들을 축출해왔다는 평등사회네트워크 출신 정의당 당원의 내부고발이 나왔다.[[http://realnews.co.kr/archives/5239|인터뷰]] * 광주에는 [[전통시장|5일장]]이 3개[* 사람들이 5일장 3개가 자랑이냐고 비웃자 이들에게 '3개'가 아닌 '시개' 라며 역으로 비웃었다. 어떤 의미로 '시개'라는 단어를 쓴 것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나 있으므로 복합쇼핑몰은 필요 없다는 글을 올렸다.[[https://www.facebook.com/nagc73/posts/4893675634035124|#]] 전날 [[윤석열]] 대선 후보가 광주에 없던 [[스타필드(쇼핑몰)|스타필드]]같은 복합쇼핑몰을 유치하겠다고 한 발언에 대한 반박이다. 그러나 본인이 과거에는 서울이 좋다고 하며 [[센트럴시티]] 사진을 올린 글이 발굴되어 조롱거리가 되는 중이다. [[파일:나경채_2011.jpg]] == 여담 == * 한 번 결혼했으나 2010년대 초[* 당시 구의원이었다.]에 본인의 정치활동에 대한 견해차이로 이혼했다. 자녀는 없다. * 반려동물들을 키운다. * 관악구에 거주할 당시 자전거를 즐겨 타서 자전거 아저씨라는 별명이 생겼다. 선거운동을 할 때도 자전거와 도보로 하기 때문에 선거철마다 체중이 줄어든다고 말한 적이 있다. * 2014년 6월 4일 치러진 지방선거에서 구의원 선거에 낙선한 후에 낙선인사를 돌았다가 몸살이 났었다. * 외모 때문에 지인들에게 [[사무엘 잭슨|나무엘 잭슨]]이라고 불린다고 한다. * 2020년 6월 10일부터 2021년 8월 7일까지 페이스북 활동을 쉬었다. == 소속 정당 == || '''{{{#000 소속}}}''' || '''{{{#000 기간}}}''' || '''{{{#000 비고}}}'''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2002 - 2008 || 정계 입문 || || [include(틀:진보신당)] || 2008 - 2012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2012 || 정당 해산 || || [include(틀:진보신당연대회의)] || 2012 - 2013 || 재창당 || || [include(틀:노동당)] || 2013 - 2015 || 당명 변경 || || [include(틀:무소속)] || 2015 ||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진보결집더하기)][br]([include(틀:무소속)]) || 2015 || 창당준비위원회 || || [include(틀:평등사회네트워크)][br]([include(틀:무소속)]) || 2015 || 창당준비위원회 || || [include(틀:정의당)] || 2015 - 현재 || 입당 ||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2006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3> 서울 관악구의회 사 || [include(틀:민주노동당)] || 4,559 (16.6%) || 낙선 (3위) || || || 2010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include(틀:진보신당)] || '''6,848 (22.33%)''' || '''당선 (2위)''' || '''초선''' || || 2014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include(틀:노동당)] || 5,605 (17.05%) || 낙선 (3위) ||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광주 [[광산구 갑|광산 갑]] ||<|3> [include(틀:정의당)] || 2,677 (3.47%) || 낙선 (4위) || || || 2018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광주광역시장]] || 40,916 (5.99%) || 낙선 (2위) || || || 2020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광주 광산 갑 || 3,830 (4.41%) || 낙선 (3위) || || == 둘러보기 == [include(틀:정의당의 계파 분류)] ---- [include(틀:노동당(대한민국) 대표)]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1973년 출생]][[분류:남구(광주) 출신 인물]][[분류:나주 나씨]][[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 신자]][[분류:전남고등학교 출신]][[분류:전남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사회운동가]][[분류:사회운동가 출신 정치인]][[분류:서울특별시의 기초의회의원]][[분류:진보신당 기초의회의원]][[분류:노동당(대한민국) 기초의회의원]][[분류:정의당 소속]][[분류:민주노동당 출신]][[분류:진보신당 출신]][[분류:노동당(대한민국) 대표]][[분류:노동당(대한민국)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