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천주교 인천교구장)] ||<-3> '''초대 [[천주교 인천교구|{{{#000000 천주교 인천교구}}}]]장'''[br] '''{{{+1 나길모 {{{#000000 굴리엘모}}}}}}'''[br] '''羅吉模''' | '''Gulielmo Wiliam John-McNaughton''' || ||<-3> [[파일:나길모 굴리엘모 주교.jpg|width=100%]] || || '''본명''' ||<-2>'''Wiliam John-McNaughton''' [br] 윌리엄 존 맥나흐톤 || || '''출생''' ||<-2>[[1926년]] [[12월 7일]] || || '''선종''' ||<-2>[[2020년]] [[2월 4일]] (향년 93세)|| || '''국적''' ||<-2>[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주교 임명일''' ||<-2>[[1961년]] [[6월 6일]] 대목구장 임명[* 투부르보 미누스 명의주교] || || '''재임기간''' ||[[천주교 인천교구|인천교구]]장 ||[[1961년]] [[10월 26일]] ~ [[2002년]] [[4월 25일]] || ||<-3> [[파일:나길모 굴리엘모 주교 문장.jpg|width=100%]] || ||<-3> '''UT OMNES UNUM SINT [br] (모든 이가 하나 되기를)'''[* [[요한복음|요한]] 17,21로 한국의 국화인 [[무궁화]], [[가톨릭/대한민국|한국 천주교]]의 주보인 [[성모 마리아]], [[가톨릭/대한민국|한국 천주교]]의 첫 사제인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그리고 인천 항구가 상징적으로 표현되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가톨릭]] 교회의 초대 [[인천교구]]장 [[주교]]으로 미국 메리놀 외방전교회 소속이며[* 즉, 교구 사제가 아니라 수사신부이다. 사제 신분을 갖고 있는 수도자인 셈.], 2021년 현재까지는 한국 가톨릭의 마지막 외국인 [[선교사]] 출신 교구장이다. 교구장으로 [[1961년]] [[8월 24일]]부터 [[2002년]] [[4월 25일]]까지 재임하였으며, 한국식 이름은 '''나길모'''(羅吉模)이다. [[세례명]]은 굴리엘모.[* 라틴어 '굴리엘모'에서 유래한 남자 이름은 라틴계의 발음과 튜튼계의 발음 사이에 괴리가 큰데, 라틴계의 경우에는 '굴리엘모([[이탈리아어]])', '기예르모([[스페인어]])'나 '기욤([[프랑스어]])'처럼 어두의 G 음가가 살아 있는 반면 튜튼계는 '빌헬름([[독일어]])'이나 '윌리엄([[영어]])'처럼 어두의 G 음가가 증발하고 U에서 변형된 W 음가로 시작하기 때문이다. '윌리엄'에 해당하는 라틴어 이름, 즉 [[가톨릭]] [[세례명]]은 '굴리엘모'이다.] == 생애 == === 초기 활동 === [[1926년]] [[미국]] [[매사추세츠]] 주 로렌스(Lawrence)에서 출생. 1944년 미국 메리놀 외방전교회에 입회하여 1953년 동(同)회의 신학교를 졸업하고 [[성품성사|사제품]]을 받았고, 이어 한국 [[선교사]]로 임명되어 [[예일 대학]]에서 1년간 [[한국어]]를 공부한 후 1954년 한국에 파견되었다. 충북 [[청주교구]]의 장호원 [[감곡 매괴 성모순례지|감곡성당]]에서 보좌[[신부(종교)|신부]]로 [[사제(성직자)|사제]] 생활을 시작, 장호원성당, 북문로성당, [[내덕동성당]]에서 사목을 폈다. 그러다 1958년 [[인천]]지역이 감목대리구로 설정되고 3년 후인 1961년 6월 6일 인천감목대리구가 인천대목구로 승격되자 같은 해 8월 24일 [[교황청]]으로부터 초대 교구장으로 임명되었다. [[주교]] 성성식은 그해 8월 24일 고향인 미국 로렌스 시 성 마리아 대성당에서 거행되었다. 주교 성성식에 이어 1961년 10월 26일 오전 11시, 주피(Xavier Zupi) 주한 교황 사절의 [[인천교구]] 설립식과 주교 임명장 수여식이 [[답동성당]]에서 거행되었다. '''나 주교의 주교 수품 당시 나이는 만 34세로 이는 한국 천주교 [[주교#한국 주교들의 여러 기록|최연소 주교 수품]] 기록이다.''' === 인천교구장 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길모 굴리엘모 주교 영명축일.jpg|width=100%]]}}} || || '''인천교구장 시절''' || 나 주교는 교구장에 취임하자마자 신설 교구의 혼란을 진정시키고 교육사업을 중심으로 한 복음선포 사업에 중심을 두었다. 당시 인천교구는 [[박문초등학교]], [[박문여자중학교]], [[박문여자고등학교]]만 운영하고 있었으나, 동구 화수동에 있었던 인천영화중고등학교를 인수하여 [[인천대건고등학교|인천대건중고등학교]]로 새 출발을 시켰다. 운영권이 [[http://www.notredame.or.kr|노틀담 수녀회]]에 있던 박문학교와 달리, 대건학교는 교구 직속에 두면서 [[미국인]] 교장(조셉 기본스 신부)을 임명하고 철저하게 미국식 [[사립학교]] 체제를 도입하여 학교 수준을 매우 끌어올렸다. 1966년 [[가톨릭/대한민국|한국 천주교]]가 사회 참여에 돌입하는데 본격적인 계기가 된 강화 심도직물 노동조합 사건이 일어나자 해당 교구장 주교로서 당시 가톨릭 노동청년회 총재 주교였던 [[마산교구]]장 [[김수환]] 스테파노 주교와 함께 앞장서서 사건을 해결하는데 심혈을 기울였다. 이는 1970~80년대의 독재시기 때도 이어져 [[서울대교구]]장 [[김수환]] 스테파노 [[추기경]], [[수원교구]]장과 [[광주대교구]]장을 역임했던 [[윤공희]] 빅토리노 대주교, [[원주교구]]장 [[지학순]] 다니엘 주교, [[안동교구]]장 [[프랑스인]] [[두봉]] 주교, [[전주교구]]장 김재덕 아우구스티노 주교와 함께 사회참여파 주교로 이름을 떨친다. 특히 인천교구가 당시의 신흥 공업지역이었던 [[인천]], [[부천]] 지역을 관할하고 있었기 때문에 노동자 사목에 큰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적극적으로 지원하게 된다. 또한 인권문제에도 상당한 관심을 가져 [[앰네스티]] 한국위원회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1977년부터 1981년까지 4년간 앰네스티 한국위원회 이사장으로 봉직하였다. 노동자 사목, 양심수 석방운동, 독재 투쟁 활동 등의 민주화 운동에 대한 적극적 지원으로 인해서 당시의 정권에서 요주의 인물로 언제나 감시를 받고 있었다고 한다. 아울러 교구장으로서 [[인천교구]]의 발전에도 큰 공헌을 하였다. 초기 9개 성당과 약 23,000명의 신자들로 시작했던 [[인천교구]]를 은퇴 시에는 10배 정도 확장시켰다. 현재까지도 인천과 부천 지역은 다른 곳에 비해서 천주교 신자 비율이 높은데, 이는 나 주교의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2002년 4월 24일 교구장직을 은퇴하였다. 은퇴 시에도 여러 가지 기록을 만들었는데, [[가톨릭/대한민국|한국 천주교]]에서 남아있던 '''마지막 외국인 선교사 출신 교구장'''이었으며 '''41년간 교구장직을 수행하여''' [[주교#한국 주교들의 여러 기록|단일 교구 최장 임기 교구장]] 기록을 세웠다. 나 주교의 은퇴는 [[가톨릭/대한민국|한국 천주교]]가 그동안의 선교사들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은 교회 운영에서 완벽하게 독립함을 의미하기 때문에 매우 상징적이었다. 후임 교구장으로는 부교구장이었던 [[최기산]] 보니파시오 주교가 승계하였다. === 원로 주교의 삶 === 은퇴 뒤에는 고향인 [[미국]] 보스턴으로 돌아갔는데, 그 이유는 5남매의 장남이었던 그가 아버지와 어머니의 임종을 지키지 못했고 어머니의 소원이었던 "은퇴 뒤에는 고향에서 살기 바란다."는 유언을 지키기 위해서였다. 얼마간은 자신의 본 [[수도회]]인 메리놀회 본부에서 소임을 하였고, 미국 여러 [[교구]] 성당들을 돌면서 [[견진성사]]를 집전하였으나[* 견진성사는 원칙상 주교가 집전해야 한다. 그러나 다른 일도 많은 주교가 일일이 성당을 순회하면서 성사를 줄 수가 없으니 부득이하게 사제에게 권한을 위임하여 대신 성사를 주게 하는 경우가 있는 것. 그래서 할 수만 있다면 주교가 직접 집전하는 것을 선호하는 편이다.] 구순에 가까워 가는 나이로 인해서 2010년에 들어서는 수도원에서의 주일 [[미사]]를 집전하거나 양로원에서의 [[고해성사]]를 집전하는 등의 소임을 하고 있다. 또한 은퇴 이후에도 종종 한국을 방문했다. 2011년에 주교 [[주교#한국 주교들의 여러 기록|수품 50주년]] 기념미사와 [[천주교 인천교구]] 설정 50주년 감사미사 참석차 은퇴 이후 9년 만에 다시 한국을 찾았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1/06/08/0200000000AKR20110608042500005.HTML?did=1179m|'인천 깍쟁이 美신부님' 주교 50주년]] [[2020년]] [[2월 3일]], 미국에서 노환으로 선종하였다. 향년 94세. 천주교 인천교구는 2020년 2월 10일 주교좌 답동성당에서 나길모 굴리엘모 주교의 [[죽은 이를 위한 미사|위령 미사]]를 봉헌했다. 인천교구장 [[정신철|정신철 요한 세례자]] 주교가 주례한 이날 미사는 서울대교구장 [[염수정|염수정 안드레아]] 추기경, 주교회의 의장이자 광주대교구장인 [[김희중|김희중 히지노]] 대주교를 비롯해 전-현직 교구장 주교들이 공동집전했다. [[https://m.catholictimes.org/mobile/article_view.php?aid=329939|[초대 인천교구장 나길모 주교 선종] 위령미사]] [youtube(c3DqwdwelHc,width=600,height=340)] == 기타 == * 주교관이 있는 [[답동성당]] 바로 길 건너편 [[신포국제시장]]에서 파는 [[만두]]를 엄청 좋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0&aid=0000123859|본인 스스로 '만두 중독자'라고 하셨을 정도.]] 참고로 여기서 파는 만두는 웬만한 어른의 손 크기에 맞먹을 정도로 크기가 [[크고 아름다운]] 고기만두다. 만두피가 꽤 두껍고 안에 들어간 만두속(고기와 당면, 야채)도 풍성하다. 지금이야 신포시장의 명물이 [[닭강정]]으로 굳어졌지만, 과거에는 이 고기만두도 이 지역의 명물 음식이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길모 주교 요한바오로2세 알현 2.jpg|width=300]]}}} ||<:> [[파일:나길모 주교 요한바오로2세 알현.jpg|width=300]] || ||<-2> '''[[천주교 인천교구|{{{#FFFFFF 천주교 인천교구}}}]]장 나길모 굴리엘모 주교와 교황 [[요한 바오로 2세|{{{#FFFFFF 요한 바오로 2세}}}]]''' || * [[천주교 인천교구|천주교 인천교구장]] 시절,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을 2번 알현하였다. [[분류:천주교 인천교구장]] [[분류:가톨릭 수도사제]] [[분류:미국의 가톨릭 선교사]] [[분류:1926년 출생]] [[분류:2002년 은퇴]] [[분류:2020년 사망]] [[분류:로렌스(매사추세츠)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