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hor(÷)][include(틀:다른 뜻1, from=÷, other1=에드 시런의 음반, rd1=÷(음반) )] [include(틀:수와 연산)] ||<-2> '''언어별 명칭''' || ||<:>'''{{{#000000,#dcdcdc 기호}}}''' || [math(\div)], / || ||<:>'''[[한국어|{{{#000000,#dcdcdc 한국어}}}]]''' ||나눗셈, 나누기, 제법([[除]][[法]]), 제산([[除]][[算]]) || ||<:>'''[[영어|{{{#000000,#dcdcdc 영어}}}]]''' ||division, divided by[* 사용법: '20 divided by 4 is 5',][* '10 over 2 is 5'처럼 over를 사용하기도 한다.] || || [[일본어|{{{#373a3c,#ddd '''일본어'''}}}]] ||[ruby(除法, ruby=じょほう)], [ruby(除算, ruby=じょさん)], [ruby(割り算, ruby=わりざん)] || || [[중국어|{{{#373a3c,#ddd '''중국어'''}}}]] ||除法{{{-2 (chúfǎ)}}} || [목차] [clearfix] == 개요 == 가장 유명한 이항연산들인 [[사칙연산]] 중 가장 나중에 배우는 연산. == 정의 == === 일반적인 나눗셈 === 보통 '나눗셈'이라 하면 [[곱셈]]의 역연산으로서의 의미로 다음을 일컫는다. > [math(a)]를 [math(b)]로 나눈 수 [math( x=a/b )]는, [math(x \times b = a)]가 되는 수 [math(x)]이다. 다만 [math(b)]가 0이 아닐 때만 그러한 수를 유일하게 정할 수 있으므로, [[0으로 나누기]]는 생각하지 않는다. 나누는 수 [math(b)]를 제수(除數, divisor)[* 읽을 땐 '제쑤'로 읽는다.], 나누어지는 수 [math(a)]를 피제수(被除數, dividend), 나눗셈의 결과 [math(a/b)]를 몫(quotient)이라 부르기도 한다. [[가감승제]]의 '''제'''에 해당한다. [[정수]] 범위의 [[지수(수학)|지수]]를 배웠다면, [math(a \div b = a \times b^{-1})]가 성립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지수의 부호가 반대인 수를 곱하는 것과 동치이다. 과거 일제강점기 [[간이학교]]에서는 무려 1학년 때 배우기도 했다.[* 1940년 발행된 간이학교 2학년 산술서 1단원의 ‘前學年ノ復習’(이를 현대 일본어로 쓰면 前学年の復習인데, 당시 교과서에는 [[가타카나]]가 쓰였기 때문이다.)에 나눗셈 문제가 일부 수록돼 있다. 자세히 보면 次ノ割算ヲシナサイ라고 가타카나와 한자만 쓰여 있다.] === 몫과 나머지가 있는 나눗셈 === [[자연수]] 혹은 [[정수]]의 '몫과 나머지가 있는 나눗셈'은 똑같이 나눗셈이라고 부르지만, 다른 개념이다. [math(a)]와 [math(b)]가 자연수일 때, [math(a = bq + r)]을 만족하는 자연수 [math(q)]와 [math(0\le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