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나도 아내가 있었으면 좋겠다}}}''' (2001)[br]''I Wish I Had A Wif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영화 나도 아내가 있었으면 좋겠다 포스터.jpg|width=100%]]}}} || || '''{{{#ffffff,#dddddd 장르}}}''' ||멜로, 로맨틱 코미디 || || '''{{{#ffffff,#dddddd 상영 시간}}}''' ||106분 || || '''{{{#ffffff,#dddddd 제작비}}}''' ||15억 [*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1305838&cid=40942&categoryId=33093|자료]] ] || || '''{{{#ffffff,#dddddd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1년]] [[1월 13일]]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20]] [[2001년]]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2002년]] || || '''{{{#ffffff,#dddddd 감독}}}''' ||[[박흥식(1965)|박흥식]] || || '''{{{#ffffff,#dddddd 출연}}}''' ||[[설경구]], [[전도연]], [[진희경]], [[서태화]] 외 || || '''{{{#ffffff,#dddddd 관객수}}}''' ||전국 60만명 [* 서울 28만명. [[http://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752914|2001년 기사]] ]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ffffff 국내 등급}}}]]''' ||'''[[15세 관람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초기.svg|width=60]] 15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fuWGw__EZsQ)] 2001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 [[설경구]], [[전도연]] 주연. == 시놉시스 == [[한미은행]]의 입사 5년차 대리 김봉수(설경구)는 이상적인 결혼을 꿈꾸며 새해를 맞아 미래의 아내에게 보내는 영상메시지를 남기는 순정남이다. 그가 가진 결혼생활에 대한 환상은 극심해서 친구의 결혼식에 참석하여 사회를 보는 동안에도 신랑 이름이 아닌 자기 이름으로 잘못 부를 정도다. ~~친구는 이 때 뭔 생각을 했을까~~ 한편 은행과 같은 건물에 입주한 학원에서 강사로 일하는 정원주(전도연)은 김봉수를 지켜보며 연심을 품어왔으나 좀처럼 다가가기 힘든 가운데 속앓이만 한다. [[민방위|민방위훈련]]의 날, 대피소인 역앞에서 만난 그들은 잠시 기다리려 했으나 급한 마음을 보인 원주를 보고 김봉수는 그녀의 손목을 붙잡고는 인적이 드문 거리를 함께 달리며 목적지에 도착한 뒤, 요구르트를 나눠 마신다. 이 사건을 계기로 원주는 봉수에 대한 일종의 확신을 가진다. 하지만 김봉수는 이후 택시를 타고 귀가하던 도중 다른 차와 충돌하여 병원에 입원하게 되고 병원에서 동창인 태란(진희경)과 만나 서로의 이야기를 하며 가까워진다. 봉수와 태란은 금세 친밀해져 하룻밤을 같이 보내고 그녀의 마스크프린팅 가게에도 자주 가면서 봉수는 그녀와 결혼할 용기를 낸다. 다시 업무에 복귀하고 원주가 찾아왔을 때 입금표에 저녁식사를 앞세워 고백한 원주의 메시지를 장난하지 말라며 돌려보내고 그렇게 둘은 멀어지는데… == 등장인물 == * 정원주 ([[전도연]]) * 김봉수 ([[설경구]]) * 홍탁 ([[서태화]]) * 태란 ([[진희경]]) : 우정출연 == 평가 ==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508213, expert=, audience=, user=8.02)]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2442, user=7.3)] == 흥행 == * 상반기 흥행영화 20위권에 한국영화가 9편이나 오르는 호성적을 기록했다. 영화인회의 배급개선위원회가 3일 발표한 올 상반기 개봉영화 흥행랭킹에 따르면 나도 아내가 있었으면 좋겠다는 '''상반기 흥행영화 13위를 하였다.''' * 전국 60만 3천명 / 서울 28만명. [[http://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752914|2001년 기사]] 제작비의 2.5~3배 이상의 관객수를 모으면 보통 손익 분기점을 넘는데 전국 60만명 돌파로 넘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반의 작품은 대부분 순제작비가 12~15억 사이가 많았다. == 수상 == || '''연도''' || '''시상식''' || '''부문''' || '''수상자(작)''' || ||<|2> [[2001년]] ||<|2> '''제 37회 [[백상예술대상]]''' || '''[[백상예술대상/수상자#s-1.2|영화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 '''[[전도연]]''' || || '''[[백상예술대상/수상자#s-1.5|영화부분 신인감독상]]''' || '''[[박흥식(1965)|박흥식]]''' || == 읽을거리 == * 긴 제목에도 상징성으로 인해 인터넷 상에서 간혹 패러디 된 일이 많다. * 김봉수가 일하는 [[한미은행]]은 실재했던 은행이며 이후 [[씨티은행]]으로 인수합병된다. * 감독의 다음 작품인 사랑해 말순씨의 결말과 일부 공통분모를 가지는데, 어린시절 주인공의 어머니가 사망하여 상을 치르는 부분이 그렇다. * 두 주연의 필모그래피에서 설경구의 전작은 주연 데뷔작인 [[박하사탕(영화)|박하사탕]]이고 이 영화 차기작은 [[공공의 적]]과 [[오아시스(영화)|오아시스]]였다. 게다가 전도연의 이전 작품은 [[해피 엔드(영화)|해피 엔드]]였으니 어느 쪽도 전작과 괴리가 심했다. * 설경구는 이 영화를 위해 실제로 마술을 배웠다. * 설경구와 전도연은 이 작품 이후 18년만인 2019년 영화 [[생일(영화)|생일]]에서 부부로 호흡을 맞추었다. * 전도연은 추후 박흥식 감독의 연출작 인어공주와 협녀에서도 주연을 맡았다. * 영화의 제목과 동명인 주제가는 [[이현우(가수)|이현우]]가 불렀다. 이 곡은 이현우의 7집 앨범에 실리기도 했다. [[분류:2001년 영화]][[분류:한국의 로맨틱 코미디 영화]][[분류:죽기 전에 꼭 봐야 할 한국영화 1001]][[분류:15세이상관람가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