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연습장]]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2, 프로젝트1=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 프로젝트2=나무위키 수도권 프로젝트)] ||<-6><:>{{{+2 '''왕십리'''}}}'''(성동구청)'''{{{+2 '''역'''}}}|| ||{{{#!html← 0.8km}}}[br][[상왕십리역|상왕십리]][br]{{{#!html외선 순환}}}||<:> ||<-2><:>'''[[서울 지하철 2호선|서울 2호선]]'''[br]{{{#33a23d (208)}}}||<:> ||<)>{{{#!html1.0km →}}}[br][[한양대역|한양대]][br]{{{#!html내선 순환}}}|| ||{{{#!html← 0.9km}}}[br][[행당역|행당]][br][[방화역|{{{#!html방화 방면}}}]]||<:> ||<-2><:>'''[[서울 지하철 5호선|서울 5호선]]'''[br]{{{#8b50a4 (540)}}}||<:> ||<)>{{{#!html0.7km →}}}[br][[마장역|마장]][br][[상일동역|{{{#!html상일동, }}}]][[마천역|{{{#!html마천 방면}}}]]|| ||{{{#!html← 1.4km}}}[br][[응봉역|응봉]][br][[문산역|{{{#!html문산 방면}}}]]||<:> ||<-2><:>'''[[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br]{{{#73c7a6 (K116)}}}||<:> ||<)>{{{#!html2.4km →}}}[br][[청량리역|청량리]][br][[용문역|{{{#!html용문, }}}]][[지평역|{{{#!html지평 방면}}}]]|| ||{{{#!html← 3.2km}}}[br][[옥수역|옥수]][br][[문산역|{{{#!html문산 방면}}}]]||<:> ||<-2><:>'''[[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br]{{{#!html(중앙선 급행)}}}||<:> ||<)>{{{#!html2.4km →}}}[br][[청량리역|청량리]][br][[용문역|{{{#!html용문, }}}]][[지평역|{{{#!html지평 방면}}}]]|| ||<|2>(시종착)||<|2><:> ||<-2><:>'''[[수도권 전철 분당선|분당선]]'''[br]{{{#ffb300 (K210)}}}||<|2><:> ||<|2><)>{{{#!html2.2km →}}}[br][[서울숲역|서울숲]][br][[수원역|{{{#!html수원 방면}}}]]|| ||<-2><:>'''[[수도권 전철 분당선|분당선]]'''[br]{{{#ff0000 (급행)}}}|| ||<-6>[include(틀:지도,장소=왕십리역,너비=100%,높이=100%)]|| ||<-6><:>'''다국어 표기'''|| ||<:><-2>[[영어]] ||<:><-4>Wangsimni[br](Seongdong-gu Office)|| ||<:><-2>[[한자]] ||<:><-4>往十里(城東區廳)|| ||<:><-2>[[중국어]] ||<:><-4>往十里(城东区厅)|| ||<:><-2>[[일본어]] ||<:><-4>ワンシムニ(ソンドン区庁)|| ||<:><-6><#c0c0c0>'''주소''' || ||<:><-2>[[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br][[서울 지하철 5호선|5호선]]||<:><-4>[[서울특별시]] [[성동구]][br] [[왕십리로]] 지하 300|| ||<:><-2>[[민자역사]][br][[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br][[분당선]]||<:><-4>[[서울특별시]] [[성동구]] [br][[왕십리광장로]] 17|| ||<:><-6>'''관리역 등급'''|| ||<:><-6>[[보통역]][br](3급 /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수도권동부본부)|| ||<:><-6><#c0c0c0>'''역 운영기관'''|| ||<:><-2><#33A23D>[[서울 지하철 2호선|{{{#ffffff 2호선}}}]]||<:><|2><-4>[[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jpg|width=150]]]]|| ||<:><-2><#8B50A4>[[서울 지하철 5호선|{{{#ffffff 5호선}}}]]|| ||<:><-2><#73c7a6>[[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ffffff 경의·중앙선}}}]]||<:><|2><-4>[[한국철도공사|[[파일:koraill_ogo.jpg|width=100]]]]|| ||<:><-2><#FFB300>[[분당선|{{{#000000 분당선}}}]]|| ||<-6><:>'''열차거리표'''|| ||<:><-2>[[용산역|{{{#!html
용산 방면}}}]][[응봉역|응 봉]][br]← 1.4 ㎞||<:><-2>'''[[경원선]]'''[br]왕십리||<:><-2> [[백마고지역|{{{#!html
백마고지 방면}}}]][[청량리역|청량리]][br]2.4 ㎞ →|| ||<-2><:>{{{#!html
기점}}}||<:><-2>'''[[분당선]]'''[br]왕십리||<-2><:>[[수원역|{{{#!html
수원 방면}}}]][[서울숲역|서울숲]] [br]2.2 ㎞ →|| ||<-6><:>[[왕십리역 #s-11|{{{#ffffff '''↓ 여객열차 운행계통 보기 ↓'''}}}]]|| {{{+1 往十里(城東區廳)驛 / Wangsimni(Seongdong-gu Office) Station}}} ## 상단 역명란은 정보만을 전달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절대 개드립을 적지 마세요. (https://namu.wiki/topic/32628) * [[경원선]] 개업일: [[1911년]] [[10월 15일]] * [[ITX-청춘]] 영업개시일: [[2012년]] [[11월 1일]] *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개업일: [[1983년]] [[9월 16일]] * [[서울 지하철 5호선|5호선]] 개업일: [[1995년]] [[11월 15일]]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 개업일: [[1978년]] [[12월 9일]] * 통근급행 영업개시일: [[2009년]] [[12월 23일]] * [[분당선]] 개업일: [[2012년]] [[10월 6일]] ||<-6><:>{{{#000000 '''민자역사'''}}}|| ||정식명칭||주식회사 비트플렉스|| ||영문명칭||BITPLEX CO., LTD|| ||설립일||[[1992년]] [[4월 9일]]|| ||업종명||부동산서비스업|| ||상장여부||비상장기업|| ||기업규모||[[중소기업]]|| ||||[[http://www.bitplex.co.kr|홈페이지]]|| [목차] == 개요 == 국내 최초의 지상-지하 환승역이다. 그리고 최초의 3환승역이자 직접 4환승역, 그리고 서울 동북부의 중심지이자 경기 동부(양평) 및 동남부 일부(성남, 하남)에서 서울 도심으로 진입하는 주요 교통 거점이다.[* 왕십리와 유사한 교통 거점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 다른 역으로는 [[홍제역]], [[미아사거리역]]과 인근의 [[청량리역]]이 있다. [[가좌역|가좌]]의 경우도 엇비슷하나 앞의 4곳에 비하면 역할 분담이 적은 편.] [[내부순환로]]가 앞의 주석에 있는 5곳(왕십리 포함)을 모두 지나간다. [[서울특별시]] [[성동구]] [[행당동]]에 위치한 철도역. [[서울 지하철 2호선]]과 [[서울 지하철 5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분당선]]이 만나는 4환승역으로, [[ITX-청춘]]이 이 역에 정차하여 운행중이다. 다만 정차 횟수는 적은 편으로, 서울 동북부의 환승 중심지임에도 고작 평일 왕복 3회(통근용) 주말 왕복 6회 정차하고 있다.[* 정차횟수 당 승하차량은 청량리역보다도 높다고 한다.] == 역 정보 == || [[파일:wangsimni.png|width=500]] || [[파일:attachment/왕십리역/2013_08_31_16_13_28-1.jpg|width=500]] || [[서울 지하철 2호선]] 왕십리역 옛 역명판.[* 개통 초기의 역명판(왼쪽)은 현재 로마자 표기와 차이가 없는데, Wangshimni 역으로 쓰던 것은 1년 뒤인 1984년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이 정해지고 나서의 일이었다. 사실 'ㅅ' 다음에 'ㅣ'가 오면 구개음화가 일어나 'si'보다는 'shi'에 더 가깝게 소리 나기 때문에 현행 표기보다 더 옳은 표기라고 할 수 있다. 신씨들도 'shin'이라고 쓰는 사람들이 많듯이. 다만 이것은 'sin'의 좋지 않은 뜻을 피하려는 의도도 있다.] --크고 아름다운-- '''{{{#008000 8}}}''' 이라는 역번호가 눈에 띈다. [[파일:external/www2u.biglobe.ne.jp/ozonephoto-cheong-wangshimni-hyou.gif]]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 옛 역명판. 당시엔 1호선 계통과 구분하기 위해 '국철'이라고 했다. [[경원선]] 개통 직후까지 올라가는 상당히 오래된 역. 1911년 10월 15일 독도역(纛島驛)[* '뚝섬'의 한자 음차표기로, [[울릉군]] [[독도]](獨島)와는 관련이 없다.]으로 개업한 이후 1914년 4월 11일 현재의 역명으로 바뀌었다. [[http://m.blog.naver.com/s5we/220569771846|전철 개통 전인 1975년 당시 모습]] [[1978년]]에 용산~성북 구간의 수도권 전철이 개통되면서 전철 영업을 개시하였다. 뒤이어 1983년에 2호선이 개통되었는데, 건설 당시 역명은 '하왕십리역'[* 물론 [[하왕십리동]] 역시 왕십리역과는 어느정도 떨어져 있다.]이었다. 이후 1995년에 왕십리~상일동 구간의 개통으로 5호선 영업을 시작하면서 국내 최초 3개 노선 환승역이 된다. 2012년 10월 6일 대망의 [[분당선]] 연장과 함께 4개 노선 환승역으로 진화했다. [[분당선]] 환승과 함께 [[관리역]] 승격이 되는게 아닌가 했지만 [[수서역]]이 관리역으로 승격하면서 자리를 뺏겼다. 현재 4개 노선 모두 [[스크린도어]]가 가동된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은 2010년에 설치되었으며, [[분당선]] 승강장에는 2013년말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었다. [[2012년]] [[11월 1일]] 부로 [[ITX-청춘]]의 영업이 개시된다. 주중에 왕십리역에 정차하는 ITX-청춘은 춘천 → 왕십리 → 용산이 오전, 용산 → 왕십리 → 춘천은 오후에 정차한다. 반면 주말에 왕십리역에 정차하는 ITX-청춘은 용산 → 왕십리 → 춘천이 아침, 춘천 → 왕십리 → 용산은 오후에 정차한다. 2014년 12월 18일에 고시된 서울특별시고시 제2014-436호에 의거 2호선과 5호선의 역명에 병기역명으로 '''성동구청'''이 추가되었다.[* [[http://spp.seoul.go.kr/main/news/news_notice.jsp?searchType=TITLE&searchWord=&list_start_date=&list_end_date=&pageSize=30&branch_id=&branch_child_id=&pageNum=34&communityKey=B0277&boardId=5694&act=VIEW|서울특별시 고시 제2014-436호(도시철도 역명 제·개정 확정 고시)]] (2014-12-18, 서울특별시)][* 병기역명이 추가되면서 5호선 역명판도 기존 디자인에 서울남산체로 새로 바뀌었다.] 물론 병기역명을 판매하는 코레일 구간에서는 적용되지 않는다. 이름은 왕십리역이지만 행정구역상으로는 왕십리동이 아니라 '''행당동'''이다. 해당 지역의 정확한 명칭이 아니라 인근 지역의 대표 지역명을 붙인 걸로 볼 때, [[청량리역]]과 비슷한 경우라 할 수 있다. 한때 중앙선이 분당선 공사로 인해 1,4번 플랫폼을 사용하면서 분당선이 2,3번 플랫홈을 쓰면서 [[금정역]] 같은 개념환승이 될 것으로 기대되었으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이는 회기역과 비슷한 케이스로 분당선은 왕십리역에서 벗어나자 마자 남동쪽 지하터널로 빠지는데 반해 중앙선은 남서쪽 응봉역으로 빠지기 때문에 중앙선 용산행과 분당선 왕십리행[* 만약 2번홈을 종착홈으로 3번홈을 왕십리역 출발홈으로 사용했다고 가정한다.]이 [[평면교차]]로 꼬이기 때문이다. 이 역 지하1층에 [[서울 지하철 5호선|5호선]]과 [[서울 지하철 8호선|8호선]]의 유실물센터가 있다. 이 역에 분당선과 경원선을 잇는 [[연결선로|연결 선로]]가 있다. 따라서 분당선이나 신분당선, 그리고 경강선의 신차는 이 역을 반드시 거친다. === [[민자역사]] === 1978년에 경원선 왕십리역에 전동차가 들어올 당시 왕십리역은 수많은 측선 사이에 섬식 승강장 하나만 있는 형태의 역사였다. 전동차가 들어온 이후로는 예전 역사를 별다른 개조 없이 역사와 승강장을 잇는 과선교 정도만 설치하고 그대로 써먹었다. 그러다가 1983년에 [[서울 지하철 2호선]]의 개통과 동시에 역무시설을 지하로 이전했는데, 이게 말이 이전이지 사실상 자기네 역사를 없애버리고 [[신도림역]]처럼 개찰 업무를 2호선 역사에 맡겨버린 셈이었다. 이 때문에 한동안 경원선 왕십리역 역사는 존재하지 않았었고, 자사 개찰구도 없어서 [[서울메트로]](당시 [[서울지하철공사]])가 대신 해주었다. 그러다가 [[서울 지하철 5호선]] 개통 전인 [[1990년대]] 초반부터 [[민자역사]] 개발 이야기 나오기 시작했다. 그러나 두 번이나 사업주체가 망하는 불운을 겪었다. 결국 다른 사업주체가 사업을 재개하여 2008년 9월에 간신히 완공되었다. 이 때 코레일이 지상 역사를 만들어 25년만에 다시 자사 개찰구를 갖추었고 지하 역사도 약간 증축해 자사 개찰구를 마련했다. 그리고 민자역사를 건설하면서 현재 [[분당선]] 승강장으로 쓰이고 있는 3-4번 승강장을 만들었으며 분당선 개통 이전에는 임시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용산 방향 승강장으로 활용되기도 했었다. 입점 직후, [[빅뱅(아이돌)|빅뱅]]의 "붉은 노을" 뮤직비디오에 나왔던 적이 있다. 공사업체와 사업주체 간 [[어른의 사정]] 때문에 몇몇 상가의 입점이 지연되었다. 8월에 입점한다던 [[CGV]]는 12월 24일에야 영업을 개시했다. 포시즌 워터파크 입점도 2009년 2월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6월 9일에 개점했다. [[영등포구]]의 [[씨랄라]]에 이은 서울 내 2번째 실내 워터파크였으나, 2013년에 워터파크 영업을 종료하였으며 현재 워터파크의 자리에는 웨딩홀이 영업중이다. 워터파크의 부속으로 딸려 있던 찜질방과 목욕탕은 한동안 유지되다가 2016년 현재 찜질방마저 영업을 종료하였고 목욕탕만 남아있다.--근데 그 목욕탕도 2017년에 영업이 끝났다-- 민자역사 내에 위치한 엔터식스의 안내방송 [[BGM]]은 [[잔혹한 천사의 테제]]의 피아노곡이다. 그것도 그냥 잔혹한 천사의 테제가 아니라 TV판의 전설적 엔딩(오메데토~)에 깔린 그 음악이다. OST에서의 곡명은 Good, or Don't Be.[* [[https://www.youtube.com/watch?v=ZHq68t2kgwM|원곡]]] --안내방송에서 이 음악이 들리자 오타쿠들이 경악했다 카더라.--[* 사실 잔혹한 천사의 테제는 애니곡 치고는 서브컬쳐 외의 상황에도 꽤 사용되어 왔다. 예전엔 몇몇 야구선수는 이 노래를 가사만 고친 것이 응원가로 쓰였다. --근데 노래가 너무 오래 돼서...--] 민자역사의 쇼핑몰 중 하나로 위에서 말한 엔터식스(ENTER6)가 있는데, 내부 인테리어가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특히 원형 분수대가 아름답기로 잘 알려져 있는데, 이 컨셉은 사실 도쿄 오다이바의 비너스 포트에서 모방한 것이고, 비너스 포트는 미국 라스베가스의 베네치안 호텔을 모방한 것 이다. 민자역사는 한 때 불법 건물로 폐쇄될 위기에 처하기도 했었다. 민자역사 건설 과정에서 주변 부지를 매입해서 [[기부채납]]을 해야 되는데 이게 안 돼서 준공승인이 안 났고, 그동안 임시승인만 받은 채로 영업 중이었던 것이다. 결국 [[성동구]]에서는 2012년 연말까지 준공승인을 못 받으면 퇴거 조치하겠다는 경고문을 민자역사 측에 보냈다.[* [[http://www.newscani.com/news/view.html?id=78976|[집중현장]-왕십리민자역사, 불법 건물로 전락하나?(1)]] (2011-10-21, 뉴스캔)] 결국 [[2013년]] [[3월 25일]], 왕십리 민자역사의 운영사인 비트플렉스와 [[한국철도시설공단]]이 [[기부채납]]을 위한 도로부지 계약을 체결하였다.[*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3032509235629075|왕십리민자역사 준공 움직임 빨라진다]] (2013-03-25, 아시아경제)] 결국 [[2014년]] [[4월 15일]], [[성동구]]에 정식으로 [[기부채납]]을 완료하여 준공승인을 받았다. === 미래 === 미래에 왕십리역을 기점으로 하는 [[서울 경전철 동북선]]이 개통되면 5개 노선 환승역이 된다. 2017년 말 [[수인선]]이 [[수원역]]까지 완전 개통되면 [[분당선]]과 [[수인선]]이 직결되어 왕십리역에서 환승 없이 [[인천역]]까지 갈 수 있게 된다.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우이신설선]] 또한 이 역으로 연장하자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실제로 우이신설선이 왕십리역으로 연장이 되게끔 [[성동구]]와 우이신설선의 연선 주민들이 노력해 봤지만 [[신설동역]] 지하에 광케이블이 있어 연장 공사를 하려면 광케이블을 전부 절단함과 동시에 [[대한민국]] 통신망이 마비되어 공사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우이신설선]] 사업자인 [[우이신설경전철주식회사]] 및 [[서울특별시청]]과의 협의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아 결국 무산되었다. 다만 왕십리 연장이 실현된다면 5노선 환승역인 왕십리역을 통한 엄청난 시너지 효과를 내기 때문에 여전히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 특징 == [[서울시메트로9호선]]을 제외한 서울의 도시철도 구간을 운영하는 ~~3개~~ 2개 회사(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가 서울교통공사로 합병) [* 경의중앙선, 분당선 : 코레일 / 2호선 : ~~[[서울메트로]]~~ [[서울교통공사]] / 5호선 : ~~[[서울도시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 가 이 역을 관리하고, 무엇보다도 '''[[크고 아름다운]]''' 모습을 자랑하기 때문에 [[철도 동호인]]들은 왕십리역을 왕본좌라 부르기도 한다. 1기 지하철과 2기 지하철이 만나는 역치고는 환승거리가 무난한 역이나, 한때 5호선에서 중앙선으로 환승할 때는 반드시 2호선 승강장으로 들어갔다가 다시 나와야 했던 적도 있다. 그리고 이 환승통로를 [[디지털미디어시티역]]이 물려받았다. 민자역사 공사 완료 후 2호선 승강장을 거치지 않고도 환승이 가능하지만 환승거리가 획기적으로 줄어든 게 아니라 아쉽다. 거치지 않아도 되는 것은 맞는데, 새로 생긴 통로가 2호선 외선순환 승강장 바로 옆에 붙어서 지나간다.[* [[http://m.map.daum.net/look?p=37.561272,127.037148|다음 지도]]] 2호선 외선순환 승강장에서 5호선으로 갈아탈 때는 원래 환승유도 동선은 5호선 개찰구 방향으로 돌아가도록 되어 있지만, 승강장 중간의 환승통로 입구에서 바로 왼쪽으로 내려가는 계단을 이용해서 내려가면 환승 거리가 상당히 줄어든다. 2호선 내선순환 열차에서 왕십리에서 내리면, 바로 중앙선/분당선이 연결된다. 덕분에 열차 시간 맞추려 뼈 빠지게 뛰어올라가는 대학생/직장인들을 많이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중앙선/분당선 쪽과 2호선 외선순환도 연결되기 때문에 중앙선/분당선 열차가 도착하면 외선순환 쪽으로 내려가는 경우가 많다. == 역 주변 정보 == 인근에 [[성동구]]청을 비롯하여 성동구의회, 성동광진교육지원청, 성동경찰서, 성동청소년수련관 등 각종 행정기관이 자리잡고 있다. 다만 성동구청 방향으로 출구가 나있지 않기 때문에 조금 돌아가야 한다. 최근 왕십리 일대의 단독 주택들을 허물고 [[아파트]]를 올리는 크고 작은 [[재개발]]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또한 이 지역은 [[한양대학교]] 주변 상권에 속해 한양대 주변 술집이나 음식점, 그리고 자취촌으로 갈 경우에도 편하다. 다만 학교 캠퍼스로 갈 때는 캠퍼스 바로 옆에 있는 [[한양대역]]을 이용하는 것이 더 편하지만, 한양대 병원 등 지하철역과 반대 방향에 있는 곳으로 갈 때는 왕십리역으로 가는 것이 더 편할 수 있다. [[2015년]]들어 [[성동구|성동구청]]에서 [[홍대거리]]상권과 [[건대입구역|건국대]] 상권에 필적하는 한양대 상권을 만들기 위해 [[상왕십리역]] - 왕십리역 - [[한양대역]] 주변을 [[재개발]]하는 것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D11&newsid=02630566609464368|‘홍대·건대’ 부럽지 않은 ‘한양대’ 상권 만든다]] (2015-08-05, 이데일리)] == 사진 == ||||<:>[[파일:attachment/4444466666.jpg|width=300]][br][[서울 지하철 2호선]] 승강장 [[http://upload.namu.wiki/upload/4444466666.JPG|크게보기]]|| ||||<:>[[파일:attachment/4444455555.jpg|width=300]][br][[서울 지하철 5호선]] 승강장 [[http://upload.namu.wiki/upload/4444455555.JPG|크게보기]]|| ||||<:>[[파일:attachment/4444422222.jpg|width=300]][br][[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승강장 [[http://upload.namu.wiki/upload/4444422222.JPG|크게보기]]|| ||||<:>[[파일:attachment/bundangwangsimni.jpg|width=300]][br][[수도권 전철 분당선]] 승강장 [[http://upload.namu.wiki/upload/bundangwangsimni.JPG.jpg|크게보기]]|| ||||<:>[[파일:attachment/wangsimnii.jpg|width=300]][br]역안내도 [[http://upload.namu.wiki/upload/wangsimnii.jpg|크게보기]]|| ||||<:>[[파일:attachment/16161902.png|width=300]][br]왕십리역 [[민자역사]] [[http://upload.namu.wiki/upload/16161902.PNG|크게보기]]|| == 개업일 == ||||<:>'''수도권 전철'''||||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개업일||<:>1983년 9월 16일|| ||<:>[[서울 지하철 5호선|5호선]] 개업일||<:>1995년 11월 15일|| ||<:>[[수도권 전철 중앙선|중앙선]] 개업일||<:>1978년 12월 9일|| ||<:>[[수도권 전철 중앙선|통근급행]] 개업일||<:>2009년 12월 23일||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 개업일||<:>2014년 12월 27일|| ||<:>[[수도권 전철 분당선|분당선]] 개업일||<:>2012년 10월 6일|| ||||<:>'''일반 철도'''|||| ||<:>[[경원선]] 개업일||<:>1911년 10월 15일|| ||<:>[[분당선]] 개업일||<:>2012년 10월 6일|| ||<:>[[ITX-청춘|경춘선 ITX-청춘]] 개업일||<:>2012년 11월 1일|| == 기타 == [[2012년]] [[5월 14일]] 왕십리역 비트플렉스에서 진행된 [[디아블로 3]] 한정판 D-1 이벤트로 인하여 [[헬게이트]]가 열린 적이 있다. 통칭 [[헬]]십리. 분당선 연장 개통에 맞춰 바꾼 안내판에 오타가 있었다.[* [[http://gall.dcinside.com/list.php?id=hit&no=11169|관련 게시물]] (디시인사이드 HIT갤러리)] 결국 저 오타는 정식 개통 직전 수정되었다고 한다. 말끔히 수정된 건 아니고, Trcaks 부분에서 ca를 잘라내고 그 자리에 ac를 인쇄한 스티커로 '''땜질'''했다. 결국 [[2012년]] [[12월 1일]] [[망포역]]까지 연장 개통하면서 안내판을 새것으로 교체했다. [[파일:attachment/angsi.jpg]] Tracks를 Trcaks로 오타 낸것도 모자라, 이젠 전광판의 W자 불이 나가는 일도 있었다. 그래서 한동안 이 역은 ANG십리역이 되어야 했다는 슬픈 이야기가 있다. --앙십리역-- [[파일:attachment/sbswangsimni.jpg|width=500]]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를 맞아 [[SBS]]의 약빤 개표방송에 [[서울특별시]] [[성동구]]의 투표/개표 상황을 알려주는 상황판에서 성동구의 [[랜드마크]]로 왕십리역이 선정되어 방영되었다. 6번 출구 옆에는 에스컬레이터가 하나 있었는데, 꽤 오랫동안 작동되지 않은 채 방치되어 있었다. 가끔씩 에스컬레이터를 점검하는 모습이 보이긴 했지만 대부분의 시간 동안 작동되지 않는 상태로 [[그냥 시체|그냥 계단]] 역할을 해 왔었다. 그러다가 2016년 9월 1일에 와서야 에스컬레이터가 철거되고 그 자리에 목제 계단[* 계단 난간과 하부는 에스컬레이터에 설치되어 있던 것을 그대로 쓰고 있다.]이 설치되었다. 이 역과 [[청량리역]] 사이에는 [[청계천]]을 건너는 [[신답철교]]가 있다. 6-1번 출구와 6번 출구가 '''아예 다른 출구'''이다. 개찰구도 분리되어 있으니 길을 잃지 않게 미리 확인하고 가야 한다. 혹시 6번 출구로 가야 하는데 6-1번 출구로 나왔을 때에는 왕십리역 비트플렉스를 통과하여 12번 출구로 들어가서 13번 출구로 나오면 된다. 반대도 마찬가지. [* 한양대재학생들에겐 6번출구는 굉장히 중요한데, '''왕십리역에서 다이렉트로 캠퍼스를 향해 돌진 할 수 있는 출구'''인 점이다. 이게 왜 중요하면 통학생이 2호선이 아닌 다른 노선으로 왕십리에 도착했을 때 '''피지컬만 받쳐준다면 2호선 환승 후 한양대역에서 내리는 것 보다 빠르게 등교할 수 있기 때문이다''' 6번출구로 뛰쳐나와 신호를 건넌 후 '''대학병원 정문'''- '''의대옆 경사로'''or '''의대 옆 계단(aka 정력계단)'''를 달려 올라가면 바로 고공캠퍼스(자연대, 사범대, 인문대)에 도착하기 때문--진짜로 '''피지컬'''이 중요하다-- 시간적 여유가 있을 때는 '''동문회관 지하주차장-동문회관 로비(엘리베이터)''' 나 '''대학병원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는 편법(명심해라 한양대 서울캠퍼스는 '''3차원 구조'''다)이 존재하지만, 지각의 위기에선 이 방법 뿐이다.] [[수서역]]에 [[SRT]]가 개통됨에 따라 [[고속철도]]를 이용할 수 있는 역 연계폭이 하나 더 늘어났다. 왕십리역에서 서울역까지는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에서 4호선으로 환승하여 24분이 걸리고, [[용산역]]까지 [[경의중앙선]]을 이용하면 18분, [[수서역]]까지 [[분당선]]을 이용하면 24분 걸린다. 서울역까지의 소요시간과 수서역까지의 소요시간이 같으므로, 경부선을 이용할 경우 [[SRT]]를 타는 것이 확실히 경제적이다. 다만 KTX 30% 할인 열차가 걸린다면 얘기가 달라지겠지만, 코레일이 할인 승차권 물량을 줄이는 꼼수를 쓰고 있으므로, 어느 쪽을 택할 지는 상황에 따라 판단하자. 5호선에서는 이 역에서 시종착하는 첫차와 막차가 평일에는 방화방향 한정으로 각 2대가 존재하고,[* 막차 두 대 모두 마천발 열차이며, 첫차의 경우 1대는 방화행 열차, 다른 1대는 상일동행 열차이다.], 주말에는 양방향 모두 각 1대씩 존재한다.[* 방화방향의 경우 막차는 평일과 달리 상일동발 열차이며, 첫차의 경우 1대는 방화행 열차, 다른 한대는 상일동행 열차이다.] == 승강장 == === 지상 1층 === ||<-4><:>↑ [[청량리역|청량리]]||<-4><:>종착역|| ||<:>ㅣ||<:>{{{#ffffff 1}}}||<:>{{{#ffffff 2}}}||<:>ㅣ||<:>ㅣ||<:>{{{#ffffff 3}}}||<:>{{{#ffffff 4}}}||<:>ㅣ|| ||<-4><:>[[응봉역|응봉]] ↓||<-4><:>[[서울숲역|서울숲]] ↓|| ||<:>{{{#ffffff 1}}}||<:>[[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완행·급행||[[청량리역|청량리]]·[[상봉역|상봉]]·[[덕소역|덕소]]·[[용문역|용문]]·[[지평역|지평]] 방면|| ||<:>{{{#ffffff 1}}}||<:>[[경춘선]]||<:>[[ITX-청춘]]||[[청량리역|청량리]]·[[평내호평역|평내호평]]·[[가평역|가평]]·[[강촌역|강촌]]·[[춘천역|춘천]] 방면|| ||<:>{{{#ffffff 2}}}||<:>[[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완행·급행||[[용산역|용산]]·[[홍대입구역|홍대입구]]·[[대곡역|대곡]]·[[금촌역|금촌]]·[[문산역|문산]] 방면|| ||<:>{{{#ffffff 2}}}||<:>[[경춘선]]||<:>[[ITX-청춘]]||[[용산역|용산]] [[옥수역|옥수]] 방면|| ||<:>{{{#ffffff 3}}}||<:>[[수도권 전철 분당선]]||<:>완행||당역종착|| ||<:>{{{#ffffff 4}}}||<:>[[수도권 전철 분당선]]||<:>완행||[[수서역|수서]]·[[모란역|모란]]·[[정자역|정자]]·[[죽전역(분당선)|죽전]]·[[수원역|수원]] 방면|| ||<:><-3>'''노선 및 방면'''||<:>'''빠른 환승'''|| ||{{{#73c7a6 ●}}} 경의·중앙선 (지평 방면)||<:>→||{{{#33a23d ●}}} 2호선, {{{#8b50a4 ●}}} 5호선, {{{#ffb300 ●}}} 분당선||<:>7-1|| ||{{{#73c7a6 ●}}} 경의·중앙선 (문산 방면)||<:>→||{{{#33a23d ●}}} 2호선, {{{#8b50a4 ●}}} 5호선, {{{#ffb300 ●}}} 분당선||<:>8-2|| ||{{{#ffb300 ●}}} 분당선||<:>→||{{{#33a23d ●}}} 2호선, {{{#8b50a4 ●}}} 5호선||<:>1-1|| ||{{{#ffb300 ●}}} 분당선||<:>→||{{{#73c7a6 ●}}} 경의·중앙선||<:>3-4|| === 지하 2층 === ||<-4><:>[[상왕십리역|상왕십리]] ↑|| ||<:>{{{#ffffff 내}}}||<:>ㅣ||<:>ㅣ||<:>{{{#ffffff 외}}}|| ||<-4><:>↓ [[한양대역|한양대]]|| ||<:>{{{#ffffff 외선}}}||<:>[[서울 지하철 2호선]]||[[신당역|신당]]·[[시청역|시청]]·[[신촌역(지하)|신촌]]·[[신도림역|신도림]]·[[대림역|대림]] 방면|| ||<:>{{{#ffffff 내선}}}||<:>[[서울 지하철 2호선]]||[[성수역|성수]]·[[잠실역|잠실]]·[[선릉역|선릉]]·[[강남역|강남]]·[[사당역|사당]] 방면|| ||<:><-3>'''노선 및 방면'''||<:>'''빠른 환승'''|| ||{{{#33a23d ●}}} 2호선 (내선: 잠실 방면)||<:>→||{{{#8b50a4 ●}}} 5호선||<:>6-1|| ||{{{#33a23d ●}}} 2호선 (내선)||<:>→||{{{#73c7a6 ●}}} 경의·중앙선, {{{#ffb300 ●}}} 분당선||<:>3-1|| ||{{{#33a23d ●}}} 2호선 (외선: 신촌 방면)||<:>→||{{{#8b50a4 ●}}} 5호선||<:>5-4|| ||{{{#33a23d ●}}} 2호선 (외선순환)||<:>→||{{{#73c7a6 ●}}} 경의·중앙선, {{{#ffb300 ●}}} 분당선||<:>8-2|| === 지하 5층 === ||<-4><:>[[행당역|행당]] ↑|| ||<:>{{{#ffffff 하}}}||<:>ㅣ||<:>ㅣ||<:>{{{#ffffff 상}}}|| ||<-4><:>↓ [[마장역|마장]]|| ||<:>{{{#ffffff 상}}}||<:>[[서울 지하철 5호선]]||[[종로3가역|종로3가]]·[[공덕역|공덕]]·[[화곡역|화곡]]·[[김포공항역|김포공항]]·[[방화역|방화]] 방면|| ||<:>{{{#ffffff 하}}}||<:>[[서울 지하철 5호선]]||[[군자역|군자]]·[[천호역|천호]]·[[강동역|강동]]·[[상일동역|상일동]]·[[마천역|마천]] 방면|| ||<:><-3>'''노선 및 방면'''||<:>'''빠른 환승'''|| ||{{{#8b50a4 ●}}} 5호선 (상일동, 마천 방면)||<:>→||{{{#33a23d ●}}} 2호선, {{{#73c7a6 ●}}} 경의·중앙선, {{{#ffb300 ●}}} 분당선||<:>7-2|| ||{{{#8b50a4 ●}}} 5호선 (방화 방면)||<:>→||{{{#33a23d ●}}} 2호선, {{{#73c7a6 ●}}} 경의·중앙선, {{{#ffb300 ●}}} 분당선||<:>2-3|| == 연계교통 == === 0권역([[종로구|종로]]·[[중구(서울)|중구]]·[[용산구|용산]]) 방면 === ||<:>'''승차위치'''||<:>'''노선'''||<:>'''경유지'''|| ||<|4><:>왕십리역(04134)||<:>[[서울 버스 302|302]]||상왕십리역|| ||<:>[[서울 버스 2012|2012]]||[[상왕십리역]]-[[신당역]]-[[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서울 버스 2013|2013]]||상왕십리역-신당역|| ||<:>[[서울 버스 2014|2014]]||상왕십리역-신당역-[[종로5가역]]-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왕십리역(04135)||<:>[[서울 버스 2016|2016]]||응봉동-옥수동-[[한남역]]-[[서빙고역]]-[[이촌역]]-[[효창공원역]]-효창운동장.효창공원|| === 2권역([[동대문구|동대문]]·[[중랑구|중랑]]·[[성동구|성동]]·[[광진구|광진]]) 방면 === ||<:>'''승차위치'''||<:>'''노선'''||<:>'''경유지'''|| ||<|5><:>왕십리역(04133)||<:>[[서울 버스 N62|N62]]||한양대학교-군자동-중곡역-면목동|| ||<:>[[서울 버스 2012|2012]]||한양대학교-군자동-용마산역-상봉터미널-망우역-봉화산역-중랑공영차고지|| ||<:>[[서울 버스 2013|2013]]||한양대학교-마장동-전농동-겸제교-면목동|| ||<:>[[서울 버스 2014|2014]]||한양대학교-서울숲역-뚝섬유원지역|| ||<:>[[서울 버스 2222|2222]]||한양대학교-어린이대공원-건국대학교-신자초등학교|| ||<:>왕십리역(04294)||<:>[[서울 버스 2016|2016]]||한양대학교-뚝섬역-성수역-건국대학교-세종대학교-어린이대공원-상봉역-망우역-중랑공영차고지|| === 3권역([[강동구|강동]]·[[송파구|송파]]) 방면 === ||<:>'''승차위치'''||<:>'''노선'''||<:>'''경유지'''|| ||<:>왕십리역(04133)||<:>[[서울 버스 302|302]]||한양대학교-건국대학교-광진구청-([[잠실대교]])-잠실역-석촌역-송파역-가락시장역-장지역-복정역-가천대학교-태평역-성남종합운동장-중원구청-성남산업단지-상대원차고지|| === 4권역([[서초구|서초]]·[[강남구|강남]]) 방면 === ||<:>'''승차위치'''||<:>'''노선'''||<:>'''경유지'''|| ||<|2><:>왕십리역(04135)||<:>[[서울 버스 463|463]]||서울숲-([[성수대교]])-염곡동|| ||<:>[[서울 버스 4211|4211]]||응봉동-옥수동-([[동호대교]])-염곡동|| === 6권역([[강서구(서울)|강서]]·[[양천구|양천]]·[[영등포구|영등포]]·[[구로구|구로]]) 방면 === ||<:>'''승차위치'''||<:>'''노선'''||<:>'''경유지'''|| ||<|2><:>왕십리역(04134)||<:>[[서울 버스 N62|N62]]||상왕십리역-종로-신촌-홍대입구역-염창역-신월동-양천공영차고지|| ||<:>[[서울 버스 463|463]]||상왕십리역-충무로역-명동역-숭례문-서울역서부-마포역-([[마포대교]])-국회의사당|| === [[공항리무진]] === ||<:>'''승차위치'''||<:>'''노선'''||<:>'''경유지'''|| ||<:>왕십리역(04781)||<:>6010||응봉동-금호동-한남동-인천국제공항|| == 일평균 승차량 ==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10><:>[[서울 지하철 2호선|{{{#fff 서울 지하철 2호선}}}]]||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12,906명||13,398명||13,625명||13,430명||14,190명||14,743명||15,292명||15,327명||16,135명||17,194명||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 ||18,449명||19,456명||19,992명||20,727명||21,076명||20,694명|| ||<-10><:>[[서울 지하철 5호선|{{{#fff 서울 지하철 5호선}}}]]||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5,040명||4,977명||3,591명||5,005명||5,184명||5,481명||5,616명||6,384명||9,216명||9,120명||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 ||10,875명||10,530명||10,164명||10,560명||13,869명||14,208명|| ||<-10><:>[[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fff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10><:>[[수도권 전철 분당선|{{{#fff 수도권 전철 분당선}}}]]|| ||<-9>||2009년|| ||<-9>||8,586명||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 ||9,752명||8,688명||9,959명||10,866명||15,728명||16,446명|| * 분당선과 중앙선이 게이트를 같이 쓰기 때문에, 모두 중앙선의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코레일의 경우 개찰이 존재하지 않는 역에도 수송통계를 내고 있으며 코레일 개찰이 존재하지 않았던 2008년 이전 자료 역시 수록되어 있었으나, 허수이므로 이 표에서는 제거하였다. == 여객열차 운행계통 == ||<-5><:>{{{#000000 '''특급여객열차'''}}}|| ||<-5><:>[[ITX-청춘|{{{#FFFFFF '''경춘선 ITX-청춘'''}}}]]|| ||<:>[[용산역|{{{#gray 용산}}}]] {{{#gray 방면}}}[br][[옥수역|{{{#000000 옥 수}}}]]||<:>{{{+1 ←}}}[br]3.2 ㎞||<:>{{{#000000 '''왕십리'''}}}||<:>{{{+1 →}}}[br]2.4 ㎞||<:>[[춘천역|{{{#gray 춘천}}}]] {{{#gray 방면}}}[br][[청량리역|{{{#000000 청량리}}}]]|| ||<-5><:>[[ITX-청춘|{{{#FFFFFF '''경춘선 ITX-청춘 (통근)'''}}}]]|| ||<:>[[용산역|{{{#gray 용산}}}]] {{{#gray 방면}}}[br][[용산역|{{{#000000 용 산}}}]]||<:>{{{+1 ←}}}[br]10.3 ㎞||<:>{{{#000000 '''왕십리'''}}}||<:>{{{+1 →}}}[br]2.4 ㎞||<:>[[춘천역|{{{#gray 춘천}}}]] {{{#gray 방면}}}[br][[청량리역|{{{#000000 청량리}}}]]|| === ITX-청춘 열차 시각표 === [include(틀:철도 열차 운행 정보 오류 주의)] * 하행 ([[2015년]] [[3월 2일]] 개정) ||<:>'''열차번호'''||<:>'''왕십리'''||<:>'''종착역'''||<:>'''도착시각'''||<:>'''운행일'''||<:>'''비고'''|| ||<:>2002||<:>07:17||<:>용 산||<:>07:30||<:>월화수목금|||| ||<:>2004||<:>08:17||<:>용 산||<:>08:30||<:>월화수목금|||| ||<:>2006||<:>09:19||<:>용 산||<:>09:32||<:>월화수목금|||| ||<:>2032||<:>16:28||<:>용 산||<:>16:42||<:>토일공||<:>[[옥수역]] 정차|| ||<:>2036||<:>17:30||<:>용 산||<:>17:44||<:>토일공||<:>[[옥수역]] 정차|| ||<:>2044||<:>19:29||<:>용 산||<:>19:42||<:>토일공||<:>[[옥수역]] 정차|| ||<:>2048||<:>20:31||<:>용 산||<:>20:44||<:>토일공|||| ||<:>2052||<:>21:28||<:>용 산||<:>21:41||<:>토일공|||| ||<:>2056||<:>22:33||<:>용 산||<:>22:46||<:>토일공|||| * 상행 ([[2015년]] [[3월 2일]] 개정) ||<:>'''열차번호'''||<:>'''왕십리'''||<:>'''종착역'''||<:>'''도착시각'''||<:>'''운행일'''||<:>'''비고'''|| ||<:>2035||<:>18:13||<:>춘 천||<:>19:22||<:>월화수목금||[[상봉역|상봉]], [[퇴계원역|퇴계원]], [[사릉역|사릉]], [[평내호평역|평내호평]], [[마석역|마석]] 정차|| ||<:>2037||<:>19:13||<:>춘 천||<:>20:22||<:>월화수목금||[[상봉역|상봉]], [[퇴계원역|퇴계원]], [[사릉역|사릉]], [[평내호평역|평내호평]], [[마석역|마석]] 정차|| ||<:>2039||<:>20:13||<:>춘 천||<:>21:22||<:>월화수목금||[[상봉역|상봉]], [[퇴계원역|퇴계원]], [[사릉역|사릉]], [[평내호평역|평내호평]], [[마석역|마석]] 정차|| ||<:>2003||<:>07:13||<:>춘 천||<:>08:17||<:>토일공||[[평내호평역|평내호평]], [[청평역|청평]] 정차|| ||<:>2005||<:>08:12||<:>춘 천||<:>09:16||<:>토일공||[[평내호평역|평내호평]], [[강촌역|강촌]] 정차|| ||<:>2009||<:>09:14||<:>춘 천||<:>10:18||<:>토일공||[[평내호평역|평내호평]], [[청평역|청평]] 정차|| ||<:>2017||<:>11:14||<:>춘 천||<:>12:16||<:>토일공||[[청평역|청평]] 정차|| ||<:>2021||<:>12:14||<:>춘 천||<:>13:16||<:>토일공||[[청평역|청평]] 정차|| ||<:>2025||<:>13:13||<:>춘 천||<:>14:17||<:>토일공||[[평내호평역|평내호평]], [[청평역|청평]] 정차||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왕십리역, version=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