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나비모양 금제 귀이개1.jpg]] [[http://blog.daum.net/kinhj4801/15962286|사진 출처 : 금으로 만든 신라의 귀이개]] [목차] == 개요 == [[통일신라]]~[[고려]] 초에 현 [[경상북도]] [[경주시]] 지역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머리뒤꽂이형 [[황금]] 장식품 1점.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내용 == [[파일:나비모양 금제 귀이개2.jpg]] [[https://younghwan12.tistory.com/2576|사진 출처 : 국립중앙박물관 금속공예실 - 한국의 귀금속 꾸미개]] 길이 6.1cm. [[경상북도]] [[경주시]]의 한 폐고분에서 발견된 [[귀이개]]로, 유물이 만들어진 정확한 시기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있다. [[신라]] 천년의 수도였던 [[서라벌]], 즉 [[경주시]] 지역에서 출토된 것이므로 신라시대에 만들어진 것이라 추정하는 학자들이 있고, 그보다 후대인 [[고려]] 초기에 경주 지역의 유력자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하는 학자들도 있다. 일반적으로는 이 귀이개가 발견되었다는 고분 양식을 조사한 결과 [[나말여초]]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됨에 따라 이 유물 또한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확인된다. 자루 윗부분은 [[대나무]] 모양처럼 장식하고 그 끝에 연결된 고리에는 [[방울]] 모양 장식과 [[나비]] 장식이 달려 있는 화려한 황금 귀이개이다. 이 귀이개는 본래의 용도 이외에 머리에 꽂는 장신구로도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나비의 몸통은 부피감 있게 만든 후 새김 기법을 이용하여 입체적으로 표현하였다. 이와 달리 양 날개는 평평한 얇은 금판으로 되어 있으나, 점선으로 날개 무늬를 새겨 넣어 매우 섬세하게 장식하였다. [[파일:나비모양 금제 귀이개3.jpg]]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310|사진 출처 : 국립중앙박물관 공식 홈페이지 - 금으로 된 귀이개]] 이 귀이개쪽을 머리에 꽂으면 나비와 방울장식이 훌륭한 머리뒤꽂이가 된다. 따라서 한국 전통 [[귀이개]]의 목적은 본디 귀지를 파내기 위해서였으나 점차 본래의 용도 이외에 장식적인 성격을 가미하여 쪽진 머리에 덧꽂는 부녀자들의 머리 장식품(裝飾品)인 뒤꽂이로 겸용이 되었음을 이 유물을 통해 알 수 있다. 금으로 만든 나비문양의 장식과 두 개의 방울을 장식으로 단 이러한 금귀이개는 실제로 실용적인 용도로 사용했다기보다 장식적인 경향이 강하며 [[신라]]의 귀족들만이 사용했던 장식품이었다. 지금으로부터 1,100여년 전에 만들어진 10세기 경, [[통일신라]] 혹은 [[고려]] 초의 황금 장식품으로, 당시 경주 지역의 금속공예술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분류:신라의 금제유물]] [[분류: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분류:경주시의 문화재]] [[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