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종특별자치시의 읍면동)] ||<-2> '''[[세종특별자치시|{{{#000000,#dddddd 세종특별자치시}}}]]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나성동}}}'''[br]羅城洞 | Naseong-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세종특별자치시 나성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세종특별자치시 || || '''행정표준코드''' || 3611010700 || || '''관할 행정동''' || 나성동 || || '''면적''' || 1.75㎢ || [목차][clearfix] == 개요 == [[세종특별자치시]]의 [[행정동]]이다. == 역사 ==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이전 [[연기군]] 시절에는 남면 나성리[* 1973년 7월 1일 이전에는 송원리(현 [[한솔동]], [[가람동]])와 함께 공주군 장기면(현 [[장군면]]) 소속.]가 있었다. 이 지역에 있었던 토성(土城)인 나성(羅城)에서 유래되었다. 삼국시대 당시 삼국의 경계 근처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에 지리적으로 중요한 곳이었으며 이때문에 토성인 나성이 신라에 의해 건설되기도 하였다. === 공주-대평리 전투 === [[6.25 전쟁]] 당시 7월 13일에서 7월 16일까지 치러진 국군과 미군의 지연작전인 공주-대평리 전투의 주무대였다. 당시 [[천안 전투]]와 [[전의 전투]]에서 연달아 큰 타격을 입은 미군 24사단 21연대가 조치원을 거쳐 대평리까지 후퇴해 금강 방어선을 형성하였다. 이때 나성리를 지나는 [[1번 국도]]를 통해 인민군 전차와 보병이 돌파하여 금강 도하를 시도했지만 미 21연대의 뒤를 이어 대평리를 방어하던 미 19연대가 화력을 집중해 방어하였고, 이때 수많은 나성리의 초가들이 불타 쑥대밭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그렇게 필사적인 방어에 성공하는듯 싶었으나 포병간의 소통 실수로 밤중에 미군의 시야를 밝혀주던 조명탄이 20분 정도 꺼지는 바람에 그 사이에 인민군이 금강을 도하하였고, 19연대는 발산리를 거쳐 대전으로 후퇴하고 금강방어선이 뚫리면서 막을 내리게 된다. == 관할 행정동 == === 나성동 === ||<-2> '''[[세종특별자치시|{{{#000000,#dddddd 세종특별자치시}}}]]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나성동}}}'''[br]羅城洞 | Naseong-dong || || '''광역자치단체''' || 세종특별자치시 || || '''행정표준코드''' || 5690426 || || '''관할 법정동''' || 나성동, 세종동 || || '''하위 행정구역''' || 15통 66반 || || '''면적''' || 24.91㎢ || || '''인구''' || 13,398명[*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537.86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세종특별자치시 갑'''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홍성국]] ,,(초선),, || ||<-2> '''세종특별자치시의원 | 제17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효숙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갈매로 280 (나성동 850) || || [[https://www.sejong.go.kr/naseong/index.do|나성동 주민센터]] || === 세종동 === [clearfix] == 주요 시설 == === 기관 === * [[전북은행|JB전북은행]] 세종첫마을지점 * [[국세청]]([[정부세종청사]]) * [[행정안전부]] * [[한국정책방송원]] * [[재난안전관리본부]] * [[대한민국 소방청]] * [[한국수목원관리원]] * 세종특별자치시 도시통합정보센터 === 상업시설 === * [[메가박스 세종나성]] == 교통 == === 관내 BRT 정류장 === || [[파일:버스정류장2.png|height=35&align=left]][[새롬동·나성동 정류장|{{{#000 '''새롬동·나성동 정류장'''}}}]] [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8233E; font-size: .9em" [[세종 버스 B0|{{{#fff B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em" [[대전 버스 B1|{{{#fff B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39801; font-size: .9em" [[세종 버스 B2|{{{#fff B2}}}]]}}} || ||
[[파일:버스정류장2.png|height=35&align=left]][[새롬동·나성동 정류장|{{{#000 '''다정동 정류장'''}}}]] [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8233E; font-size: .9em" [[세종 버스 B0|{{{#fff B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9em" [[대전 버스 B1|{{{#fff B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39801; font-size: .9em" [[세종 버스 B2|{{{#fff B2}}}]]}}} || == 교육 == * '''초등학교''' * 나성초등학교 * '''중학교''' * 나성중학교 == [[공동주택/목록/세종특별자치시|공동주택]] == [[공동주택/목록/세종특별자치시]] 참조바람 || '''구역''' || '''단지명''' || '''세대수''' || '''입주''' || '''건설사''' || || HC1 || 트리쉐이드 리젠시 (나릿재마을 4단지) || 528 || 2021년 3월 || 부원건설 || || HC2 || 제일풍경채 위너스카이 (나릿재마을 3단지) || 771 || 2021년 9월 || [[제일건설(주)|제일건설]] || || HC3 || [[세종 리더스포레|세종 리더스포레 1단지]] (나릿재마을 1단지) || 343 || 2021년 1월 || [[한화건설]] || || HO1 || [[세종 한신더휴 리저브]] (나릿재마을 5단지) || 661 ||<|2> 2021년 8월 ||<|2> [[한신공영]] || || HO2 || [[세종 한신더휴 리저브]] (나릿재마을 6단지) || 370 || || HO3 || [[세종 리더스포레|세종 리더스포레 2단지]] (나릿재마을 2단지) || 845 || 2021년 6월 || [[모아건설]], 신동아건설 || == 장래 == 추후 [[세종특별자치시]]의 중심상업지역이 될 지역으로, [[세종특별자치시 BRT]] [[새롬동·나성동 정류장]] 바로 앞에 [[백화점]] 부지가 있으나 당분간 백화점이 들어올 가능성은 희박하다. 현재는 커튼월 고급주상복합아파트와 스트리트형 상가들이 있는 세종시의 가장 큰 번화가이며 세종의 강남이라 불릴만큼 아파트의 공시지가, 실거래가가 넘사벽인 동네다. [[분류:세종특별자치시의 법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