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수권 - 강)] [include(틀:니제르 관련 문서)] ||<-2> {{{+2 '''나이저강'''}}} [br] '''Niger Rive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이저 강.jpg|width=100%]]}}}|| || {{{#fff '''발원지'''}}} ||[[기니]] 기니고원 || || {{{#fff '''하구'''}}} ||[[나이지리아]] [[기니만]] || || {{{#fff '''유입 해역'''}}} ||[[인도양]] || || {{{#fff '''길이'''}}} ||4,180 km || || {{{#fff '''유역'''}}} ||[[기니]] · [[말리]] · [[니제르]] · [[베냉]] · [[나이지리아]]|| || {{{#fff '''유역 면적'''}}} ||2,117,700 km^^2^^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nigerriver.png]] 나이저강은 [[아프리카]] 대륙에서 세 번째로 긴 강[* 첫번째는 [[나일강]], 두번째는 [[콩고 강]]이다.]으로 총 길이는 4,180Km이다. [[기니]] 남부 고원 지대에서 발원하여 [[말리]]와 [[니제르]]를 거쳐 [[나이지리아]]를 통해 기니 만으로 흐른다. [[말리]]와 [[니제르]] 같은 건조기후 국가들에게는 생명의 젖줄이나 다름없는 강이다. 주요 지류로는 [[베누에강]]이 있다. == 언어별 명칭 == 서아프리카 여러 민족들에게 중요한 생활 터전이다 보니 다양하고 특별한 이름으로 많이 불린다. [[밤바라어]]로는 위대한 강이라는 뜻의 젤리바라고 불리며, [[이보어]]는 위대한 물이라는 뜻의 오리미리라고 불린다. [[송가이어]]로는 강의 대명사에 해당하는 이사(Isa)로 불린다. 이들에게 있어서 나이저 강은 이집트의 [[나일강]], 중국의 [[황하]]나 [[장강]]에 해당하는 위상을 지녔다고 볼 수 있다. [[투아레그족]]은 나이저 강을 강 중의 강이라는 뜻의 Egerew n-Igerewen라고 부른다. 나이저 강이라는 이름은 무슬림 출신 기독교도 지리학자 [[레오 아프리카누스]]가 1550년대 이탈리아에서 저술한 지리서 <아프리카의 보고>에 처음 등장한다. 강 이름은 검다는 뜻의 Negro가 아닌 [[베르베르어]]로 나이저 강을 의미하는 ger-n-ger에서 따왔다. 당시 나이저 강을 끼고 있던 [[말리 제국]]이 이슬람권 외에도 유럽에도 유명했기 때문에 레오 아프리카누스 이후의 유럽 지리학자들도 이 강을 세계 지도에 자주 표시하기 시작했다. [[영어]]하고 [[프랑스어]]의 발음 차이가 있는데 영어는 나이저라고 하지만 프랑스어는 니제르라고 한다. == 여담 == 나이저 강 유역은 농업 생산성이 높았고 [[말리 제국]], [[송가이 제국]], [[바마나 제국]] 등이 나이저 강 상류 일대에서 번성하였다. 특히 아프리카 야생 벼 품종을 재배하는 벼농사가 발달했다. 나이저 강 하류 유역도 어업 및 벼농사가 번성했으나, 오늘날에는 원유 채굴에 의한 환경오염으로 자연 환경이 심각하게 파손되면서 농경과 어업 기반이 점차 파괴되고 있다. 오늘날 [[나이지리아]]와 [[니제르]]의 국명은 모두 이 강에서 비롯되었다. 영국령 식민지인 나이저 강 하류 델타 지대는 나이지리아, 프랑스령 식민지인 나이저강 중류는 니제르가 되었다 생각하면 된다. [[분류:아프리카의 강]][[분류:국경하천]][[분류:국제하천]][[분류:기니]][[분류:말리의 지리]][[분류:니제르의 지리]][[분류:베냉]][[분류:나이지리아의 지리]][[분류:나무위키 아프리카 프로젝트]][[분류:니제르-나이지리아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