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 [[파일:1160_NSAC.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나주시 CI_White.svg|width=30]] {{{#ffffff 나주시 간선버스 1160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나주 1160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전라남도 나주시 이창동(영산포터미널) ||<-2> 종점 ||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촌동(광주공항) || ||<|2> 종점[br]행 || 첫차 || 06:20 ||<|2> 기점[br]행 || 첫차 || 06:20 || || 막차 || 22:00 || 막차 || 22:00 || ||<-2> 배차간격 ||<-4> 출근 15~28분 / 평시 35~38분 (1일 26회) || ||<-2> 운수사명 || [[나주교통]] ||<-2> 인가대수 || 5대(예비 1대) || ||<-2> 노선 ||<-4> [[영산포공용터미널|영산포터미널]] - [[나주역]] - 실내수영장 - 혁신클러스터단지 - LH4단지 - 우정사업정보센터 - [[한국전력공사]] - [[한전KDN]] - [[광주송정역]] - [[광주공항]] || == 개요 == [[나주교통]]에서 운행했던 나주시의 간선버스. [[http://map.naver.com/?busId=1760103&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2014년 5월 12일에 [[나주 버스 160|160번]]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9451|관련 기사]] * 2019년 1월 1일부터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혁신도시]] 서남쪽의 에너지 클러스터 단지를 경유하고, 폐지된 703번을 대신하여 나주국민체육센터 내 실내수영장을 경유한다. 이 때문에 [[나주역]]에선 승차 위치가 바뀌어서 주의가 필요하며[* [[2018년]]까지는 [[나주역]] 앞 버스 승차장에서 승차하면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혁신도시]]로 갔지만, 개편 이후로는 [[영산포공용터미널|영산포]] 방향으로 바뀌었었다. 혁신도시로 가려면 [[나주역]] 건물 건너편에서 승차해야 했다.] 고동교차로는 더 이상 정차하지 않는다. 동시에 [[나주 버스 160|160번]] 출신 [[뉴 슈퍼 에어로시티]] 한 대가 들어와 1대 증차되었고, 운행 횟수가 26회로 2회 증가했다. * 2019년 6월 1일에 [[광신고속]] 시내부가 [[나주교통]]으로 편입됨에 따라 [[나주 버스 160|160번]]과 함께 [[광신고속]]에서 [[나주교통]]으로 이관되었다. * 2023년 2월 1일부로 [[나주시 시내버스]]의 기본요금 및 시계외요금이 인상되면서 이 노선의 시계외요금도 [[광주광역시|광주]] ~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빛가람]] 2,050원, [[광주광역시|광주]] ~ [[나주역]]/[[영산포공용터미널|영산포]] 2,150원으로 인상되었다. * [[2023년 나주 시내버스 개편]]으로 인해 2023년 10월 2일에 폐선되었다. 대체 노선은 160번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나주 버스 161|161번]]이다. == 특징 == * 노선 선형이 평범하진 않았는데 [[나주역]]에서 에너지 클러스터 단지를 경유한 후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혁신도시]]를 한 바퀴 돌고서 다시 나와서 [[49번 지방도]]를 타고 나갔다. 애초에 이 노선이 빛가람동에서 [[광주광역시|광주]]와 [[나주시|나주]]를 연계하는 노선으로 신설되었기 때문이다. * '''1일 26회 운행'''이라는 [[시내버스]]로서는 극악의 배차간격이었지만,[* 원래 배차간격이 [[나주 버스 701|701번]]과 함께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혁신도시]] 경유 노선 중 가장 좋지 않았으나, [[2020년]] 12월 [[나주 버스 7003, 7004|7003번과 7004번]](일 '''13회''')이 개통되면서 혁신도시를 경유하는 노선 중 가장 배차간격이 좋지 않은 노선이라는 오명은 벗었다.] [[광주광역시|광주]] 경계 안에서 [[광주공항]]과 [[광주송정역]] 딱 두 정류장만 정차하는 급행 노선의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 시간만 맞춘다면 빠르게 혁신도시에 접근할 수 있는 노선이기도 했다.[* [[2023년]] [[2월 1일]] 이전에는 [[광주 버스 좌석02|좌석02번]]보다 요금이 저렴해서 일부러 싼 요금을 노리고 이 노선만 타는 수요가 있었다. 그러나 해당 날짜부터 요금이 인상되어 [[광주 버스 좌석02|좌석02번]]과 비슷한 수준이 되면서 이러한 수요마저 빠져 버렸다.] * [[광주광역시 시내버스]]인 [[광주 버스 좌석02|좌석02번]]의 나주 연장 때 [[광신고속]]과 [[나주시]]에서 등가교환으로 이 노선을 [[문흥동]]까지 연장시키려고 하면서 [[광주 버스 좌석02|좌석02번]]의 연장이 [[국토교통부]] 조정까지 올라가게 되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당시 기준으로 [[광주 버스 좌석02|좌석02번]]보다 저렴했던 기본요금 문제로 인해서 1160번의 광주 시내 연장이 반려되고 좌석02번의 나주 입성은 어렵사리 성공하게 되었다.[* 그러나 1160번의 주 수요처는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혁신도시]]이지 갈등의 원인이 된 나주 구시가지가 아니기에 160번을 두고 일어난 갈등에 정작 애꿎은 혁신도시 주민들만 피해를 봤다. 더구나 [[2023년]] [[2월 1일]]부로 요금까지 올라서 [[광주광역시]] 내부 수요라면 몰라도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혁신도시]] ~ 광주간 수요에 한해서는 해당 논리가 힘을 잃게 되었다.] 1160번의 광주 입성이 실패하고, 이후 [[광신고속]]은 자회사 [[나주교통]]의 123번 노선을 변형시켜 [[조선대학교]], [[전남대학교]]를 거치는 [[나주 버스 997, 998, 999|999번]]을 대신 입성시키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코로나19]] 유행 때에 극심한 적자를 겪은 [[나주교통]]이 2023년 [[나주 버스 997, 998, 999|999번]] 노선을 [[백운광장]]까지 단축하는 방안을 [[광주광역시]] 측에 요청했는데, 광주광역시는 일단 거부했으나 이후 상황이 어떻게 흘러갈 지 미지수가 되었다.] 이후 1160번의 연장은 [[2023년 나주 시내버스 개편|2023년 개편]] 때 1160번의 폐지와 [[나주 버스 161|161번]]의 신설이라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 [[광주광역시]] 내에서는 [[광주공항]]과 [[광주송정역]]에만 정차했다. 이 때문에 [[광주광역시|광주]] 시내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광주송정역]]에서 [[나주 버스 160|160번]]이나 [[광주 도시철도 1호선]][* 게다가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은 [[유스퀘어]]나 [[광주역]] 등은 비껴가서 편의성이 다소 떨어진다. 물론 애초에 [[광주역]] 주변은 [[호남고속선]] 개통 이후 빠르게 쇠퇴해가는 지역이거니와 기차 이용 목적으로라도 [[광주송정역]], 하다못해 [[나주역]]을 두고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혁신도시]] 주민들이 갈 일이 별로 없으며, [[충장로(광주)|충장로]]나 [[금남로]] 일대의 번화가 및 [[상무지구]] 남부([[상무역]] 주변)는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을 이용하면 편리하게 진입할 수 있다. 즉 실제로 불편하다고 할 만한 곳은 [[광주 버스 좌석02]]로의 환승이 필요한 [[유스퀘어]]와 [[상무지구]] 북부 정도이다. 첨단, 수완, 일곡 등의 외곽 택지지구는 애초에 이 노선이나 지하철을 타고 가기에 적절한 곳이 아니므로 논외.]으로의 [[환승저항|환승이 필요했기 때문에]] 그냥 택시를 타거나 [[광주 버스 좌석02|좌석02번]]을 타는 경우가 많았다.[* 이마저도 [[광주 버스 좌석02|좌석02번]]도 거의 빛가람로만 지나가는 탓에 대부분의 아파트 단지로 가려면 환승을 해야 하거니와 광주시내 도로 정체 시에는 느릿느릿 가는 일이 많아 [[유스퀘어]] 및 [[상무지구]]가 아닌 [[충장로(광주)|충장로]]나 [[금남로]] 방면은 지금도 지하철이 더 빠르다.] * 과거에는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혁신도시]]를 한 바퀴 돌다 나오는 노선 선형 때문에 혁신도시에서 나가는 쪽 정류장인 '''전력거래소입구'''[* 현재의 한국농촌경제연구원(2915) 정류장이다.] 정류장엔 양 방향 버스가 모두 정차해서 기사에게 방향을 물어보고 승차해야 했다. 이후에는 에너지 클러스터 단지에서 혁신도시로 진입해 한 바퀴를 돌고 전력거래소 방면으로 나가니 그럴 일은 없어졌었다. * 배차간격도 길고, [[49번 지방도]] 중에서도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의 일부로 계획된 고속화도로 구간을 지나다 보니 다른 버스들에 비해 속도가 상당히 빨랐다. [[나주역]] - 혁신도시 구간이나 [[49번 지방도]]를 타는 구간에선 특히나 더했다. 가끔 [[광주 버스 좌석02|좌석02번]]을 추월하기도 했다. * [[나주 버스 999|999번]]의 그린로 경유가 사라지면서, 혁신도시 남부 주거지구에서 광주로 가는 유일한 버스가 돼 버렸다.[* 그나마 [[광주광역시|광주]]로 가는 버스가 아예 없어진 북쪽 한빛로보다는 사정이 나았다.] 버스 자체는 그나마 배차간격이 좀 더 짧은 [[나주 버스 7000, 7001, 7002|7001번]][* 이것도 [[나주 버스 999|999번]]이 그린로 미경유로 바뀌었을 때 같이 빛가람로로 직선화 되었지만 민원이 폭발해서 한 달도 안 돼서 다시 그린로로 돌아온 노선이다.]이나 혁신도시 내에서 다니는 [[나주 버스 셔틀1, 셔틀2|혁신도시 셔틀버스]]도 있지만 7001번은 나주를 거쳐 동신대에서 끝나므로 역방향이 돼 버리고, 혁신도시 셔틀버스와 공공형 버스 노선 역시 [[빗자루질(교통)|빗자루질]] 수준은 아닌지라 이 노선들을 이용해 [[광주 버스 좌석02|좌석02번]]로 환승하려고 해도 [[환승저항]]이 컸다. 이후 [[2023년 나주 시내버스 개편]] 때 이 노선이 폐지되고는 [[나주 버스 997, 998, 999|997번과 998번]]이 신설되어 그린로, 우정로 분기가 다시 시행되었고, 한빛로에는 이 노선의 후신인 [[나주 버스 161|161번]]이 들어가게 되었으나, 반대로 [[나주 버스 161|161번]]이 그린로를 경유하지 않고 연선 인구도 적은 호수로를 경유하는 것으로 바뀌어 그린로에서 불만이 많아졌다. * [[영산포공용터미널|영산포]], 혁신도시나 [[광주송정역]] 근방에서 [[광주공항]]으로 들어가거나 [[광주공항]]에 내린 승객이 [[광주송정역]] 주변이나 혁신도시, 영산포 쪽으로 들어갈 때 이용하는 공항버스 역할은 상대적으로 충실히 행했는데, 영산포나 혁신도시는 물론이고 송정리에서도 공항 내부로 들어가는 버스는 많지 않으며 일 26회인 이 노선이 가장 자주 다니는 노선이었기 때문이다.[* 이외에 광주 버스로 [[광주 버스 송정97|송정97번]]이나 [[광주 버스 송정100|송정100번]]이 있으나 둘을 합쳐도 이 노선 배차보다 적을 정도로 배차간격이 넓었다.] 그런데 승객들이 보통 [[광주송정역]]에서 내리기 때문에 [[광주공항]]까지 가는 경우 버스 기사가 안 내리냐고 물어보는 경우가 많았는데, "공항 가요" 라고 말하면 아무 말 없이 공항으로 갔다. 이후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태 이후 국내선 항공편 값이 떨어지면서 [[광주공항]] 이용자가 많아졌고, [[2022년]]부터 저가 항공사의 김포 노선 단항 및 가격 상승 이후에도 [[아시아나항공]] 광주-김포 노선의 가격이 [[KTX]]나 [[SRT]]와 비슷하거나 조금 더 높은 수준이라 항공편 수요가 이전보다는 늘어나면서 2021년 이후로는 [[광주송정역]]에서 내리지 않고 가만히 있으면 공항으로 데려다 주었다. * 비행기로 [[광주공항]]에 내린 뒤 [[광주송정역]] 방면으로 가기 위해 이 노선을 이용할 경우 타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노선과 환승(광역환승 포함)이 되지 않았으며, 요금을 다시 지불해야 했다. * 종종 [[나주 버스 160|160번]] 차량, 혹은 [[나주 버스 160|160번]] 출신 차량 중 [[나주 버스 160|160번]] 표시가 그대로 남아 있는 차량으로 운행했는데, [[광주송정역]]이나 [[영산포터미널]]과 같이 1160번과 [[나주 버스 160|160번]]이 모두 운행하는 곳에서는 이런 경우 기사가 탑승하는 승객들에게 목적지를 물어보고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혁신도시]]가 목적지가 아니라면 [[나주 버스 160|160번]]으로 유도하기도 했다. * 2023년 2월 1일 [[나주시 시내버스]] 요금 인상 이후로 대부분 구간에서 [[광주광역시|광주]] ~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혁신도시]]간 요금이 [[광주 버스 좌석02|좌석02]]와 같거나 더 비싸졌는데, 이 노선은 '''배차간격 38분'''에 '''일반 시내버스''' 차량이고 '''[[광주공항]]'''까지밖에 안 가지만, [[광주 버스 좌석02|좌석02번]]은 '''배차간격 15분'''에 '''좌석버스''' 차량이고 '''[[광주광역시]] 시내의 주요 지점'''([[광주송정역]], [[상무지구]], [[유스퀘어]], [[금남로]] 등)을 다 훑어주기 때문에 자신의 출발지나 목적지가 LH 1~6단지, 부영 2차, 대광로제비앙, 빛가람초등학교/[[빛가람중학교]] 등 빛가람로에서 너무 먼 아파트 단지나 그 주변 지역이 아니라면 [[광주 버스 좌석02|좌석02번]]을 타는 것이 훨씬 나았다. === 요금 === 폐선 당시를 기준으로 한다. ==== 시내요금(나주/광주) ==== [[나주시]] 관내만 이용 시 나주시 시내버스 기본요금으로 탑승 가능했으며 타 [[나주시 시내버스]] 노선과 무료 환승이 가능했다. [[광주광역시]] 관내만 이용시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요금이 적용되었으나,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및 [[광주 도시철도]]와 무료 환승은 불가능했다. ==== 시계외요금 ==== 광주 ~ 나주 이동 시에는 구간에 따라 차등요금이 적용되었고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광주 도시철도]]와 광역환승할인이 적용됐다. [[나주 버스 160|160번]]과 다르게 양방향 시계외요금이 동일했다. [[2023년]] [[2월 1일]] 요금 인상으로 인해 대체로 [[광주 버스 좌석02]]보다 요금이 비싸졌다. 안 그래도 38분이라는 배차간격, [[광주공항]]에서 끊기는 반쪽짜리 노선과 일반형 시내버스의 떨어지는 승차감 때문에 [[광주 버스 좌석02|좌석02번]]에 승객을 빼앗기고 있었는데 요금 인상으로 인해 1160번의 경쟁력은 더욱 나락으로 떨어지게 되었다. || ||<-3> '''현금''' ||<-3> '''교통카드''' || || '''구간''' || 일반 || 청소년 || 어린이 || 일반 || 청소년 || 어린이 || || 광주 - 빛가람 || 2,050 || 1,400 || 550 || 2,000 || 1,350 || 500 || || 광주 - 나주/영산포 || 2,150 || 1,500 || 700 || 2,100 || 1,450 || 650 || == 연계 철도역 == * [[파일:광주 1호선 아이콘.svg|width=17]] [[광주 도시철도 1호선]]: [[광주송정역(도시철도)|광주송정역]], [[공항역(광주)|공항역]] * 일반 철도역: [[광주송정역]](KTX, SRT,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나주역]](KTX, SRT,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 둘러보기 == [include(틀:광주광역시-근교 지역간 버스)] [include(틀:나주-타 시·군 간 버스)] [include(틀:광주공항 경유 버스)] [[분류:나주시의 시내버스/폐선]][[분류:2014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2023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