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나카노히토 게놈 [실황중])] ||<-2>
{{{#373a3c,#373a3c '''{{{+1 나카노히토 게놈[실황중]}}}''' (2019)[br]ナカノヒトゲノム【実況中】}}}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나카노히토게놈_애니키비주얼.jpg|width=100%]]}}} || ||<-2> {{{#373a3c,#373a3c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373a3c,#373a3c 장르}}}''' ||[[현대물|현대 판타지]] || || '''{{{#373a3c,#373a3c 원작}}}''' ||오소라(おそら) || || '''{{{#373a3c,#373a3c 감독}}}''' ||[[오오누마 신]] || || '''{{{#373a3c,#373a3c 시리즈 구성}}}''' ||[[시모야마 켄토]] || || '''{{{#373a3c,#373a3c 캐릭터 디자인}}}''' ||<|2>타카하시 미즈키(髙橋瑞紀) || || '''{{{#373a3c,#373a3c 총 작화감독}}}''' || || '''{{{#373a3c,#373a3c 프롭 디자인}}}''' ||사토 아키코(佐藤秋子) || || '''{{{#373a3c,#373a3c 메인 애니메이터}}}''' ||후지타 아야노(藤田亜耶乃) || || '''{{{#373a3c,#373a3c 미술 감독}}}''' ||카타히라 신지(片平真司) || || '''{{{#373a3c,#373a3c 색채 설계}}}''' ||츠키노 에리카(月野えりか) || || '''{{{#373a3c,#373a3c 촬영 감독}}}''' ||아라야 유코(新谷優子)[br]키쿠치 유타로(菊池優太郎) || || '''{{{#373a3c,#373a3c 편집}}}''' ||콘도 유지(近藤勇二) || || '''{{{#373a3c,#373a3c 음향 감독}}}''' ||츠치야 마사노리(土屋雅紀) || || '''{{{#373a3c,#373a3c 음향 효과}}}''' ||쿠라하시 히로무네(倉橋裕宗) || || '''{{{#373a3c,#373a3c 음향 제작}}}''' ||비트 프로모션(ビットプロモーション) || || '''{{{#373a3c,#373a3c 음악}}}''' ||사토 준이치(佐藤純一) ,,([[fhána]]),,[br]TEAM WHIM || || '''{{{#373a3c,#373a3c 음악 제작}}}''' ||[[란티스]] || || '''{{{#373a3c,#373a3c 프로듀서}}}''' ||타무라 준이치로(田村淳一郎)[br]카토 유키코(加藤友季子)[br]陳依依[br]카사하라 슈조(笠原周造)[br]카토 타케시(加藤 剛)[br]楊國祥[br]이와사키 다이스케(岩崎大介)[br]요시에 테루시게(吉江輝成)[br]카시와기 유타카(柏木 豊)[br]후쿠이 노리오(福井詔雄)[br]오가타 미츠히로(尾形光広) || || '''{{{#373a3c,#373a3c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카네코 하야토(金子逸人) || || '''{{{#373a3c,#373a3c 애니메이션 제작}}}''' ||[[SILVER LINK.]] || || '''{{{#373a3c,#373a3c 제작}}}''' ||나카노히토 게놈[실황중] [[제작위원회]] || || '''{{{#373a3c,#373a3c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19년 7월|2019. 07. 07.]] ~ 2019. 09. 22. || || '''{{{#373a3c,#373a3c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AT-X]] / (일) 22:0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플러스]] / (화) 23:00 || || '''{{{#373a3c,#373a3c 편당 러닝타임}}}''' ||24분 || || '''{{{#373a3c,#373a3c 화수}}}''' ||전12화 + OVA 1화 || || '''{{{#373a3c,#373a3c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2 {{{#373a3c (주제, 모방위험)}}}}}} || || '''{{{#373a3c,#373a3c 관련 사이트}}}''' ||[[http://www.nhg-anime.com/s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nhg_anime)]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만화 [[나카노히토 게놈 [실황중]#]]을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SILVER LINK.]] 제작, [[오오누마 신]] 감독. 방영 시기는 [[애니메이션/2019년 7월|2019년 7월]]. == 공개 정보 == 2018년 5월 24일, 애니메이션화 기획이 확정되었다. [[https://twitter.com/nakano_genome/status/999304067498237953|#]] 실종자 추적 관련 내용을 제외하고[* 이리데의 과거는 간접적으로만 언급되고 마지막 에필로그 부분에 게임 실종자 추적 관련 인물이 등장한다.] 원작 6권(28화)까지 애니화되었다. 마지막화인 12화는 애니 오리지널 에피소드. 8화는 원작 번외편인 8.5화를 일부 전개를 추가한 형태이다. [[Laftel|라프텔]]에는 분류 장르가 추리, 미스테리, 코미디가 아닌 일상으로 잘못 분류되어있다. 2020년 2월 27일에 발매될 원작 10권에 TV 미방영 에피소드인 13화가 DVD 형태로 동봉되어서 나올 예정이다. 북미에서는 [[퍼니메이션]]에서 더빙되어 방영되었으며 [[저스틴 브리너]], [[마리사 렌티]], [[크리스티 로스록]]등이 캐스팅 되었다. ===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9oT0rc9kJLk, width=100%)]}}} || || '''PV 제1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zBKpehsnQBo, width=100%)]}}} || || '''PV 제2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inuhrp9tBYM, width=100%)]}}} || || '''PV 제3탄''' || == [[나카노히토 게놈 [실황중]#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카노히토 게놈 [실황중], 앵커=등장인물)] == [[나카노히토 게놈 [실황중]#설정|설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카노히토 게놈 [실황중], 앵커=설정)] == 음악 == === 주제가 === ==== OP ==== ||<-2>
'''{{{#373a3c,#373a3c OP[br]not GAM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Pd4RT6Pc1Q8, width=100%)]}}} || ||<-2> '''{{{#373a3c,#373a3c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373a3c Full ver.}}}''' || || '''노래''' || [[하타나카 타스쿠]] || || '''작사''' || 마츠후지 료헤이(松藤量平) || || '''작곡''' || 사토 준이치(佐藤純一) ,,([[fhána]]),, || || '''편곡''' || 사토 준이치(佐藤純一) ,,([[fhána]]),,[br]모리오 타카시(守尾 崇)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디렉션''' || [[야마시타 토시유키]][br]미츠즈미 리나(三鼓梨菜) || || '''연출''' || [[오오누마 신]]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9화 이후 지하의 멤버가 등장한 뒤부터는 검게 칠해진 사람 3명의 모습이 공개된다. ==== ED ==== ||<-2>
'''{{{#373a3c,#373a3c ED[br]僕を見つけて[br]날 찾아줘}}}'''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7eVjCjFJ93s, width=100%)]}}} || ||<-2> '''{{{#373a3c,#373a3c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373a3c Full ver.}}}''' || || '''노래''' || [[fhána]] || || '''작사''' || 하야시 히데키(林 英樹) || || '''작곡''' ||<|2> 사토 준이치(佐藤純一) ,,([[fhána]]),,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오오누마 신]] || || '''연출''' || || '''원화''' || 타카하시 미즈키(髙橋瑞紀)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삽입곡 === '''「願い事」'''(제 1화) * 작사: towana ([[fhána]]) * 작곡: 사토 준이치([[fhána]]) * 현악기 편곡: 마나베 유타카 (真部裕) * 노래: [[fhána]] '''「24hours precious」'''(제 2화) * 작사: RIRIKO * 작곡: 사토 준이치([[fhána]]) * 편곡: 사토 준이치([[fhána]]) * 노래: RIRIKO '''「アルゴリズム」'''(제 3화) * 작사: em:óu * 작곡: 사토 준이치([[fhána]]) * 편곡: 사토 준이치([[fhána]]) * 노래: [[오가타 메구미]] '''「ただの雨音になるまで」'''(제 4화) * 작사: 미야카와 단 (宮川弾) * 작곡: 사토 준이치([[fhána]]) * 편곡: 사토 준이치([[fhána]]) * 노래: [[유키 아이라]] '''「鬼ノ木偶刀、かく語りき」'''(제 5화) * 작사: [[카타키리 렛카]] * 작곡: 사토 준이치([[fhána]]) * 편곡: ANCHOR、사토 준이치([[fhána]]) * 노래: [[카타키리 렛카]] '''「アンブレラ」'''(제 6화) * 작사: 마츠후지 료헤이 (松藤量平) * 작곡: 사토 준이치([[fhána]]) * 편곡: eba、사토 준이치([[fhána]]) * 노래: [[하타나카 타스쿠]] '''「不条理はリピート」'''(제 7화) * 작사: hotaru * 작곡: 사토 준이치([[fhána]]) * 편곡: 사토 준이치([[fhána]]) * 노래: 유게 (湯毛) '''「カラフルスクランブル」'''(제 8화) * 작사: [[유키 아이라]] * 작곡: 사토 준이치([[fhána]]) * 편곡: 사토 준이치([[fhána]]), yuichi NAGAO * 노래: NOW ON AIR '''「Code "Genius"?」'''(제 9화) * 작사: 타부치 토모야 (田淵智也) * 작곡: 사토 준이치([[fhána]]) * 편곡: 사토 준이치([[fhána]]) * 노래: [[아사카(가수)|아사카]] '''「Where you are」'''(제 10화) * 작사: towana ([[fhána]]) * 작곡: 사토 준이치([[fhána]]) * 편곡: 사토 준이치([[fhána]]) * 노래: [[fhána]] '''「そよ風のパレット」'''(제 11화) * 작사: towana ([[fhána]]) * 작곡: 사토 준이치([[fhána]]) * 편곡: 사토 준이치([[fhána]]) * 노래: 난바 시호 (南波志帆) == 회차 목록 == * 전화 총 작화감독: 타카하시 미즈키(髙橋瑞紀) ||
'''회차''' || '''제목'''[*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7> '''TVA''' || || {{{-2 제1화}}} || {{{-2 ARE WE FRIENDS}}} ||<|3> {{{-2 [[시모야마 켄토]]}}} ||<-2> {{{-2 [[오오누마 신]]}}} || {{{-2 타카하시 미즈키[br](髙橋瑞紀)}}} || {{{-2 日: 2019.07.07.[br]韓: 2019.07.09.}}} || || {{{-2 제2화}}} || {{{-2 BORN THIS WAY}}} || {{{-2 [[사와이 코지]]}}} || {{{-2 오카모토 에리카[br](岡本恵里香)}}} || {{{-2 후지타 아야노[br](藤田亜耶乃)[br]우지이에 리에[br](氏家里恵)[br]야부타 유키[br](薮田裕希)[br]이케즈 히사에[br](池津寿恵)[br]오카다 마사토[br](岡田雅人)[br]사토 코노미[br](佐藤このみ)}}} || {{{-2 日: 2019.07.14.[br]韓: 2019.07.16.}}} || || {{{-2 제3화}}} || {{{-2 CLUMSY PRETENDER}}} || {{{-2 니헤이 유이치[br](二瓶勇一)}}} || {{{-2 椿喬祇[br]오오누마 신}}} || {{{-2 타카하시 미즈키[br]후지타 아야노[br]하라구치 와타루[br](原口 渉)[br]사토 코노미[br]카와구치 히로아키[br](川口弘明)[br][[핫토리 켄지]][br]요시다 하지메[br](吉田 肇)}}} || {{{-2 日: 2019.07.21.[br]韓: 2019.07.23.}}} || || {{{-2 제4화}}} || {{{-2 DAYDREAM AND NIGHTMARE}}} ||<|2> {{{-2 이노우에 아키코[br](井上亜樹子)}}} || {{{-2 사와이 코지}}} || {{{-2 오카모토 에리카}}} || {{{-2 후지타 아야노[br]오오츠키 미나오[br](大槻南雄)[br]오가와 미즈에[br](小川みずえ)[br]안도 카와라[br](安藤香春)[br]코토상[br](ことさん)}}} || {{{-2 日: 2019.07.28.[br]韓: 2019.07.30.}}} || || {{{-2 제5화}}} || {{{-2 DUSK AND DAWN}}} ||<-2> {{{-2 [[호소다 마사히로]]}}} || {{{-2 타카하시 미즈키[br]하라구치 와타루[br]후지타 아야노[br]마사키 유타[br](正木優太)[br]와카야마 마사시[br](若山政志)[br]요시다 하지메[br]와다 켄토[br](和田賢人)}}} || {{{-2 日: 2019.08.04.[br]韓: 2019.08.06.}}} || || {{{-2 제6화}}} || {{{-2 ERASE MY REALITY}}} || {{{-2 시모야마 켄토}}} ||<-2> {{{-2 오오우치 야마토[br](大内大和)}}} || {{{-2 [[미나미 신이치로]][br]야마자키 코헤이[br](山崎浩平)[br]오오츠키 미나오[br]김성일}}} || {{{-2 日: 2019.08.11.[br]韓: 2019.08.13.}}} || || {{{-2 제7화}}} || {{{-2 FOOTSTEPS OUTSIDE}}} ||<|2> {{{-2 [[요코테 미치코]]}}} || {{{-2 코데라 카츠유키[br](こでらかつゆき)}}} || {{{-2 세키네 유스케[br](関根侑佑)[br]오오우치 야마토}}} || {{{-2 [[사와이리 유키]][br]오오츠키 미나오[br]요시다 하지메[br]카타야마 케이스케[br](片山敬介)[br]아키타 히데토[br](秋田英人)[br]핫토리 켄지}}} || {{{-2 日: 2019.08.18.[br]韓: 2019.08.20.}}} || || {{{-2 제8화}}} || {{{-2 GLIMPSE OF ADULTHOOD}}} || {{{-2 [[이와하타 고이치]]}}} || {{{-2 후쿠다 준[br](福多 潤)}}} || {{{-2 혼다 타츠오[br]타카이 타카이[br](高居孝伊)[br]타케모리 유카[br](竹森由加)[br]오오츠키 미나오}}} || {{{-2 日: 2019.08.25.[br]韓: 2019.08.27.}}} || || {{{-2 제9화}}} || {{{-2 HEAVEN WHITE[br]AND HELL BLACK}}} ||<|2> {{{-2 이노우에 아키코}}} || {{{-2 사와이 코지}}} || {{{-2 오오우치 야마토}}} || {{{-2 사와이리 유키[br]사토 카오리[br]하라구치 와타루[br]미즈사키 켄타[br](水崎健太)[br]이마다 아카네[br](今田 茜)[br]야부타 유키[br]이케즈 히사에}}} || {{{-2 日: 2019.09.01.[br]韓: 2019.09.03.}}} || || {{{-2 제10화}}} || {{{-2 HOLD ON AND LET GO}}} || {{{-2 [[와타나베 타카시]]}}} || {{{-2 야마구치 요리후사[br](山口頼房)}}} || {{{-2 타카하시 미즈키[br]오오츠키 미나오[br]후지타 아야노[br]나카츠가와 타카히로[br](中津川孝広)[br]와카야마 마사시[br]카타야마 케이스케[br]요시다 하지메}}} || {{{-2 日: 2019.09.08.[br]韓: 2019.09.10.}}} || || {{{-2 제11화}}} || {{{-2 ISOLATED SOUL}}} ||<|2> {{{-2 시모야마 켄토}}} || {{{-2 [[미나토 미라이]]}}} || {{{-2 카토 단조[br](加藤段像)}}} || {{{-2 하라구치 와타루[br]야마구치 나나[br](山口 菜)[br]미즈사키 켄타[br]안도 카와라[br]오카다 마사토}}} || {{{-2 日: 2019.09.15.[br]韓: 2019.09.17.}}} || || {{{-2 제12화}}} || {{{-2 JOURNEY GOES ON}}} || {{{-2 사와이 코지}}} || {{{-2 후쿠다 준}}} || {{{-2 오오츠키 미나오[br]하라구치 와타루[br]타케모리 유카[br]김성일[br]후지타 아야노}}} || {{{-2 日: 2019.09.22.[br]韓: 2019.09.24.}}} || ||<-7> '''OVA''' || || {{{-2 OVA}}} || {{{-2 FISH OR MUSHROOM}}} || {{{-2 시모야마 켄토}}} || {{{-2 [[와타나베 신이치]]}}} || {{{-2 세키네 유스케}}} || {{{-2 오오츠키 미나오[br]하라구치 와타루[br]타케모리 유카[br]요시다 하지메[br]후지타 아야노[br]타카하시 미즈키}}} || - || 제목의 첫 글자 알파벳 순서가 ABC 순인 것이 특징. == 엔드 카드 == * 제1화 - 타카하시 미즈키 [[파일:Naka no Hito Genome [Jikkyouchuu]01.jpg]] * 제2화 - 하루조노 죠 [[파일:Naka no Hito Genome [Jikkyouchuu]02.jpg]] * 제3화 - Fe [[파일:Naka no Hito Genome [Jikkyouchuu]03.jpg]] * 제4화 - 이바라키 바이토 [[파일:Naka no Hito Genome [Jikkyouchuu]04.jpg]] * 제5화 - 모리나가 미쿠 [[파일:Naka no Hito Genome [Jikkyouchuu]05.jpg]] * 제6화 - 가무 [[파일:Naka no Hito Genome [Jikkyouchuu]06.jpg]] * 제7화 - 오노 아키토 [[파일:Naka no Hito Genome [Jikkyouchuu]07.jpg]] * 제8화 - 시마 준타 [[파일:Naka no Hito Genome [Jikkyouchuu]08.jpg]] * 제9화 - 사토 아키코 [[파일:Naka no Hito Genome [Jikkyouchuu]09.jpg]] * 제10화 - 후지타 아야노 [[파일:Naka no Hito Genome [Jikkyouchuu]10.jpg]] * 제11화 - monaca [[파일:Naka no Hito Genome [Jikkyouchuu]11.jpg]] * 최종화 - 원작자 본인(오소라) [[파일:Naka no Hito Genome [Jikkyouchuu]12.jpg]] == 평가 == [include(틀:평가/MyAnimeList, code=37926, user=6.87)] ## 2023년 7월 16일 기준 Reviewers : 53,370 실황이라는 독특한 소재를 다룬 판타지 학원물로서 무난하다는 평을 받았다. [[단간론파 -희망의 학원과 절망의 고교생- The Animation|단간론파]]나 [[암살교실/애니메이션|암살교실]] 계열로 분류된다. 제작사 [[SILVER LINK.]]의 입장에서 본다면 [[스노하라장의 관리인씨/애니메이션|스노하라장의 관리인씨]]에 이어 실버링크가 오랜만에 내놓은 볼만한 수작이라 볼 수 있다. 유난히 3분기에 강한 전통을 이어간 것은 덤.[* 그도 그럴 것이 실버링크가 2013년부터 3분기마다 내놓은 작품이 자사 대표작인 프리즈마 이리야고, 스트위치의 저주로 인해(...) 부진을 겪기 시작한 2017년에도 해당 연도의 3분기 작품들(이세계 식당, 배틀걸 하이스쿨, 프리야 극장판, 카오스 차일드 OVA)이 상대적으로 가장 평이 좋았다. 거기에 2018년에 나온 3분기 작품은 앞서 서술한 스노하라장의 관리인씨.] * 스토리 원작팬들에게는 호평을 받았지만, 원작을 모르는 시청자에게는 혹평을 받았다. 원작을 모르는 경우, 1화에서부터 충분한 개연성 없이 전개가 진행되는 것에 황당해하며 하차하는 경우가 많았다. 작품의 소재 자체가 독특하고 참신했다보니 새로운 장르를 원하는 이들의 눈길을 끌기에는 충분했으나, 특정 분야 전문가 + 탈출을 위한 미션 클리어 조합으로 인한 식상함을 그대로 답습하는 모습을 보였다. * 캐릭터 주연 8명 전원 개성적이면서 설정이 굉장히 뚜렷하고, 애니메이션 역시 원작에서 보여준 이들의 캐릭터성에 충실하면서도 비중 역시 골고루 분배하여 어느 캐릭터 하나 묻히는 일 없이 시청자들에게 크게 어필할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시청자들에게 가장 많은 인기를 얻은, 이 애니메이션의 MVP는 단연 이나바 히미코. 이들을 연기한 성우들의 연기력도 빼놓고 말하면 입 아픈 플러스 요소. * 작화 및 연출 작화 퀄리티도 준수하며, 무엇보다 '''연출 효과'''가 이 작화와 절묘하게 어울리면서 분위기를 잘 이끌어내었다. 이 연출 효과를 잘 보면 '''[[오오누마 신]] 감독이 초심으로 돌아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오오누마의 대표작인 [[바보와 시험과 소환수/애니메이션|바보와 시험과 소환수 시리즈]], [[시큐브/애니메이션|시큐브]] 같은 작품들을 보면 [[샤프트(기업)|샤프트]]를 연상시키는 독특한 연출이 돋보이는데, [[하트 커넥트/애니메이션|하트 커넥트]] 이후로 오오누마의 감독작들에서 예전같은 독특한 연출 효과는 거의 나온 적이 없다. 오오누마가 이 작품에 들어오면서 오랜만에 다시 초창기에 보여준 독특한 연출 효과를 사용한 것이며, 작화와도 절묘하게 어우러져 작품의 질을 한층 끌어올렸다. 같은 3분기 작품들 전체를 다 통틀어서도 연출 하나만큼은 압도적이다. == 흥행 == BD/DVD 1권 누계 판매량은 730장. VOD 전달도 3분기 애니중 미묘한 재생수라 아쉬운 성적을 보였다. == 기타 == * 처음에는 감독 [[오오누마 신]]이 같은 시기에 [[Fate/kaleid liner 프리즈마☆이리야: 프리즈마 판타즘]] 감독도 겸하고 있어서 다작으로 인한 퀄리티 저하에 대한 우려도 있었으나, 오히려 '''프리즈마 판타즘이 망했으며'''(...) 이 작품은 다수의 떡밥을 남긴 점을 제외하면 평가가 좋은 편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나카노히토 게놈 [실황중], version=406, paragraph=6.1)] [[분류:나카노히토 게놈 [실황중\]]][[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19년 3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일본 만화 원작 애니메이션]][[분류:SILVER LINK.]][[분류:시모야마 켄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