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본의 가부키 4대 명문가)] [목차] == 개요 == || [[파일:나카무라야 문장.png|width=300]] || || '''나카무라 가문의 [[가몬(일본)|문장]] 카도키리긴소쿠(角切銀杏)'''[* '''스미키리이쵸.'''] || '''나카무라 칸쿠로 (中村勘九郎)''' 일본 가부키 업계에서 대를 이어 내려오는 배우의 예명 중 하나. 이 이름을 가진 배우의 가문인 나카무라 종가, 나카무라야(中村屋)는 에도에서 최초로 상설극장을 세운 가문으로, ‘에도 가부키의 원조’라고 불리는 자부심을 갖고 있는, [[가부키]] 4대 명문가에 드는 가문이다. 세습 구도는 '나카무라 칸타로 → [[나카무라 칸쿠로]] → [[나카무라 칸자부로]]'이다. 본래 '나카무라 칸쿠로'라는 [[세습명]]은 [[나카무라 칸자부로]]를 지낸 인물이 은거명으로 사용하는 예명이었지만 시대가 흐르면서, 나카무라 칸자부로를 습명 받기 전에 쓰이는 예명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2023년 기준, 46년 간 5대 '나카무라 칸쿠로'로서 지냈던 18대 [[나카무라 칸자부로]]의 장남인 나미노 마사유키가 6대 [[나카무라 칸쿠로]]로서 활동중이다. 18대 나카무라 칸자부로가 2012년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나면서 나카무라야의 당주로 지내고 있기도 하다. == 역대 나카무라 칸쿠로 == * 초대 나카무라 칸쿠로 초대 나카무라 칸자부로의 장남, 생몰년 미상. * 2대 나카무라 칸쿠로 초대 나카무라 칸쿠로의 차남, 혹은 4대 나카무라 칸자부로의 동생으로 추정. 후에 5대 나카무라 칸자부로에게 입양되었다. 1688년-1758년. * 3대 나카무라 칸쿠로 11대 나카무라 칸자부로의 차남, 은거명으로 사용하였다. 1800년-1851년. * 4대 나카무라 칸쿠로 인물 내력 미상. 허나 12대 나카무라 칸자부로의 자녀지만 습명 받자마자 사망하여 애매해진 위치라는 설이 있다. 생몰년 미상. * [[나카무라 칸자부로#s-3|5대 나카무라 칸쿠로]] 17대 나카무라 칸자부로의 장남, 나카무라 칸쿠로라는 세습명으로 46년 간 지냈으며, 현재까지 최장기간 동안 이 세습명을 사용하였다. 이후 [[나카무라 칸자부로#s-3|18대 나카무라 칸자부로]]를 지낸 인물이다. 1955년-2012년. * '''6대 나카무라 칸쿠로''' ^^(당대)^^ 5대 나카무라 칸쿠로의 장남, 현 나카무라야의 [[당주]]. 1981년-. == 6대 나카무라 칸쿠로 == ||<-2>
{{{#ffffff {{{+2 '''6대 나카무라 칸쿠로''' }}} }}}[br]{{{+1 {{{#ffffff '''六代目 中村勘九郎| Nakamura Kankurō VI''' }}} }}}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카무라 칸쿠로 6대.jpg|width=100%]]}}} || ||<#568e43> {{{#white '''본명''' }}} ||{{{#568e43,#ddd '''[ruby(波野, ruby= なみの)][ruby(雅行 , ruby= まさゆき)] (나미노 마사유키, Namino Masayuki)''' }}} || ||<#568e43> {{{#white '''예명''' }}} ||2대 나카무라 칸타로[br]'''6대 나카무라 칸쿠로''' || ||<|2><#568e43> {{{#white '''출생''' }}} ||[[1981년]] [[10월 31일]] ([age(1981-10-31)]세)|| ||[[도쿄도]] || ||<#568e43> {{{#white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568e43> {{{#white '''신체''' }}} ||174cm, 65kg, [[O형]] || ||<#568e43> {{{#white '''학력''' }}} ||[[아오야마가쿠인 대학|아오야마 학원]] 유치원 {{{-2 (수료)}}}[br] 아오야마 학원 초등부 {{{-2 (졸업)}}}[br] 아오야마 학원 중등부 {{{-2 (졸업)}}}[br] 아오야마 학원 고등부 {{{-2 (전학)}}}[br] [[호리코시 고등학교]] {{{-2 (졸업)}}}[br] [[토요대학]] {{{-2 (문학부 / 중퇴)}}} || ||<|4><#568e43> {{{#white '''가족''' }}} ||친할아버지 17대 나카무라 칸자부로[br]친할머니 나미노 쿠에다[* 오토와야 6대 [[오노에 키쿠고로]]의 장녀.]|| ||아버지 [[나카무라 칸자부로#s-3|18대 나카무라 칸자부로]] ^^(1955-2012년 사망)^^[* 본명은 나미노 노리아키. 문서참조.][br]어머니 나미노 요시에[* [[인간문화재]] 보유자인 7대 나카무라 시칸의 차녀이다.][br]남동생 [[나카무라 시치노스케#s-3|2대 나카무라 시치노스케]] ^^(1983-)^^|| ||아내 [[마에다 아이(배우)|마에다 아이]] ^^(2009년 결혼)^^[br]장남 3대 나카무라 칸타로 ^^(2011-)^^[br]차남 2대 나카무라 쵸자부로 ^^(2013-)^^|| ||외숙모 [[미타 히로코]][* 외삼촌 8대 나카무라 시칸의 부인이다.][br]6촌 형 [[나카무라 시도|2대 나카무라 시도]]|| ||<#568e43> {{{#white '''직업''' }}} ||[[가부키]] [[배우]] || ||<#568e43> {{{#white '''야고'''[* 가부키 배우로서 가지는 집안 이름. 세습명 구도를 중심으로 창시되며, 가부키계에는 4대 명문가를 포함한 40개 정도의 주요 야고가 있다고 한다.]}}} ||나카무라야 {{{-2 (中村屋)}}} || ||<#568e43> {{{#white '''문장'''}}} ||[[파일:나카무라야.png|width=27]] || ||<#568e43> {{{#white '''소속''' }}} ||[[http://www.fernwood.co.jp/|펀우드]] || ||<#568e43> {{{#white '''링크''' }}} ||[[https://e-nakamuraya.jp/|나카무라야 홈페이지]] || === 개요 === 일본의 [[가부키]] [[배우]]. 6대 나카무라 칸쿠로를 지내고 있으며 나카무라 종가, 나카무라야의 현 [[당주]]이며 현대 [[가부키]]에서 빼놓을 수 없는 배우이다. === 생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카무라야 일가.jpg|width=100%]]}}} || || {{{#ffffff '''[[시치고산]]을 기념하여 부모님, [[나카무라 시치노스케#s-3|동생]]과 함께''' }}} || 1981년, 아버지 18대 [[나카무라 칸자부로]]와 어머니인 나미노 요시에 사이에서 2남 중 장남으로 [[도쿄]]에서 태어났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카무라야 삼대2.jpg|width=100%]]}}} || || {{{#ffffff '''할아버지 17대 나카무라 칸자부로, 아버지와 함께''' }}} || 할아버지인 17대 나카무라 칸자부로와는 단 한 번 함께 무대에 섰었는데, 아이임에도 또렷한 발음과 큰 목소리로 가문에서부터 '이 아이는 어마어마한 배우가 될 거야'라며, 기대를 한 몸에 받았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모모타로 나카무라야.jpg|width=100%]]}}} || || {{{#ffffff '''아버지, 동생과 함께 첫 공연 성공 기원 참배''' }}} || 1986년, 하츠오메미에로 무대에 처음 올랐고 이듬해인 1987년, 2대 나카무라 칸타로를 습명함과 동시에 [[모모타로]] 역으로 동생과 함께 첫 무대에 나섰다. 나카무라야는 자녀들의 하츠오메미에나 습명 피로연에 [[모모타로]] 역으로 연극을 올리는 특징이 있다. 동생인 타카유키도 이 때에 2대 나카무라 시치노스케를 습명받았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카무라야 후지 테레비.jpg|width=100%]]}}} || || {{{#ffffff '''배우 히노 쇼헤이, 동생 시치노스케와 함께''' }}} || 아버지의 영향으로 [[가부키]] 배우 활동도 하며, 동생인 [[나카무라 시치노스케#s-3|2대 나카무라 시치노스케]]와 함께 [[아역배우]]로도 데뷔했다. 1992년, 배우 히노 쇼헤이와 함께 주연으로 출연한 이 드라마는 당시에 반응과 시청률도 높았고 최근까지 재방영하기도 했다. 가끔 18대 [[나카무라 칸자부로]]가 [[감초 캐릭터|감초 역할]] 등, [[카메오]]로 [[특별 출연]]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대 칸타로 아이.jpg|width=100%]][[파일:칸타로 아이.jpg|width=100%]]}}} || || {{{#ffffff '''2001년, 드라마 《빛의 제국》에서 마에다 아이와 함께''' }}} || 2001년, 드라마《빛의 제국》에서 조연으로 출연하며, 주연이었던 [[마에다 아이(배우)|마에다 아이]]와 처음 만나게 된다. 칸쿠로는 아이와 여러번 얘기를 나누었고 이는 정식적인 교제로 이어졌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칸쿠로 아이.jpg|width=100%]]}}} || || {{{#ffffff '''2009년, 마에다 아이와 결혼 피로연에서''' }}} || 마침내 2009년 10월, [[결혼]] 발표와 동시에 식을 올렸다. 여담으로 나카무라야의 삼대가 같은 장소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칸쿠로 아이 2010.jpg|width=100%]]}}} || || {{{#ffffff '''2010년, 아내 마에다 아이와 함께 13대 [[이치카와 단쥬로|이치카와 단쥬로 하쿠엔]]의 결혼식에 참석한 모습'''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칸쿠로와 나오야.jpg|width=100%]]}}} || || {{{#ffffff '''장남의 탄생 기념 참배에 나선 모습''' }}} || 2011년, 장남 나미노 나오야가 태어났다. 아버지 18대 [[나카무라 칸자부로]]는 당시 요양중임에도 불구하고 아기의 얼굴을 보러 집을 나섰다고 한다. 칸자부로의 렌지시 비디오를 보고 자란 나오야는 어릴 적부터 렌지시의 춤을 따라하기도 하고 할아버지가 연기한 역할의 사진만 보고도 시그니처 포즈나 대사를 외칠 수 있을 정도로 재능이 많고 할아버지를 잘 따랐다고 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6대 칸쿠로 습명.jpg|width=100%]]}}} || || {{{#ffffff '''2012년, 6대 나카무라 칸쿠로 습명''' }}} || 2012년, 6대 나카무라 칸쿠로의 이름을 습명하였으나 동년 12월에 당주였던 아버지 18대 [[나카무라 칸자부로]]가 57세에 식도암으로 인한 급성 호흡곤란으로 사망하면서 젊은 나이에 나카무라야의 당주가 되었다. 이때 아버지의 빈자리를 급하게 메꾸느라 아버지의 대표 무대를 본인이 올랐지만 혹평만 받고, 빈 객석도 많아져가는 것을 보고 아버지의 빈자리를 실감했다고 한다. 다만 아버지의 연기가 넘사벽이었을 뿐이지, 칸쿠로의 연기 실력 자체에 흠이 있는 것은 아니었기에 이는 이윽고 완화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오야 노리유키.jpg|width=100%]]}}} || || {{{#ffffff '''차남의 탄생 기념, 가족들과 참배에 나선 모습''' }}} || 2013년, 차남 나미노 노리유키가 태어났다. 갑자기 세상을 떠난 18대 나카무라 칸자부로를 기리기 위해 칸자부로의 본명인 나미노 노리아키에서 이름을 따와 지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카무라야 모모타로.jpg|width=100%]]}}} || || {{{#ffffff '''아이들과 첫 공연 성공 기원 참배''' }}} || 아버지와 모모타로 공연 준비를 위해 방문했던 곳에 이번에는 자신의 아이들과 함께 방문하여 습명 후 첫 공연인 모모타로 극을 준비했다. 형제는 이때 각자 3대 나카무라 칸타로, 2대 나카무라 쵸자부로를 습명하고 무대에 올랐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카무라야 삼부자.jpg|width=100%]]}}} || || {{{#ffffff '''나카무라자의 연습장에서 칸타로, 쵸자부로 형제와 함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칸쿠로 올림픽.jpg|width=100%]]}}} || || {{{#ffffff '''[[2020 도쿄 올림픽]] 기념, 도쿄에서 마지막 성화 봉송을 하는 모습''' }}} || 2021년, [[2020 도쿄 올림픽]]에서 경기장 도착 전 마지막 성화 봉송 주자로 결정되었다. 원래는 13대 [[이치카와 단쥬로]]와 함께 개회식 무대에 오를 예정이었지만 봉송 주자로 대체 되었다고 한다. [[NHK 대하드라마 시리즈]]의 [[이다텐 ~도쿄 올림픽 이야기~]]에서 주연 [[카나쿠리 시조]] 역을 연기한 것이 영향이 컸다고 한다.[* 여담으로 18대 [[나카무라 칸자부로]]와 더불어 아버지와 아들이 각각 대하드라마에서 주연으로 출연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카무라야 종가3.jpg|width=100%]]}}} || || {{{#ffffff '''[[레이와]]의 나카무라야 종가''' }}} || 현재 4대 명문가 중, 선대가 타계했음에도 불구하고 남성 구성원 수가 제일 많다. 때문에 [[가부키]] 계열에서 우러러 보는 면도 있는 가문이며 구성원이 많기에 할 수 있는 극이 다른 가문에 비해 많고, 수에 맞추어 내용을 각색할 수도 있으니 티켓이 잘 팔리는 편이다. 특히 [[모모타로]] 이야기의 경우 이전 세대와 더불어 또 두 명이 출연했다보니, 다찌석마저 전부 팔렸을 정도. 네 명 다같이 무대에 오르기도 하나, 거의 장남과 차남끼리, 즉 칸쿠로와 칸타로, 시치노스케와 쵸자부로 이런 콤비로 묶여서 무대에 오를 때가 많다. === 연기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iRpdnFbX7A)]}}} || || {{{#ffffff '''6대 나카무라 칸쿠로의 카가미 지시''' }}} || 상단 영상의 13분 30초. [[가부키]] 극을 위해 분장을 했을 때의 외형이 아버지인 [[나카무라 칸자부로#s-3|18대 나카무라 칸자부로]]와 판박이이다. 어릴 적부터 할아버지와 아버지에게 고전 무용 수업을 받아오며 성장했고 고등학생 시절에도 동생인 [[나카무라 시치노스케#s-3|2대 나카무라 시치노스케]]가 아버지와 렌지시를 설 때에 혼자 무용극 하나만으로 무대를 채웠다. 일상생활에서의 목소리와 다르게 연기를 할 때 목소리가 굉장히 두껍고 음정이 낮으며 대사 끝마다 긁는 소리를 자주낸다. 본래 목소리가 높은 편이었지만 맡는 배역이 대부분 주인공에 무사들이다보니 이렇게 된 것이라고.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F8qlbd_5ds)]}}} || || {{{#ffffff '''6대 나카무라 칸쿠로의 [[코이(노래)|코이]] 댄스 롯포--(...)--''' }}} || 감사제에서 [[호시노 겐]]의 곡 <[[코이(노래)|사랑]]>의 간주에 나오는 댄스를 롯포로 선보이며 화제가 됐었다. 칸쿠로의 춤선 자체가 가벼움을 엿볼 수 있다. === 여담 === * 아버지가 사생활 촬영에 너그러운 편이었던지라 어릴 적 동생인 시치노스케와 가부키좌를 방문하는 모습, 배를 타고 순회 공연에 다니는 모습, 그 외 각종 CM 등이 영상으로 남아있다. * 할머니인 나미노 쿠에다가 오토와야의 6대 [[오노에 키쿠고로]]의 장녀이기에 오노에 종가와 함께 올리는 [[가부키]] 극이 많은 편이며, [[오노에 키쿠노스케#s-3|5대 오노에 키쿠노스케]]와 친하다. [[오노에 마츠야|2대 오노에 마츠야]]는 [[헤이세이]] 말기에 나카무라자에서 배우로 지냈었다. 외에 친한 배우로는 형제처럼 함께 자란 [[나카무라 시도]], 2대 나카무라 츠루마츠가 있다. * 좋아하는 음식은 [[초밥]]과 [[카레]]. 카레를 배달시켜 무대 뒷편에서 먹는 모습이 자주 포착되었으며, 공연의 반응이 좋으면 나카무라야의 배우들과 함께 [[오마카세]] [[스시]]를 즐기는 것이 루틴이라고 한다. 이건 아버지인 칸자부로의 영향이라고 한다. * 눈이 나쁜 편이라 공연이 없는 날에는 주로 [[안경]]을 착용하고 다닌다. * 2022년 2월,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2월에 예정되어 있던 나카무라자의 모든 [[가부키]] 극을 취소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쿠도 칸쿠로.webp|width=100%]]}}} || [[NHK 대하드라마]]에서 연이 닿은 각본가 [[쿠도 칸쿠로]]에게 [[헤이세이]] 나카무라자의 창작 [[가부키]] 무대 각본과 가부키 18번 극의 연출을 맡기고 있다. 서로 신뢰하는 사이라 한다. [[분류:가부키 배우]][[분류:일본 남배우]][[분류:1981년 출생]][[분류:도쿄도 출신 인물]][[분류:NHK 대하드라마 시리즈 주연배우]][[분류:일본의 배우 자녀]][[분류:아오야마가쿠인 고등부 출신]][[분류:호리코시 고등학교 출신]][[분류:토요대학 출신]][[분류:세습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