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 목록 == [include(틀:낙동강의 교량/대구경북)] [include(틀:낙동강의 교량/부산경남)] '''보는 볼드체 표시.''' || 교량명 || 길이(m) ||<-3> 서쪽 || 도로명[br](철도명) ||<-3> 동쪽 || 개통년도 || 비고 || || [[양산낙동강교]] || 0000 ||<|3> [[경상남도]] ||<|3> [[김해시]] ||<|3> [[대동면(김해)|대동면]] || [[중앙고속도로지선]] || [[경상남도]] || [[양산시]] || [[물금읍]] || 1996 || || [[낙동대교(금곡)|낙동대교]] || 0000 ||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7> [[부산광역시]] ||<|5> [[북구(부산)|북구]] || [[금곡동(부산)|금곡동]] || 2018 || || || [[대동화명대교]] || 0000 || [[외부순환도로|77번 부산광역시도]][* [[서낙동로]].] || [[화명동]] || 2012 || || || [[구포낙동강교]] || 0000 ||<|5> [[부산광역시]] ||<|5> [[강서구(부산)|강서구]] ||<|5> [[대저1동]] || [[남해고속도로]] || [[덕천동]] || 1973 || || || [[구포철교]] || 970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2> [[구포동(부산)|구포동]] || 2005 || || || [[구포대교]] || 0000 || [[14번 국도]] [br] [[40번 부산광역시도]][* [[낙동북로]].] || 1993 || || || [[강서낙동강교]] || 3430 || [[중앙고속도로]] || [[사상구]] || [[모라1동]] || 1996 ||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교량/목록, version=506, paragraph=1.1.3)] === 대구경북 === * 구문소교 * 석포대교 * 성황교 * 석포철교 * 굴현교 * 결둔교 * 암기1교 * 원곡교 * 비동2교 * 비동1교 * 분천교 * 분천1교 * 풍애교 * 현동제2대교 * 현동교 * 임기교 * 명호교 * 관창2교 * 관창1교 * [[주진교]] * [[영락교]] ==== [[월영교]] ==== * [[법흥교]] * [[영가대교]] ==== [[안동교]][anchor(안동교)] ==== [[중앙선]] 안동-망호 구간에 있는 교량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안동교, version=3)] * [[영호대교]] * [[안동대교]] * [[안동철교]] * [[옥수교]] * [[서안동대교]] ==== [[풍산대교]] [anchor(풍산대교)] ==== [[중앙고속도로]] 교량이다. 1995년에 [[칠곡IC]]와 [[서안동IC]] 구간이 개통되면서 풍산대교가 개통되었으며, 1999년에 왕복 2차로에서 4차로로 확장되었다. 이름도 안동시 풍산읍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서안동IC]]와 [[남안동IC]] 사이에 위치해 있다. 북단에 [[안동휴게소]]가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풍산대교, version=6)] * [[단호교]] * [[풍남교]] * [[광덕교]] * [[구담교]] * [[지인교]] * [[삼강교]] * [[영풍교]] ==== [[상풍교]][anchor(상풍교)]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면과 [[예천군]] 풍양면을 잇는 다리이다. 인근에 상주예술촌이 자리하고 있으며 [[자전거 동호인]]들에게는 [[자전거도로/국토종주길|국토종주 자전거길]](낙동강, 새재) 인증센터 중 하나로 널리 알려져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상풍교, version=7)] * [[경천교]] * '''[[상주보]]''' ==== [[중동교(낙동강)|중동교]] [anchor(중동교)] ==== [[59번 국도]] [[상주다인로]]의 일부로, 폭 6m, 연장 450m의 교량이다. 그냥 평범한 [[낙동강]]을 통과하는 교량이지만, 폭이 좁아도 너무 좁아 차 2대가 겨우 지나다닐 수 있을 정도이다. 게다가 [[국토종주]] 코스 중 하나라서 자전거까지 지나다니니, 이 구간은 조심해서 가자. * [[상주낙동강교]] * '''[[낙단보]]''' * [[낙단교]] ==== [[낙단대교]] [anchor(낙단대교)] ==== 2004년 7월 1일에 개통한 교량으로 [[25번 국도]]의 일부이자, [[낙동대로(경상북도)|낙동대로]]의 일부다. [[상주영천고속도로]] [[상주JC]]에서 상주방향 주행시 영덕방향 진입과 영덕에서 영천방향 진입이 불가능하여 [[도개IC]]에서 진출입하거나, [[동상주IC]]를 통해 진출입하여 이용을 하게 되는데 낙단대교는 그 경로상에 위치하고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낙단대교, version=5)] ==== [[낙동강대교(상주)|낙동강대교]] [anchor(낙동강대교)] ==== 낙동강에 걸친 상주영천고속도로의 교량이다. 2017년 6월 28일에 개통하였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낙동강대교, version=9)] * [[선산대교]] * [[일선교]] * '''[[구미보]]''' * [[숭선대교]] ==== [[산호대교]] [anchor(산호대교)] ==== [[경상북도]] [[구미시]]에 있는 교량이다. 인근에 [[구미국가산업단지]]와 [[금오공과대학교]]가 위치해 있으며, 산호대로의 일부이기도 하다. 이름은 [[구미시/행정#s-3.1.8|비산동]]과 [[양호동]]에서 한 글자씩 땄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산호대교, version=4)] * [[구미대교]] * [[남구미대교]] ==== [[왜관낙동강교]] [anchor(왜관낙동강교)] ==== [[경부고속도로]]의 교량으로 [[경상북도]] [[구미시]] 오태동과 [[칠곡군]] 석적읍에 걸쳐있다. 서쪽에는 [[남구미IC]]가 있다. 1970년 7월 7일에 개통하였고 2003년에 8차선으로 확장하였으며. 낙동강에서 가장 오래된 고속도로교량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왜관낙동강교, version=5)] * [[덕포대교]] ==== [[왜관경부고속철교]] [anchor(왜관경부고속철교)] ==== [[경부고속선]] 약목IEC와 대구북연결선 사이에 있는 [[낙동강]] 횡단교량, 직선주로라 KTX가 본격적으로 속도를 내는 구간에 있다. 다리 바로 옆에 낙동강 칠곡보가 있으며, 평화문화축전이 교량 바로 밑에서 열린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왜관경부고속철교, version=5)] * '''[[칠곡보]]''' ==== [[왜관철교]] ==== ==== [[왜관교]] [anchor(왜관교)]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석적리와 약목면 관호리를 잇는 [[낙동강]]의 교량. 연장 510m, 너비 13.5m. [[1970년]]에 준공되었다. 이 다리의 건설로 [[대구시]], [[선산군]], [[김천시]], [[성주군]]으로 이동하기 용이해졌다. 처음에는 2차선이었으나 [[2000년대]] 중반쯤 4차선으로 확장되었다. 그리고 폐교량은 [[2011년]]에 해체되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왜관교, version=4)] ==== [[호국의 다리]] ==== ==== [[제2왜관교]] [anchor(제2왜관교)] ==== [[칠곡군]] 앞을 지나가는 다리이다. [[33번 국도]]에서 칠곡군 왜관읍에 진입할때 타는 다리다. * 이 도로의 33번 국도 교차로 이름이 [[죽전동|죽전]]교차로 이다. * 이 다리 근처에 [[클래시 로얄|로얄]] 교차로가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제2왜관교, version=5)] ==== [[성주대교]] ==== ==== '''[[강정고령보]]''' ==== ==== [[사문진교]] ==== ==== [[88낙동강교]] [anchor(88낙동강교)] ==== 왕복 5차선의 교량이다.[* 광주행은 2차로 대구행은 3차로이다.] [[88올림픽고속도로]]가 [[광주대구고속도로]]로 바뀌었지만 바꾸는 데도 돈이 들기 때문에 명칭이 따로 변경되지는 않았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88낙동강교, version=6)] ==== [[고령교]] ==== ==== [[성산대교(낙동강)|성산대교]] [anchor(성산대교)] ==== [[동고령로]]가 낙동강을 지나가는 왕복 4차선 다리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성산대교(낙동강), version=5)] ==== '''[[달성보]]''' [anchor(달성보)] ==== [[경상북도]] [[고령군]] 개진면과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에 있는 [[낙동강]]의 [[보(시설)|보]](洑)이자, 교량. [[4대강 정비 사업]]으로 인해 건설되어서 운영되고 있다. [[자전거 동호인]]들에게는 국토종주 인증센터가 있는 [[자전거도로/국토종주길#s-1.3|장소]]로 알려져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달성보, version=5)] ==== [[박석진교]] ==== ==== [[중부내륙낙동대교]] [anchor(중부내륙낙동대교)] ==== [[중부내륙고속도로]]가 낙동강을 지나가는 왕복 4차선 다리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중부내륙낙동대교 , version=9)] * [[우곡교]] === 경상남도 === * [[율지교]] * '''[[합천창녕보]]''' ==== [[적포교]] [anchor(적포교)] ==== [[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과 [[합천군]] 청덕면을 잇는 낙동강의 교량. 1933년 10월 착공하여 1935년 9월에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35092200209205003&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35-09-22&officeId=00020&pageNo=5&printNo=5320&publishType=00020|완공하였다.]] [[도로명주소]]는 [[의합대로]]와 [[우포1대로]]이다. [[20번 국도]]와 [[24번 국도]]가 지나가며 현재 사용하는 것은 2대 째 교량이다.합천에서는 이 다리가 있는 곳을 '''적교'''라 부른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적포교, version=4)] ==== [[박진교]] [anchor(박진교)] ==== 경상남도 의령군과 창녕군을 잇는 교량이다. 도로명주소는 [[박진로]]이다. 이름에서 보여지듯 박진이라는 사람이 연상되는 교량이지만, 교량명칭은 인명과 전혀 관계가 없다. 박진이라는 이름은 의령군 부림면 경산리에 있는 마을이름이다. 이 마을에서 교량명이 정해졌다. 왕복 2차로며, 통행량은 많지 않다. 다만, 낙동강 자전거길에 있어서 중요한 길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박진교, version=6)] * [[남지교]] * [[남지대교]] ==== [[창녕낙동강교]] [anchor(창녕낙동강교)] ==== [[중부내륙고속도로]]의 교량으로 남지IC 바로 앞에 있다. 1977년에 옛 구마고속도로로 개통한 후, 1995년에 재건축한 뒤 2001년 노선번호 변경으로 중부내륙고속도로로 편입되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창녕낙동강교, version=8)] ==== [[낙동대교(창녕)]] [anchor(낙동대교(창녕))] ==== 낙동강을 건너는 [[5번 국도]]의 교량이다. [[경남대로]]의 일부로, 경상남도 창녕군 남지읍 동쪽에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낙동대교(창녕), version=10)] ==== '''[[창녕함안보]]''' [anchor(창녕함안보)] ==== {{{+1 昌寧咸安洑 / Changnyeonghaman Weir}}} [[경상남도]] [[창녕군]] 길곡면 증산리와 [[함안군]] 칠북면 봉촌리에 있는 [[낙동강]]의 [[보(시설)|보]](洑)이자, 교량. [[4대강 정비 사업]]으로 인해 건설되어서 운영되고 있다. [[자전거도로/국토종주길|국토종주 자전거길]] 인증센터 가운데 한 곳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창녕함안보, version=7)] * [[본포교]] * [[수산교]] * [[수산대교]] * [[낙동강철교]] * [[낙동인도교]] ==== [[삼랑진교]] [anchor(삼랑진교)] ==== 58번 국도가 통과한다. ==== [[낙동대교(삼랑진)]] [anchor(낙동대교(삼랑진))] ==== [[삼랑진IC]]와 [[상동IC]] 사이에 있는 [[대구부산고속도로]]의 [[교량]]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낙동대교(삼랑진), version=6)] ==== 양산 낙동대교 ==== [[김해시]]와 [[양산시]]를 잇는 [[60번 지방도|국가지원지방도 60호선]]의 교량으로 현재 건설 중이다. 낙동강을 경계로 같은 [[경상남도]]에 속해 있지만 이 다리가 놓이기 전에 두 도시를 왕래하기 위한 무료 도로가 없었다. 다만 이 도로가 양산 임경대의 경관을 망쳐 아쉬움을 호소하는 시민들이 있다. ==== [[양산낙동강교]] [anchor(양산낙동강교)] ==== [[중앙고속도로지선]] 중 물금IC와 대동JC를 연결하는 [[낙동강]]의 교량이다. 중앙지선과 함께 개통하였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양산낙동강교, version=12)] === 부산광역시 === * [[낙동강대교(부산)|낙동강대교]] -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의 일부. [[부산광역시]]와 [[김해시]]의 경계에 있다. * [[대동화명대교]] * [[구포낙동강교]] * [[구포철교]] * [[구포대교]] * [[강서낙동강교]] * [[낙동강횡단수관교]] * [[감전철교]] * [[서부산낙동강교]] - [[남해고속도로제2지선]]의 일부. * [[낙동강하굿둑]] - 엄밀히 말하자면 [[교량]]이 아니라 말 그대로 '''둑'''이지만 교량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기재한다. 수문이 있는게 일반적인 둑과 다른 점이고 하구둑 특성상 둑위에 도로를 개설하는 경우가 많다. * [[을숙도대교]] - [[해안순환도로]]의 일부. 낙동강과 [[남해]] 바다의 경계에 해당하는 낙동강하구둑 남쪽에 있기 때문에 따지고 보면 낙동강이 아니라 '''[[바다]]를 지나는 [[교량]]'''이지만, 실질적으로는 낙동강의 동서를 잇는 역할을 한다. * ~~[[엄궁대교]]~~ - 생곡-북항 도로의 일부. 2014년 기준 아직 착공하지는 않았다. * ~~[[대저대교]]~~ * ~~[[사상대교]]~~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낙동강, version=208, paragraph=5.1)] [[분류:낙동강의 교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