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낙동강역'''}}} || ||<-3> [include(틀:지도, 장소=35.389222 128.831549, 너비=100%, 높이=225px)]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Nakdonggang || || [[한자]] ||<-2> 洛東江 || || [[간체자]] ||<-2> 洛东江 || || [[가나(문자)|가나]] ||<-2> [ruby(洛東江, ruby=ナクトンガン)] || ||<-3> '''주소''' || ||<-3>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삼랑진로]] 119 (삼랑리) || ||<-3> '''관리역 등급''' || ||<-3> [[무배치간이역]][br]([[밀양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 ||<-3> '''운영 기관''' || || [[경부선]] ||<-2>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100]]]] || ||<-3> '''개업일''' || || 마산선 ||<-2> 1906년 12월 12일 [br]~ 1931년 3월 31일[* [[삼랑진역]] ~ [[구마산역]] 구간 운영] || || 경전남부선 ||<-2> 1931년 4월 1일 [br]~ 1968년 2월 6일[* [[삼랑진역]] ~ [[진주역]] 구간 운영] || || [[경전선]] ||<-2> 1968년 2월 27일 || ||<-3> '''철도거리표''' || || [[삼랑진역|{{{#!html
삼랑진 방면}}}]][[삼랑진역|삼랑진]][br]← 1.7 ㎞ || '''[[경전선]]'''[br]낙동강 || [[광주송정역|{{{#!html
광주송정 방면}}}]][[한림정역|한림정]][br]8.2 ㎞ → || || [[미전신호소|{{{#!html
미전 방면}}}]][[미전신호소|미 전]][br]← 1.6 ㎞ || '''[[미전선]]'''[br]낙동강 || {{{#!html
종점}}} || {{{+1 洛東江驛 / Nakdonggang Station }}} ||[[파일:attachment/낙동강역/nakdonggang.jpg|width=100%]]|| || 철거 전의 구역사 || [목차] == 개요 == || [[파일:낙동강역 스탬프.jpg]] || || 낙동강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지역 브랜드인 미르피아를 형상화하였다. 현재 [[삼랑진역]]에 비치중이다.[* 2021.1.31 삼랑진역 정상 배치 확인] || [[경전선]]의 [[철도역]].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삼랑진로]] 119 (삼랑리)에 위치해 있다. 역명은 인근에 흐르는 [[낙동강]]에서 따왔다. == 역사 == [[경전선]]이 처음 생길 때에는 [[보통역]]으로 출발했으나 2004년 이후 제법 가까운 곳에 위치한 [[삼랑진역]]으로 여객수요가 대부분 흡수되면서[* [[삼랑진역]]에 정차하는 열차 대수가 많아진 영향이 크다.] [[2010년]] [[1월 4일]]을 끝으로 여객열차 영업이 중지되었으며, 그 해 11월 12일 '''역사가 철거되었다'''. 현재는 창고만이 남아 낙동강역의 역사를 알리고 있다. 그러나 어느새 역 앞의 공간에 이곳의 이야기를 '약간' 담은 공원이 생긴 상태이다. 이 역에는 2009년 [[명예역장]]이 배치되어 활동했던 전적이 있다. 이 역의 명예역장은 스스로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를 만들어서 비치해 놓을 정도의 [[철도 동호인]]이었지만 [[2010년]] [[1월 5일]]부로 영업이 중지되면서 사실상 짤렸다. 그 이후 연임하지 못했다. 역사도 철거되고 명예역장도 이 역을 떠난 상태이지만 낙동강역은 묵묵히 제 일을 수행하고 있다.[* 낙동강역은 [[경전선]]과 [[미전선]]이 분기하여 삼각선을 이루는 역인 이유로 신호장 역할을 위해 존치된다. 이때문인지 가끔 미전선측 승강장에 운전정차하는 경우가 있다.] 이 역의 스탬프는 [[삼랑진역]]에서 관리하고 있다. 이 역과 [[한림정역]] 사이에 [[낙동강철교]]가 있는데, [[경전선]] 복선전철화로 2009년에 이설된 [[철교]]로 지금 사용되는 철교는 [[경전선]] 개통 이래 3대째의 철교가 된다. 이때 이설된 구간 대부분이 선로 철거를 면치 못하였지만, 낙동강-[[한림정역|한림정]] 구간 중 삼랑진철교를 비롯한 일부 구간은 선로가 존치되어 [[레일바이크]]와 와인터널이 만들어져 관광상품화되었다. [[http://www.gimha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557|관련기사]] == 둘러보기 == [include(틀:경전선의 역 목록)] [include(틀:미전선의 역 목록)] [[분류:1906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철도역]][[분류:경전선]][[분류:밀양시의 철도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분기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