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낙양춘(洛陽春)은 국악 곡 중 하나로 [[보허자]]와 함께 국내에 유이하게 전래되는 오리지널 [[당악]] 중 하나이다. == 상세 == 동명의 [[사악]]을 가사로 한 음악이다. 전통적인 분류법 상으로는 '''당악'''에 속하는 당[[피리(악기)|피리]] 중심의 음악으로 黃이 내림마(E플랫)가 아니라 다(C)로 낮아진다.[* 그래서 대금이나 해금 같은 악기들은 운지를 달리 잡아야 한다.] 아명은 '기수영창지곡(其壽永昌之曲)'. [[고려]]시대때 대성아악으로 [[중국]]에서 들어왔다. [[조선]]시대에는 의식음악으로, [[임금]]을 알현할 때 등의 상황에서 연주했다. 원래는 가사를 붙여 부르던 성악곡이었는데 지금은 기악으로만 연주한다.[* 이혜구에 의해서 악보상에서 가사가 붙었고, 국립국악원 악사장 김기수씨가 복원한 바 있다.] == 가사 == >(미전사) >사창미효황앵어(紗窓未曉黃鶯語) 깁바라지가 아직 안 밝은데 꾀꼬리 울음 운다 >혜로소잔주(蕙爐燒殘炷) 혜초 향로 남은 향 다 타버렸네 >금유라막도춘한(錦惟羅幕度春寒) 비단병풍 깁장막에 꽃샘추위 막았는데 >작야리삼경우(昨夜裏三更雨) 어젯밤 삼경새에 비가 내렸나 > >(미후사) >수렴한의취경서(繡簾閑倚吹輕絮) 수 놓은 발에 기대 쉬니 버들솜 날려 >렴미산무서(斂眉山無緖) 눈가 찌푸리며 마음 갈피 못 잡네 >파화식루향귀홍(把花拭淚向歸鴻) 꽃 꺾어 눈물 닦아 돌아오는 기러기를 향해 >문래처봉랑불(門來處逢郞不) 오는 곳에 우리 낭군 만났냐고 묻노라 가사 자체는 상당히 애절한데 비해 곡은 웅장하다. 그러나 중국어판 [[위키문헌]]에서는 다르게 적혔다. [[https://zh.wikisource.org/wiki/歐陽修集/卷133#【洛陽春一首】|#]] [[https://cs.8s8s.com/poetry/67/282525-96891.html|#]] >홍사미효황리어(紅紗未曉黃鸝語) 붉은 깁 아직 안 밝은데 꾀꼬리 울음 운다 >혜로소란주(蕙爐銷蘭炷) 혜초 향로에 난초 심지 녹네 >금병라막호춘한(錦屛羅幕護春寒) 비단병풍 깁장막에 꽃샘추위 막았는데 >작야삼경우(昨夜三更雨) 어젯밤 삼경에 비가 내렸네 >수렴한의취경서(繡簾閑倚吹輕絮) 수 놓은 발에 기대 쉬니 버들솜 날려 >렴미산무서(斂眉山無緖) 눈가 찌푸리며 마음 갈피 못 잡네 >간화식루향귀홍(看花拭淚向歸鴻) 꽃 보며 눈믈 닦고 돌아오는 기러기를 향해 >문래처봉랑부(問來處逢郞否) 오는 곳에 우리 낭군 만났냐고 묻노라 [[보허자]]와 같이 [[국악/형식|환두 형식]]으로 된 음악이다. 또한 속도가 느리고 각 음의 길이가 일정하여 [[정간보]]로 기입되기도 하지만 [[국악/기보법#s-2|율자보]]로 기록되기도 한다. 당악편성이면서 관악편성으로, [[대금]] 당[[피리(악기)|피리]] [[당적]] [[해금]] [[아쟁]] [[좌고]] [[장구(악기)|장구]]로 편성 연주한다. 대규모로 연주할때는 [[편경]]과 [[편종]]이 끼기도 한다. 낙양춘의 음계는 黃-太-故-仲-林-南-應 7음음계이다. 그러나 정작 곡 안에서는 黃太仲林南이 주로 쓰이고 고선과 응종은 한번밖에 나오지 않는다. 악보를 율자보로 기보하면 다음과 같다 (△는 쉼표) 黃 △ 林 仲 黃 △ 太 △ 林 太 (林太-) △ 黃 △ 太 林 太 黃 △ 南 潢 汰 潢 △ 南 △ 潢 汰 潢 南 林 △ 潢 林 (潢林-) 仲 △ 南 (潢-南) 應 林 △ 潢 林 △ 潢 林 (潢林-) 仲 汰 △ 潢 汰 潢 南 林 △ 潢 林 (潢林-) 仲 △ 南 潢 南 林 仲 南 仲 △ 太 (仲-太) 林 太 △ (仲-太) 潢 △ 汰 (仲-汰) 潢 南 潢 汰 潢 △ 汰 潢 南 △ 林 南 林 仲 △ 南 仲 △ 太 △ 黃 太 林 太 △ 仲 姑 太 △ 黃 △ 太 林 太 黃 △ 南 潢 汰 潢 △ 南 △ 潢 汰 潢 南 林 △ 潢 林 (潢林-) 仲 △ 南 (潢-南) 應 林 △ 潢 林 △ 潢 林 (潢林-) 仲 汰 △ 潢 汰 潢 南 林 △ 潢 林 (潢林-) 仲 △ 南 潢 南 林 仲 南 仲 △ 太 (仲-太) 林 太 △ (仲-太) 潢 △ 汰 (仲-汰) 潢 南 潢 汰 潢 △ 汰 潢 南 △ 林 南 林 仲 △ 南 仲 △ 太 △ 黃 太 林 太 △ 仲 姑 太 △ 黃 △ 太 林 太 黃 △ [각주] [[분류:국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