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 '''난니 모레티 감독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e5d85c ''' 역대 [[칸 영화제|{{{#e5d85c 칸 영화제}}}]] ''' }}} || ||<-5>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width=200]] || ||<-5> [[칸 영화제/황금종려상|{{{#e5d85c '''황금종려상'''}}}]] || || ''' [[2000년 칸 영화제|제53회]] [br] ([[2000년]]) ''' || {{{+1 → }}} || ''' [[2001년 칸 영화제|제54회]] [br] ([[2001년]]) ''' || {{{+1 → }}} || ''' [[2002년 칸 영화제|제55회]] [br] ([[2002년]]) ''' || || [[라스 폰 트리에]][br]([[어둠 속의 댄서]]) || {{{+1 → }}} || '''난니 모레티[br]([[아들의 방]])''' || {{{+1 → }}} || [[로만 폴란스키]][br]([[피아니스트(로만 폴란스키 영화)|피아니스트]]) || ||<-5> [[칸 영화제/감독상|{{{#e5d85c '''감독상'''}}}]] || || ''' [[1993년 칸 영화제|제46회]] [br] ([[1993년]]) ''' || {{{+1 → }}} || ''' [[1994년 칸 영화제|제47회]] [br] ([[1994년]]) ''' || {{{+1 → }}} || ''' [[1995년 칸 영화제|제48회]] [br] ([[1995년]]) ''' || || [[마이크 리]][br]([[네이키드]]) || {{{+1 → }}} || '''난니 모레티[br]([[나의 즐거운 일기]])''' || {{{+1 → }}} || 마티유 카소비츠[br]([[증오(1995)|증오]]) || ---- ||<-5>
{{{#e5d85c ''' 역대 [[베니스 국제 영화제|{{{#e5d85c 베니스 국제 영화제}}}]] ''' }}} || ||<-5> [[파일:베니스 국제 영화제 로고.svg|width=200]] || ||<-5> [[베니스 국제 영화제/심사위원대상|{{{#e5d85c '''심사위원대상'''}}}]] || || ''' 제37회 [br] ([[1980년]]) ''' || {{{+1 → }}} || ''' 제38회 [br] ([[1981년]]) ''' || {{{+1 → }}} || ''' 제39회 [br] ([[1982년]]) ''' || || [[테오 앙겔로풀로스]][br](구세주 알렉산더) || {{{+1 → }}} || '''난니 모레티[br](좋은 꿈)''' || {{{+1 → }}} || 크쥐시토프 자누쉬[br](임페러티브) || ---- ||<-5>
{{{#e5d85c ''' 역대 [[베를린 국제 영화제|{{{#e5d85c 베를린 국제 영화제}}}]] ''' }}} || ||<-5> [[파일:베를린 국제 영화제 로고.svg|width=200]] || ||<-5> [[베를린 국제 영화제/은곰상 : 심사위원대상|{{{#e5d85c '''은곰상 : 심사위원대상'''}}}]] || || ''' 제35회 [br] ([[1985년]]) ''' || {{{+1 → }}} || ''' 제36회 [br] ([[1986년]]) ''' || {{{+1 → }}} || ''' 제37회 [br] ([[1987년]]) ''' || || 라슬로 루고시[br](환상의 꽃) || {{{+1 → }}} || '''난니 모레티[br](미사는 끝났다)''' || {{{+1 → }}} || 쿠마이 케이[br](바다와 독약) || ---- }}} || ---- ||<-2> '''{{{+1 난니 모레티}}}[br]Nanni Moretti'''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난니 모레티.jpg|width=100%]]}}} || || '''본명''' ||조반니 모레티[br]Giovanni Moretti|| ||<|2> '''출생''' ||[[1953년]] [[8월 19일]] ([age(1953-08-19)]세) || ||[[쥐트티롤|볼차노 도]] 브루니코 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 '''직업''' ||영화 감독, 각본가, 제작자|| || '''링크''' ||[[https://www.instagram.com/nannimoretti_/|[[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3]]]]|| [목차] [clearfix] == 개요 == [[이탈리아]]의 [[영화 감독]], [[각본가]], 영화 제작자. [[로베르토 베니니]], 잔니 아멜리오와 함께 이탈리아의 90년대 트로이카 감독으로 꼽혔으며, 3인 중에서도 가장 전복적이고 진보적 정치적인 성향을 가진 채 작품 속에서 자신이 사회에 대해 가진 문제의식을 끊임없이 다뤄왔다. 혼자서 감독, 제작, 시나리오, 배우, 배급, 심지어 극장주까지 겸하는 1인 제작 시스템으로도 유명하다. == 스타일 == >" '''나는 감독이 아니다. 무언가 말하고 싶은 것이 있을 때 그것을 영화로 만드는 사람일 뿐이다.''' " 영화작업 초기부터 전통적 서사를 벗어난 반자연주의적 화법에 몰두했고, 이탈리아 내 남성성과 권위의 위기, 정치적 좌파의 위기, 국민과 국가의 관계 변화 등의 주제를 냉소적 시각과 지적 시각을 결합하여 풍자하는 영화를 주로 만들었다. 특히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극렬 안티로 유명해 4월과 악어라는 베를루스코니 까 영화를 만들기도 했다. 20세기 말까지는 위에서 언급한 자신의 정치적 성향이 드러나는 풍자 영화를 만들어왔으나, 21세기에 이르러서는 아들을 잃은 아버지, 교황의 공허함, 어머니를 떠나보내야 하는 딸 등 상실에 대한 테마를 다루는 영화도 만들기 시작했다. == 생애 == === 1980년대 작품 활동 === 1953년 [[이탈리아]] [[볼차노]]현 브루니코에서 태어나 로마에서 성장했다. 혁명적 열기가 유럽대륙을 휩쓸었던 [[1960년대]]에 10대를 보내면서 좌파적 성향을 갖게 된 모레티는 고등학교를 졸업과 동시에 단편 영화 작업에 들어갔고, 8mm 카메라로 [[68운동]]세대의 분노를 그린 <나는 자급자족한다>(1976)를 통해 장편 데뷔한다. 이후 1970년 말 당대를 배경으로 이탈리아 좌파 청년들의 일상을 다큐멘터리 기법을 채용하여 묘사한 <에체 봄보>(1978)[* 자기만족에 빠진 대도시 좌파 중산층을 비꼬는 작품이자, 당대 최고 배우 가운데 하나였던 좌파 알베르토 소르디를 풍자했다.]는 당시 20억 리라의 수익을 올리는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을 뿐만 아니라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베르톨루치]] 이후 영화 신동이 탄생했다는 찬사를 얻었다. 1978년에는 [[타비아니 형제]]가 감독한 <파드레 파드로네>에서 주인공의 군인 시절 친구 역으로 출연하기도 했는데, 이때 타비아니 형제로부터 카메라가 등장인물을 쫓아가는 게 아니라 고정된 카메라 앞에 배우들이 들락날락하게 찍는 등 카메라에 현실을 담는 법을 사사하기도 했다. 1981년에는 희망없는 감독의 영화 만들기 과정을 그린 메타 시네마 <좋은 꿈>으로 [[베니스 국제 영화제]] [[베니스 국제 영화제/심사위원대상|심사위원 대상]]을 수상하며 서서히 국제적인 명성을 얻게 되었고, 한 고등학교의 수학교사가 살인자로 변화해가는 과정을 담은 1983년작 스릴러 <비안카>에서는 이전작들에 비해 드라마적 요소를 가미하고 평면적이던 화면도 훨씬 풍부해지기 시작했다. 1985년작 <미사는 끝났다>는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베를린 국제 영화제/은곰상 : 심사위원대상|심사위원대상]]을 받는 등 비평적 성공을 안겨줌과 동시에 상업적 성공도 거두었고, [[카예 뒤 시네마]] 선정 올해의 영화 9위로 선정되었다. 이때의 성공을 발판삼아 1986년 친구 안젤로 바르바갈와 함께 사케르필름(Sacher Film)이라는 제작사를 차리게 되는데, 이를 통해 제작부터 배급까지를 자신이 총괄하는 1인 제작 시스템을 꾸린 후 젊은 감독들의 단편영화를 상영하는 ‘사케르영화제’를 운영하고 1991년부터 로마에 360석 규모의 극장 누오보 자케르를 개관하는 등 주류 이탈리아 영화계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독자적 영향력을 늘리기 시작했다. 1989년 <빨간 비둘기>가 평단의 찬사를 받았고, 그해 '''[[카예 뒤 시네마]] 선정 올해의 영화 1위'''로 선정되었다. '''[[카예 뒤 시네마/연도별 베스트]] 1989년 올해의 영화''' || '''순위''' || '''제목''' || '''감독''' || ||<|2> 1 || '''[[똑바로 살아라(미국 영화)|똑바로 살아라]]''' || [[스파이크 리]] || || '''빨간 비둘기''' || 난니 모레티 || ||<|2> 3 || '''4인조''' || [[자크 리베트]] || || '''데드 링거''' || [[데이비드 크로넌버그]] || ||<|2> 5 || '''카니발''' || [[마노엘 드 올리베이라]] || || '''야바''' || 이드리사 우에드라오고 || ||<|3> 7 || '''검은 비''' || [[이마무라 쇼헤이]] || || '''무정한 사람''' || 파트리샤 마주이 || || '''리틀 베라''' || 바실리 피출 || ||<|3> 10 || '''우연한 여행자''' || 로렌스 캐스던 || || '''집에 가고 싶어''' || [[알랭 레네]] || || '''[[집시의 시간]]''' || [[에밀 쿠스트리차]] || === 1990년대 ~ 현재 작품 활동 === 1994년 <나의 즐거운 일기>는 한국 영화팬에게 처음으로 이름을 알린, [[난니 모레티]]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나의 즐거운 일기>는 감독 본인이 직접 실명으로 출연해 스쿠터를 타고, 이탈리아 전역을 여행하면서 정치 현실에 대한 비판을 하는 옴니버스 영화로''' [[카예 뒤 시네마]] 올해의 선정 1위''',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 선정''' 선정되었다. '''[[카예 뒤 시네마/연도별 베스트]] 1994년 올해의 영화''' || '''순위''' || '''제목''' || '''감독''' || || 1 || '''나의 즐거운 일기''' || [[난니 모레티]] || || 2 || '''잠이 오지 않아''' || 클레르 드니 || || 3 || '''[[칼리토(영화)|칼리토]]''' || [[브라이언 드 팔마]] || || 4 || '''야생 갈대''' || 앙드레 테시네 || || 5 || '''[[팀 버튼의 크리스마스 악몽]]''' || [[헨리 셀릭]] || || 6 || '''트라볼타 앤 미''' || 파트리샤 마주이 || || 7 || '''지옥''' || [[클로드 샤브롤]] || || 8 || '''잔 다르크''' || [[자크 리베트]] || || 9 || '''US 고 홈''' || [[클레르 드니]] || ||<|2> 10 || '''죽음과의 작은 협상''' || 파스칼 페랑 || || '''[[M.Butterfly|M. 버터플라이]]''' ||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 1994년 [[칸 영화제]]에서 당시, <나의 즐거운 일기>는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의 [[세 가지 색: 레드]], [[압바스 키아로스타미]]의 [[올리브 나무 사이로]]와 더불어 유력한 황금종려상 수상 후보작이었다. 그러나, 예상의 깨고, 논란의 [[펄프픽션]] 수상하면서, 3등상에 해당하는 [[칸 영화제/감독상|칸 영화제 감독상]]을 수상한다. [[카예 뒤 시네마]], <로드쇼>등의 유력 영화지에서도 특집기사로 이러한 점을 시사했는데, 감독도 인터뷰에서는 감독상 수상과 영화제의 불만을 감독 성격 그대로 드러냈다. 난니 모레티는, 1997년 칸 영화제 심사위원이었는데, 이때 [[압바스 키아로스타미]]의 [[체리 향기]]를 지지하였다.그리고, <체리향기>는 제50회 [[칸 영화제/황금종려상]]을 수상하게 한다. 1998년작 건강 악화를 털어내고, <4월>로 다시 한번 칸 경쟁부문에 진출했다.한발 더 정치적이지만 유쾌한 영화로, 이탈리아 정치사와 모레티 자신의 가족사를 교차시키며 이탈리아 좌파의 흉한 몰골을 보여주는 작품을 찍었다. 부산 국제영화제에도 출품되어, 마니아들이 호응을 얻었다. 2001년 아들을 잃은 남자의 상실감을 매끄럽게 풀어낸 [[아들의 방]]은 1978년 이후 이탈리아 영화로는 처음으로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과 국제 비평가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얻었고, 이 작품을 기점으로 조금씩 작품 스타일이 변했다는 평을 들었다. 이후 정치에 뛰어들어 시위대열의 맨 앞에서 메가폰을 잡다가 2006년작 <악어>를 연출하고, 다시 2년 동안 이탈리아의 토리노 국제 영화제 집행위원장을 맡아 영화 행정가로 활동한다. 2011년 5년 만에 [[우리에겐 교황이 있다]]로, 다시 영화감독으로 귀환하였고 <카예 뒤 시네마> 선정 올해의 영화 9위로선정되었다. 2015년 [[나의 어머니]]가 평단의 찬사를 받았고, 그해 ''' [[카예 뒤 시네마]] 선정 올해의 영화 1위'''로 선정되었다. '''[[카예 뒤 시네마/연도별 베스트]] 2015년 올해의 영화''' || '''순위''' || '''제목''' || '''감독''' || || 1 || '''나의 어머니''' || [[난니 모레티]] || || 2 || '''찬란함의 무덤''' || [[아피찻퐁 위라세타꾼]] || || 3 || '''인 더 섀도우 오브 우먼''' || [[필립 가렐]] || || 4 || '''네이키드 청춘''' || 래리 클라크 || || 5 || '''[[매드 맥스: 분노의 도로]]''' || [[조지 밀러(1945)|조지 밀러]] || || 6 || '''도원경''' || 리산드로 알론소 || || 7 || '''[[인히어런트 바이스]]''' || [[폴 토머스 앤더슨]] || || 8 || '''아라비안 나이트''' || 미겔 고미쉬 || || 9 || '''상가일레의 여름''' || 알란테 카바이테 || || 10 || '''[[해안가로의 여행]]''' || [[구로사와 기요시]] || 2020년 칸 영화제에서 공개될 예정이었던 신작 <일층 이층 삼층>이 코로나 판데믹 사태로 인해 1년 뒤인 2021년 칸 영화제에서 공개되었다. 처음으로 원작이 있는 영화를 연출한 것으로 이스라엘 소설이 원작이다. 영화는 비평가들의 혹평을 받았다. 2023년 공개된 <[[찬란한 내일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다. 21세기 모레티 감독의 영화가 주로 멜로드라마적 요소가 강했던 것에 비해 본 영화는 20세기에 보여줬던 코미디적 터치와 더불어 메타 영화를 표방했다. == 필모그래피 == === 극 영화 === || '''연도''' || '''제목''' || '''연출''' || '''각본''' || '''출연''' || '''비고''' || || 1973 || 패배[br]''La sconfitta'' || O || || || 단편 || || 1973 || ''Paté de bourgeois'' || O || || || 단편 || || 1974 || ''Come parli, frate?'' || O || || || 중편 || || 1976 || 나는 자급자족한다[br]''Io sono un autarchico'' || O || || || 장편 데뷔작 || || 1977 || ''Un autarchico a 'palazzo''' || O || || || TV용 단편 || || 1978 || 에체 봄보[br]''Ecce Bombo'' || O || O || || || || 1981 || 좋은 꿈[br]''Sogni d'oro'' || O || O || || || || 1983 || 비안카[br]''Bianca'' || O || O || || || || 1985 || [[미사는 끝났다]][br]''La messa è finita'' || O || O || || || || 1989 || [[빨간 비둘기]][br]''Palombella rossa'' || O || O || || || || 1993 || [[나의 즐거운 일기]][br]''Une nouvelle vie'' || O || O || || || || 1994 || ''L'unico paese al mondo'' || O || || || 단편 || || 1996 || ''Il giorno della prima di Close Up'' || O || || || 단편 || || 1998 || 4월[br]''Aprile'' || O || O || || || || 2001 || [[아들의 방]][br]''Les Destinees Sentimentales'' || O || O || || || || 2003 || ''Il grido d'angoscia dell'uccello predatore (20 tagli d'Aprile)'' || O || O || || 단편 || || 2006 || 악어[br]''Il caimano'' || O || O || || || || 2007 || ,,[[그들 각자의 영화관]] 中,,[br]Diaro di uno Spettatore || O || O || || [[옴니버스 영화]] 참여작 || || 2011 || [[우리에겐 교황이 있다]][br]''Habemus Papam'' || O || O || O || || || 2015 || [[나의 어머니]][br]''Mia madre'' || O || O || O || || || 2021 || 일층 이층 삼층[br]''Tre piani'' || O || O || O || || || 2023 || [[찬란한 내일로]][br]''Il sol dell'avvenire'' || O || O || O || || === 다큐멘터리 === || '''연도''' || '''제목''' || '''연출''' || '''각본''' || '''출연''' || '''비고''' || || 1990 || ''La cosa'' || O || O || || || || 2003 || ''The Last Customer'' || O || O || || 단편 || || 2006 || ''Il diario del caimano'' || O || O || || 단편 || || 2007 || ''L'ultimo campionato'' || O || O || || 단편 || || 2017 || ''Piazza Mazzini'' || O || O || || 단편 || || 2017 || ''Ischi allegri e clavicole sorridenti'' || O || O || || 단편 || || 2018 || ''Santiago, Italia'' || O || O || || || == 기타 == * 코미디 영화를 주로 만들고 본인이 자신 영화에 주연으로 종종 출연한다는 공통점 때문에 이탈리아의 [[우디 앨런]]이라는 별명도 있다. 실제로 감상하기 어렵지 않고, 유머리스한 장면이 많다.[* 다만 우디 앨런이 음악과 촬영에 치중하고 좀 더 일상적인 유머에 관심을 기울인다면, 이쪽은 정치 풍자적인 코미디를 찍는 등 스타일은 많이 다르다.] * 자기 의견이 확고한 성격으로도 유명한데, 언론과 인터뷰를 하던 중 질문이 길어지거나 비꼬기라도 하면 아예 인터뷰 중간에 나가버리는 일도 있었다고 하고, 1997년 제 50회 [[칸 영화제]]때도 당시 같이 심사위원이었던 [[마이크 리]] 감독은 [[이마무라 쇼헤이]] 감독의 [[우나기]]를, 난니 모레티는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감독의 [[체리 향기]]를 지지해서 끝내 의견을 좁히지 못하고 그해 [[황금종려상]]은 두 작품의 공동 수상이 되었다고 한다. 정작 본인이 칸 심사위원장을 할 당시엔 민주주의적인 토론 방법을 채택했다고. * [[카예 뒤 시네마]]가 좋아하는 감독 중 하나로, [[카예 뒤 시네마/연도별 베스트|연도별 베스트 10]]에 6번이나 오를 정도로[* [[미사는 끝났다]], [[빨간 비둘기]], [[나의 즐거운 일기]], [[아들의 방]], [[우리에겐 교황이 있다]], [[나의 어머니]] ] 카예 뒤 시네마 평단에게서 지지를 받는다. [* 2010년대 결산에서는 [[나의 어머니]]를 전체 7위로 선정했다.] * 한국에서는 전성기에 비해 늦게 소개된 감독에 속한다. 갓 이름을 알리던 시기가 독재 정권 말기랑 겹쳐 있었고 2001년 나의 즐거운 일기와 아들의 방이 정식 개봉되고 EBS에서 4월이 소개되면서 알려진 편. 이후로도 내수성이 강한 악어는 개봉하지 않았다. [[분류:이탈리아 영화 감독]][[분류:1953년 출생]][[분류:트렌티노알토아디제 주 출신 인물]][[분류:칸 영화제 감독상 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