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ACF 피오렌티나 감독(1대~50대))]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000000,#e5e5e5 ''' 헝가리의 축구감독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난도르 히데구티 .jpg|width=100%]]}}} || ||<-2> {{{#000000,#e5e5e5 ''' 이름 ''' }}} || {{{+1 '''히데그쿠티 난도르'''}}} [br] '''Hidegkuti Nándor'''[* 헝가리에서는 성씨가 앞에 오고 이름이 뒤에 온다.] || ||<-2> {{{#000000,#e5e5e5 ''' 출생 ''' }}} ||[[1922년]] [[3월 3일]] [br] {{{-2 [[헝가리 왕국(1920~1946)|헝가리 왕국]] [[부다페스트]]}}} || ||<-2> {{{#000000,#e5e5e5 ''' 사망 ''' }}} ||[[2002년]] [[2월 14일]] (향년 79세) || ||<-2> {{{#000000,#e5e5e5 ''' 국적 ''' }}}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width=25]] [[헝가리 왕국(1920년~1946년)|헝가리 왕국]](1922~1946)[br][[파일:헝가리 제2공화국 국기.svg|width=25]] [[헝가리 제2공화국]](1946~1949)[br][[파일:헝가리 인민 공화국 국기(1957–1990).svg|width=25]] [[헝가리 인민 공화국]](1949~1989)[br][[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25]] [[헝가리]](1989~2002) || ||<-2> {{{#000000,#e5e5e5 ''' 신체 ''' }}} ||[[키(신체)|키]] 179cm || ||<-2> {{{#000000,#e5e5e5 ''' 직업 ''' }}} ||[[축구선수]] ([[중앙 공격수]] / ^^은퇴^^)[br][[축구감독]] ^^(은퇴)^^ || ||<|2> {{{#000000,#e5e5e5 ''' 소속 ''' }}} || {{{#000000,#e5e5e5 ''' 선수 ''' }}} ||에레크트로모시 FC(1942~1945) [br] '''[[MTK 부다페스트 FC]] (1945~1958)''' || || {{{#000000,#e5e5e5 ''' 감독 ''' }}} ||[[MTK 부다페스트 FC|MTK 헝가리아 FC]] (1959~1960) [br] [[ACF 피오렌티나]] (1960~1962) [br] [[AC 만토바]] (1962~1963) [br] [[죄르 ETO FC]] (1963~1965) [br] [[터터바녀 SC|FC 터터바녀]] (1966) [br] [[MTK 부다페스트 FC|MTK 헝가리아 FC]] (1967-1968) [br] 부다페스트 스파르타쿠스 (1968~1971) [br] 스탈 제슈프 (1972) [br] 에그리 도사 (1973) [br] [[알 아흘리 SC(이집트)|알 아흘리 SC]] (1973~1980) [br] [[알 아흘리 클럽]] (1983~1985) || ||<-2> {{{#000000,#e5e5e5 ''' 국가대표 ''' }}}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파일: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width=25]]]] 69경기 39골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헝가리]] /1945~1958)^^ || [목차] [clearfix] == 개요 == >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1954년 스위스 월드컵]]은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서독]]이 우승했지만, 딥-라잉 센터 포워드 난도르 히데그쿠티의 헝가리가 지배했다."''' > ---- > [[돈 레비]] [[헝가리]]의 축구선수 출신 축구 감독으로 [[1950년대]]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매직 마자르]] 전성기에 크게 이바지 했던 당대 최고의 공격수이자 [[폴스 나인]]의 맥을 이은 선수다.[* [[1930년대]]의 [[마티아스 신델라]]가 최초의 폴스 나인 유형의 [[중앙 공격수]]로 평가받는데, 진짜로 등번호 9번을 달고 뛴 [[폴스 나인]] 유형의 [[중앙 공격수]]는 히데그쿠티가 최초이다. 여담으로 [[FIFA 월드컵|월드컵]]에 등번호가 처음 도입된 것은 [[1950 FIFA 월드컵 브라질|1950년 월드컵]]이다.] == 선수 경력 == === 클럽 경력 === 1942년에 에레크트로모시 FC에 데뷔해서 1945년까지 53경기 27골을 넣었다. 1945년 [[MTK 부다페스트 FC|MTK 헝가리아 FC]]에 이적해서 1949년까지 110경기 73골을 기록했고 1949년~1950년에는 [[MTK 부다페스트 FC|부다페스티 텍스타일스]]에서는 30경기 23골, 1950년~1952년 사이에는 [[MTK 부다페스트 FC|부다페스티 바슈티아 SE]]에서 51경기 49골, 1952년~1956년에는 [[MTK 부다페스트 FC|뵈뢰슈 로보고 SE]]에서 92경기 65골을 넣었다.[* 팀 이름이 계속 바뀌지만 모두 같은 팀이다.] 1956년에 예전 이름으로 되돌아온 [[MTK 부다페스트 FC|MTK 헝가리아 FC]]에서 1958년까지 31경기 16골을 넣고 은퇴했다. ===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 경력 === 1945년에 대표팀에 데뷔한 히데그쿠티는 [[1952 헬싱키 올림픽]]에서 압도적인 모습으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후 1953년에는 [[웸블리 스타디움]]에서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잉글랜드]]를 상대로 [[해트트릭]]을 기록하면서 축구 종주국이자 세계최강이라 자부하던 잉글랜드를 6:3으로 박살냈다.[* 히데그쿠티는 넓은 범위에서 뛰면서 다른 공격수 4명에게 공을 배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이는 잉글랜드 수비진에 상당한 혼란을 초래하는 원인이 될 수 있었다. 이 방법은 혁신적인 전술로, 당시 축구계에 큰 혁명을 일으켰다. 이 전술은 현재 잘 알려져 있는 [[세컨드 스트라이커]]인 [[프란체스코 토티]]와 [[웨인 루니]]같은 선수들이 오늘날 사용하고 있다.] 이후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1954 스위스 월드컵]]에 출전한 히데그쿠티는 [[페렌츠 푸스카스]] - [[산도르 코츠시스]] - [[요세프 보직]] - [[졸탄 치보르]] 등 막강한 전력을 자랑하던 [[매직 마자르]]의 일원으로서 [[최정민(축구)|최정민]] - [[주영광]] - [[홍덕영]]이 버티는 월드컵에 첫 출전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을 9:0,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서독]]을 상대로 2골을 넣으며 8:3 승리를 이끌었다. 8강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브라질]]과의 시합에선 선제골을 넣었으며 폭력과 레드카드과 난무하는 접전 끝에 브라질을 격파하고 4강에 진출한 헝가리는 [[1950 FIFA 월드컵 브라질|1950 브라질 월드컵]] 우승국인 디펜딩 챔피언 [[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우루과이]]를 상대로 1골을 넣으며 연장전 끝에 4:2 승리를 거두며 결승전에 진출한다. 결승전 상대는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서독]]이었고, [[졸탄 치보르]]와 [[페렌츠 푸스카스]]의 골로 2:0으로 리드했으나 [[헬무트 란]]의 활약으로 3:2 역전패, [[베른의 기적]]의 희생양이 되어 준우승에 그치고 만다. [[1958 FIFA 월드컵 스웨덴|1958 스웨덴 월드컵]]에도 출전 했으나 헝가리는 1라운드에서 탈락하고 만다. 이후 국가대표에서 은퇴했다. == 지도자 경력 == 히데그쿠티는 헝가리, 이탈리아, 폴란드 및 이집트의 클럽에서 감독 생활을 했다. 1961년, 그는 [[ACF 피오렌티나]]의 감독이 되어 초대 [[UEFA 컵 위너스컵]]에서 팀을 우승으로 인도했고, 팀은 결승전에서 레인저스를 4-1로 물리쳤다. 이와 더불어 1963년에는 죄르 ETO FC를 맡아 헝가리 리그에서 우승시켰고, 1965년에는 팀을 [[UEFA 챔피언스 리그|유로피언컵]] 준결승전까지 진출시켰으나, 후에 준우승한 [[SL 벤피카]]에게 패하고 말았다. == 이후 == 히데그쿠티의 부고가 알려지고 그의 친정팀인 [[MTK 부다페스트 FC]]는 홈구장에 그의 이름을 헌정해 [[히데그쿠티 난도르 슈터디온]]으로 개칭했다. == 수상 경력 == '''선수''' '''헝가리''' * '''[[1952 헬싱키 올림픽|올림픽 우승]]''' ** 1952 * '''[[중앙유럽 인터내셔널컵|중앙유럽 챔피언]]''' ** 1953 *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월드컵]]''' ** ''준우승'': 1954 '''페렌츠바로시 TC''' * '''[[헝가리 리그|헝가리 챔피언]]: 3''' ** 1951, 1953, 1958 * '''[[헝가리컵]]: 1''' ** 1952 * '''[[미트로파컵]]: 1''' ** 1955 '''감독''' '''ACF 피오렌티나''' * '''[[UEFA 컵 위너스컵]]: 1''' ** 1961 '''기외리 에토 FC''' * '''[[헝가리 리그|헝가리 챔피언]]: 1''' ** 1963 * '''[[UEFA 챔피언스 리그|유러피언컵]]''' ** ''준결승'': 1965 '''1''' [각주] [[분류:1922년 출생]][[분류:1942년 데뷔]][[분류:1958년 은퇴]][[분류:부다페스트 출신 인물]][[분류:2002년 사망]][[분류:헝가리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공격수]][[분류:헝가리의 남자 축구 감독]][[분류:MTK 부다페스트 FC/은퇴, 이적]][[분류:MTK 부다페스트 FC/역대 감독]][[분류:ACF 피오렌티나/역대 감독]][[분류:만토바 1911/역대 감독]][[분류:죄르 ETO FC/역대 감독]][[분류:알 아흘리 SC/역대 감독]][[분류:샤바브 알 아흘리 클럽/역대 감독]][[분류:헝가리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54 FIFA 월드컵 스위스 참가 선수]][[분류:1958 FIFA 월드컵 스웨덴 참가 선수]][[분류:헝가리의 올림픽 축구 메달리스트]][[분류:1952 헬싱키 올림픽 메달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