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날다람쥐}}}(자이언트날다람쥐, 노부즈마)[br]Japanese giant flying squirrel}}}''' || ||<-2> [[파일:external/gazoo.com/5a329205-960a-45f2-8319-f426b04095c7.jpg|width=100%]] || ||<#F93> '''학명''' || ''' ''Petaurista leucogenys'' '''[br]Temminck, 1827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포유류|포유강]]^^Mammali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설치류|설치목]]^^Rodenti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다람쥐과^^Sciurid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날다람쥐속^^''Petaurista''^^||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날다람쥐^^''P. leucogenys''^^'''|| [[파일:external/livedoor.blogimg.jp/9e7fb655.jpg|width=500]] || [youtube(Bcz-rwK2DUE)] || || 구조되어 임시 사육 중인 어린 날다람쥐 || [목차] == 개요 == * 한국어: 날다람쥐[*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4831&cid=40942&categoryId=32623]]] * 일본어: ホオジロムササビ([[頬]][[白]][[鼯]][[鼠]])[* "호오지로무사사비". 호오지로는 [[멧새]]가 아닌 하얀 뺨을 뜻한다.]. 그냥 ムササビ라고 부르기도 함. * 영어: Japanese giant flying squirrel * 태국어: กระรอกบิน[* "끄라럭빈". 말 그대로 나는 다람쥐 라는 뜻] * 중국어: 鼯鼠 날다람쥐속(Petaurista)을 구성하는 8[[종]] 중의 하나인 날다람쥐는 [[일본]]의 [[혼슈]], [[규슈]], [[시코쿠]] 지역과 [[중국]] [[광저우]] 일대에 분포한다. 과거에는 보온성이 높은 [[모피]] 때문에 [[사냥]]의 대상이 되어왔고 특히 물자가 부족했던 [[태평양전쟁]] 당시에는 [[교사]] 월급에 맞먹을 정도로 가치가 높았다. 현재는 일본을 기준으로 조수보호법에 의해 비수렵동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사전에는 [[한반도]]에도 분포한다고 되어 있으나 1923년 모피상에서 날다람쥐 모피를 발견했다는 기록 외에는 목격담이나 자료가 전혀 없어 서식여부는 불확실하다. 한국에서 관용명으로 쓰이는 '날다람쥐'는 대부분 [[하늘다람쥐]]를 가리킨다. 따라서 한국 한정으로 날다람쥐와 하늘다람쥐가 혼용되기도 하며 대중적으로는 하늘다람쥐보다 날다람쥐로 더 많이 불리고 있다. == 외형 == [[파일:external/opencage.info/800_16813.jpg|width=500]] [[꼬리]]를 제외한 성체의 몸길이는 27~49cm에 몸무게는 700~1,500g으로 비슷하게 생긴 [[하늘다람쥐]], [[일본산하늘다람쥐]], [[북방하늘다람쥐]]보다 덩치가 훨씬 크다. 하늘다람쥐도 마찬가지지만 앞다리 쪽의 발목에 침상연골(Styliform cartilage)이라 불리는 [[https://pbs.twimg.com/media/DJh0MECUQAATvLM.jpg|낫처럼 생긴 조직]]이 달려 있어 평소에는 안쪽으로 접혀있지만 필요에 따라 바깥으로 뺄 수 있다.[[http://www.geocities.jp/tusu6/image/keitaizu/harijoutokki.jpg|참조]] 옆구리에 늘어진 익막(비막)을 펼치거나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체모는 전체적으로 갈색 계통의 색을 띄며 옆머리에서 복부로 이어지는 부분은 눈에 띄게 하얗다. 또한 몸길이에 필적하는 28~41cm의 긴 꼬리는 주로 균형을 잡는데 쓰인다. 활공 시 이동 방향을 정하는 방향타 역할을 맡기도 한다. [[https://pbs.twimg.com/media/DJMc5n6VYAE1zCw.jpg|다른 다람쥐와의 크기 비교]]. [[https://twitter.com/kroris_maki/status/916673488471056385?lang=bn|참고 사이트]] == 생태 == [[파일:external/livedoor.blogimg.jp/681225c7.jpg|width=500]] 날다람쥐 수컷의 모습 활동 시간대가 [[밤(시간)|밤]]인 [[야행성]]에 평지나 고지대 및 아고산지 수림, 특히 키 높은 나무들로 둘러싼 사당이 있는 숲(鎮守の森)을 선호하며, [[느티나무]] 또는 [[단풍나무]]의 어린 잎사귀, 열매, 나무껍질을 비롯한 다양한 [[식물]]들을 주식으로 한다. [[암컷]]의 영역 반경은 1[[헥타르]], [[수컷]]은 비교적 넓은 2헥타르 정도지만 같은 종끼리는 별다른 다툼없이 잘 지내는 편이다. [[번식]]은 [[겨울]]과 이른 [[여름]]에 찾아오는 발정기에 따라 이루어지는데, [[교미]] 시의 수컷은 [[정액(체액)|정액]] 이외에도 암컷의 [[생식기]] 입구를 막아 다른 [[수컷]] [[정자(세포)|정자]]와의 [[수정]]을 원천봉쇄하는 수태낭(Mating plug)을 배출하기도 한다. 평균 74일 가량의 [[임신]]기간을 보낸 [[암컷]]은 [[봄]] 또는 [[가을]]에 1~2마리의 [[새끼]]를 출산하게 된다. == 기타 == [[애완동물|애완용]]으로 많이 키우는 [[유대하늘다람쥐]]는 날다람쥐나 하늘다람쥐와는 매우 비슷하게 생겼지만 [[유대류]]에 속하기 때문에 많은 부분에서 다르다.[* 한국에서는 유대하늘다람쥐, 일본에서는 후쿠로모몬가(フクロモモンガ)라는 명칭으로도 불린다. 외형의 유사성은 수렴진화의 일종으로도 볼 수 있을듯.] [[순자]](荀子)가 집필한 권학(勸學) 내용 중에 언급되는 날다람쥐의 재주란 뜻의 오서지기(鼯鼠之技)는 날다람쥐가 날기, 기어오르기, 헤엄치기, 달리기, [[구멍파기]]를 모두 할 수 있지만 어느 쪽도 뛰어나지 못하다는 데에서 따와 다양한 재주를 가진 듯 보이나 실상은 하나도 변변하지 못하여 쓸모가 없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스카이 다이빙]]은 날다람쥐의 활강을 모방한 것으로 다이빙 수트를 입은 모습을 보면 꼭 날다람쥐 같다. [[윙슈트]] 역시 익막이 달린 날다람쥐의 모습을 따라 만든 것이다. 일본의 요괴 중 노뎃포(野鉄炮)라는 요괴는 이 날다람쥐, 혹은 [[일본산하늘다람쥐]]에서 유래한 요괴로 추측된다. 노뎃포는 에도시대 기담집에 등장하는 요괴로, 밤 중에 산길을 다니는 행인의 얼굴을 가려 시야를 어둡게 하거나, 피를 빨아먹는 요괴로 알려져있으며 입에서 박쥐를 내뱉을 수가 있기 때문에, 박쥐로 행인의 시야를 가린 뒤 금품을 훔쳐가기도 한다는데, 실은 비막을 펼치고 활강하던 날다람쥐나 하늘다람쥐가 행인의 얼굴에 들러붙은게 요괴 전승으로 승화된게 아니냐는 말이 있기 때문.[* 노뎃포와 관련된 기담집 삽화에서도 노뎃포가 날려보내는 물체는 박쥐보다는 날다람쥐가 비막을 펼치고 나는 모습에 더 유사하다.] 일본의 잇탄모멘(一反木綿)[* 10.6*0.3m의 무명천이라는 뜻]이라는 가고시마 지방의 요괴도 밤 중에 사람의 얼굴을 자신의 몸으로 덮거나, 목을 휘감아 질식사시킨다는데, 이 역시 실은 노뎃포의 건처럼 날다람쥐와 관련된 일화가 아니냐는 말도 있다.[* 날다람쥐나 하늘다람쥐나 비막을 펼치면 몸 너비가 제법 넓어지고 (특히 날다람쥐의 경우 몸길이와 꼬리길이도 상당히 길다) 저런 상태에서 사람에게 부딪히면 당연히 잠시 얼굴이 가려질테니 시야가 가려진다거나 하는 말이 나오게 된 걸 수도 있다.] [[태국]]의 날다람쥐가 [[빗자루]]를 들고 죽은 척하는 영상이 전 세계에서 화제가 됐다. [[https://www.news1.kr/articles/?5070154|#]] == 매체나 창작물에서 == 각종 [[매체]] 또는 [[창작물]]에서는 민첩하거나 산을 잘 타는 사람의 [[별명]]으로 쓰이기도 하며 원래의 모습을 한 동물 캐릭터로도 자주 등장한다. 간혹 [[하늘다람쥐]]류와 혼용되어 등장하기도 하고 여기에 적힌 목록에서도 혼용되는 감이 없잖다. 일본어는 무사사비/모몬가로 엄연히 다르지만, 한국어는 날다람쥐나 하늘다람쥐나 같은 말로 취급하기도 하고, 영어도 giant flying squirrel 혹은 flying squirrel로 크게 다르지 않다. 또한 사람이 [[윙수트]]를 입으면 구도가 날다람쥐와 비슷하게 보여서 윙수트를 입은 이들을 날다람쥐라고 부르기도 한다.[* 애초에 윙수트 자체가 날다람쥐의 모습에서 착안해 제작된 물건이다.] * [[고지라 시리즈]] - [[바란(고지라 시리즈)|바란]][* 날도마뱀 괴수라는 설도 있다.] * [[나롱이 시리즈]] - [[나롱이]][* 리메이크 이후부터는 [[하늘다람쥐]].][* 초기에 날다람쥐로 등장하긴 했지만 일본의 날다람쥐가 아닌 한국의 [[하늘다람쥐]]와 [[다람쥐]]가 모티브인 캐릭터다.] * [[데스크림존]] - [[날다람쥐(데스크림존)|날다람쥐]] * [[마리오 시리즈]] - [[뚱날다람쥐]], 날다람쥐 변신 * [[마블 코믹스]] - [[스파이더맨]](초기 활동 시)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 [[스파이더맨(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 [[몬스터 헌터 시리즈]] - [[토비카가치]] * [[바들바들 동물콘]] - [[안아줘요(인터넷 밈)|안아줘요]] * [[브레이브 비츠]] - [[분가방가]][* 단 이 항목은 들어가는 것 자체가 스포일러다. 주의.] *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 [[레이 더 플라잉 스쿼럴]] * 아이돌천사 어서오세요 - 뮤 * [[유희왕]] - [[재빠른#s-2.1|재빠른 날다람쥐]] * [[쿠키런]] - [[팬케이크맛 쿠키]] * [[크레용 신짱]] - [[노하라 신노스케]]의 수많은 동물옷들중 비교적 많이 보이는 동물중 하나다. * [[트랜스포머 카로봇]] - [[메탈비스트 군단#s-2.2|길드]] * [[포켓몬스터]] - [[에몽가]][* 정확한 모티브는 하늘다람쥐이다.] * [[Happy Tree Friends]] - [[스플렌디드]] * [[Kitaca]]의 캐릭터 [[분류:날다람쥐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