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0047a0 {{{+1 '''남밀양 나들목'''}}}[br]{{{-2 '''南密陽 나들목'''}}}[br]{{{-2 '''South Miryang Interchange'''}}}}}}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000 5%, #F0FFF0 0%, #F0FFF0 100%);" {{{#008000 '''남밀양 요금소'''[br]{{{-2 South Miryang Tollgate}}}}}}}}} || || [[삼락IC|{{{#!html
부산 방면}}}]][[삼랑진IC]][br]← 7.6 km || [[중앙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55.svg|height=23]]{{{#!html
중앙선}}}]] {{{#ffffff '''{{{+1 6}}}'''}}} || [[춘천IC|{{{#!html
춘천 방면}}}]][[밀양IC]][br] 6.4 km → || ||<-3> [include(틀:지도, 장소=남밀양IC, 너비=100%, 높이=225px)] || ||<-3> {{{#fff '''주소'''}}} || ||<-3> [[경상남도]] [[밀양시]] [[상남면(밀양)|상남면]] 기산리 || ||<-3> {{{#fff '''관리기관'''}}} || || [[중앙고속도로|{{{#fff 중앙선}}}]] ||<-2> [[신대구부산고속도로주식회사|신대구부산고속도로(주)]] || ||<-3> {{{#fff '''개통'''}}} || ||<-3> [[2006년]] [[1월 25일]] || ||<-3> {{{#fff '''접속도로'''}}} || ||<-3>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25)]([[밀양대로]]) || [목차][clearfix] == 개요 == '''[[중앙고속도로]] 6번.''' [[경상남도]] [[밀양시]] [[상남면(밀양)|상남면]] 대성길 132-24 (기산리)에 있는 [[중앙고속도로]]의 [[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밀양시]]에서 유래했다. == 구조 == === [[춘천IC|춘천]] 방향 === * 진출 가능 : [[밀양대로]] 양방향 * 진입 가능 : [[밀양대로]] 양방향 === [[삼락IC|부산]] 방향 === * 진출 가능 : [[밀양대로]] 양방향 * 진입 가능 : [[밀양대로]] 양방향 == 역사 == * [[2006년]] [[1월 25일]] [[중앙고속도로]] [[대동JC|대동]] - [[동대구IC|동대구]] 구간 개통과 함께 나들목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 특이사항 == [[내비게이션]] 등지에서 [[대구광역시]]와 [[창원시]]를 오갈 때 기존 [[중부내륙고속도로]] 대신 이 나들목을 이용하는 길로 안내하고 있다. 실제로 나들목 표지판에는 '[[진영읍|진영]]', '[[창원시|창원]]'이라고 안내하고 있으며, 남밀양IC로 나간 뒤 [[25번 국도]]를 타고 쭉 따라가면 [[대산면(창원)|대산면]]과 진영을 거쳐 바로 창원 시내로 진입할 수 있다. 과거에는 25번 국도가 진영읍과 [[동읍]] 중심지를 거쳐 [[원이대로]]로 이루어진 길이어서 시간이 다소 오래 걸렸으나, 이제는 창원시 외곽을 지나가는 [[해원로]]가 개통되고 국도로 지정되면서 더 빠르게 대구, 밀양에서 [[성산구]]나 [[진해구]]를 갈 수 있게 되었다. 이는 남해고속도로 계획당시 창원보다 마산이 경남 수부도시 였으며, 당시 건설기술로는 정병산~불모산에 이르는 높은 산이 즐비했던 산맥을 관통해 지나가는게 불가능 했기 때문. 지금도 부산-창원간 관문역할을 하는 도로는 [[동창원IC]]도, [[동마산IC]]도 아닌 김해시에 있는 남해2지선 장유IC-창원터널 루트이다. 더군다나 계획도시로 인해 도로도 실제 인구에 비해 넓게 건설되어 창원시계는 정체가 적은 수준이나 고속도로가 있는 옛 마산시 지역은 도로수준이 급격히 나빠져 내서까지 가는 시간보다도 남밀양 IC까지 가는 시간이 더 빠르다. 그래서 과거에는 이 길을 통해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 ↔ [[창원종합버스터미널|창원]] 시외버스 노선이 있었으나 이용률이 저조했기 때문에 폐지되었다. 애초에 이 길은 [[경전선]] 열차 방향이랑 완벽히 일치하는지라, 기차에 비해 시외버스가 아무런 메리트가 없었다. 창원과 대구를 오가려면 시외버스보다 가격이 싼 데다가 소요시간은 똑같은 [[무궁화호]]를 타면 됐고, 빨리 가고 싶으면 조금 비싸더라도 [[KTX]]나 [[ITX-새마을]]을 타면 되기 때문이다. 경전선 KTX가 [[동대구역|동대구]] - [[마산역|마산]] 구간에선 고속화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굉장히 느리지만, 어쨌건 창원에서는 1시간 이내로 교통체증 없이 대구시내에 바로 꽂아주는 교통수단인지라 버스가 설 자리는 없었다. 즉, 자가용으로 갈 때 [[달서구]] 쪽에서 [[마산합포구]], [[마산회원구]] 방면으로 갈 경우에는 [[중부내륙고속도로|중부내륙선]]/[[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지선]]을 타고, [[수성구]]나 [[동구(대구광역시)|동구]] 쪽에서 [[의창구]], [[성산구]], [[진해구]] 방면으로 갈 경우에는 이 나들목을 이용하는 것이 낫다.[* 대구 이북에서 [[해군교육사령부]], [[해군사관학교]], [[진해기지사령부]]등 해군 관련 시설이 목적지면(면회, 입영장정 배웅 등) 초반에 조금 시간이 걸리더라도 이 나들목을 이용해 안민터널을 통과하는 경로를 이용하자. [[안민터널]]이 많이 막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안민터널이 막히는 시간대에는 마산 방면 [[장복터널]]도 밀릴 확률이 매우 높다. 앞서 말했듯이 안민터널 방면 [[25번 국도]]는 창원 시내 외곽으로 둘러있지만 장복터널 방면 경로는 옛 마산 중심을 '''정확하게 관통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중앙고속도로의 구간)] [[분류:대한민국의 고속도로 나들목]][[분류:중앙고속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