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여자 대표팀, rd1=남아프리카 공화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other2=풋살 대표팀, rd2= 남아프리카 공화국 풋살 국가대표팀)] [include(틀:아프리카축구연맹 회원국)] ||
<-2><:><#f4c327>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150]] || ||||<:><#f4c327>'''{{{#3c943c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 ||||<:><#3c943c> '''{{{#f4c327 Suid-Afrikaanse nasionale sokkerspan}}}''' || ||<:> '''정식 명칭''' ||<:> Suid-Afrikaanse nasionale sokkerspan[* 아프리칸스어][br]South Africa national football team[* 영어] || ||<:> '''[[FIFA 코드]]''' ||<:> RSA || ||<:> '''[[FIFA 랭킹]]''' ||<:> 64위[* 2023년 10월 기준[[https://www.fifa.com/fifa-world-ranking/RSA]]] || ||<:> '''Elo 랭킹''' || 72위[* [[https://www.eloratings.net|2023년 4월 12일 기준]]] || ||<:> '''협회''' ||<:>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협회 (SAFA) || ||<:> '''연맹''' ||<:> [[아프리카 축구 연맹]] (CAF) || ||<:> '''지역연맹''' ||<:> 남아프리카 축구 연맹 (COSAFA) || ||<:> '''감독''' ||<:> [[벨기에|[[파일:벨기에 민간기.svg|width=25]]]] [[휴고 브로스]] {{{-2 (Hugo Broos)}}} || ||<:> '''주장''' ||<:> 론웬 윌리엄스 (Ronwen Williams) || ||<:> '''최다출전자''' ||<:> 애런 모코에나 (Aaron Mokoena) - 107경기 || ||<:> '''최다득점자''' ||<:> [[베니 매카시]] (Benni McCarthy) - 31골 || ||<:> '''홈 구장''' ||<:> [[FNB 스타디움]] (FNB Stadium, 94,736석) || ||<:> '''첫 국제경기 출전''' ||<:> VS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 (0:1 승) [br]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 [br] (1906년 7월 9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VS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호주 축구 국가대표팀|호주]] (8:0 승) [br]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호주]] 애들레이드 [br] (1955년 9월 17일) || ||<:> '''최다 점수차 패배''' ||<:> VS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잉글랜드]] (1:9 패) [br] [[파일:Red_Ensign_of_South_Africa_(1912–1951).svg|width=30]] [[남아프리카 연방]] 케이프타운 [br] (1920년 7월 17일) || ||<:> '''별칭''' ||<:> Bafana Bafana (소년이여 나가자) || ||<:> '''[[FIFA 월드컵|월드컵]]''' ||<:> 진출 3회 (1998, 2002, 2010)[* 최고성적 2002 월드컵 17위(32강 조별리그)] ||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컨페더레이션스컵]]''' ||<:> 진출 2회, 4위 1회 (2009) ||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네이션스컵]]''' ||<:> 진출 10회,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width=25]] 1회[* 1996] || ||<:> '''[[CONCACAF 골드컵|골드컵]]''' ||<:> 진출 1회, 8강 1회 (2005) || ||<:> '''[[올림픽]]''' ||<:> 진출 3회 (2000, 2016, 2020) || ||
<:> {{{#FFFFFF '''유니폼 컬러'''}}} ||<:> {{{#FFFFFF '''홈'''}}} ||<:> {{{#FFFFFF '''어웨이'''}}} || ||<:> {{{#C8AB37 '''상의'''}}} ||<:><#f4c327>[[나이키|[[파일:나이키 로고 그린.svg|align=left&width=20]]]][[남아공축구협회|[[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align=right&width=20]]]][[남아공축구협회|[[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협회 로고.svg|align=center&width=20]]]][br]'''[[라일 포스터|{{{#3c943c 8}}}]][br][br]''' ||<:><#3c943c>[[나이키|[[파일:나이키 로고 옐로우.svg|align=left&width=20]]]][[남아공축구협회|[[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align=right&width=20]]]][[남아공축구협회|[[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협회 로고.svg|align=center&width=20]]]][br]'''[[레보 모티바|{{{#f4c327 9}}}]][br][br]''' || ||<:> {{{#C8AB37 '''하의'''}}} ||<)><#4bb24b> '''[[라일 포스터|{{{#f4c327 ,,8,,}}}]]''' ||<)><#f4c327> '''[[레보 모티바|{{{#3c943c ,,9,,}}}]]''' || ||<:> {{{#C8AB37 '''양말'''}}} ||<:><#f4c327> ||<:><#3c943c> || [목차] [clearfix] == 개요 ==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대표하는 축구팀. 감독은 휴고 브루스이다. Bafana Bafana(직역 the Boys the Boys / 의역 Go Boys! Go Boy! / 소년들이여 나가자)라는 닉네임을 가지고 있다. 영화 인빅터스로 유명한 스포츠 럭비가 '''남아공 백인들의 스포츠'''라면, 축구는 '''남아공 흑인들의 스포츠'''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그 악명높던 아파르트헤이트 시절에는 축구가 하나의 저항 문화처럼 흑인들에게 깊게 스며들어 최고 인기 스포츠가 되었다. 다만 1990년대 초 아파르트헤이트가 철폐되면서 넬슨 만델라 대통령 취임해서야 FIFA 등 국제무대에 남아공이 나설 수 있게 된 관계로 이전까지 남아공 대표팀은 국제대회에 나가지 못했다. 그러므로 FIFA 월드컵 첫 참가는 1994 미국 월드컵 지역예선이 되겠다. 이 대회에서 나이지리아와 한조에 걸려 1라운드에서 무난히 탈락했다. 그러나 월드컵 2년 뒤 자국에서 열린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대회 본선 첫 출전만에 우승을 하며 인빅터스 못지 않은 기쁨을 남아공 국민들에게 선사하고, 팀도 일약 아프리카의 강호 위치에 올라선다. 현재 침체기를 걷고 있지만 남아공 인구의 80%를 차지하는 흑인들의 지지를 받기 때문에 성적이 좋은 럭비 국가대표팀보다 여전히 남아공 내에서 최고 인기 스포츠팀이다.[[https://punditarena.com/football/thepateam/cant-south-africa-produce-better-football-team/|#]][[https://businesstech.co.za/news/lifestyle/103113/blacks-like-soccer-whites-like-rugby-in-sa/|1]] [[https://www.enca.com/south-africa/sa-sport-not-unifier-it-once-was-survey|2]][[https://punditarena.com/football/thepateam/cant-south-africa-produce-better-football-team/|3]] FIFA 월드컵 본선 첫 출전은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1998년 프랑스 월드컵]]이었고 2010년까지 총 세 번 본선에 진출했으나 그 세 번 모두 1라운드에 머물렀다. 특히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2002년]]에는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파라과이]]와 승점 및 골득실이 같았으나 다득점에서 1점이 뒤져서 아깝게 1라운드에 머물렀으며,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2010년]]은 개최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1라운드에 머물며 '''사상 최초로 월드컵 개최국이 조별리그에서 탈락한 사례로 남게 되었다.[*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1990 이탈리아 월드컵]] 개최국 이탈리아는 4강까지 간 뒤 3위를 차지했으며, [[1994 FIFA 월드컵 미국|1994 미국 월드컵]] 개최국 미국도 당시 조 3위로 16강에까지 올라갔고,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1998 프랑스 월드컵]] 개최국 프랑스는 아예 우승까지 했다. 그리고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2002 한일 월드컵]] 개최국 한국과 일본은 당시 일본이 16강까지 갔고, 한국은 4강까지 간 뒤 4위를 차지했으며, [[2006 FIFA 월드컵 독일|2006 독일 월드컵]] 개최국 독일도 4강까지 간 뒤 3위를 차지했다. 개최국이 2라운드 진출에 실패한건 남아공이 최초다. 다만, 그로부터 12년 후,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2022년 카타르 월드컵]] 개최국 카타르가 2연패로 가장 먼저 탈락하는 바람에 유일한 탈락 개최국이라는 타이틀을 벗게 되었으며, 이에 그치지 않고 카타르가 여러 최악의 기록을 더 많이 쏟아냈기에 남아공이 다시 한 번 재평가를 받기까지 했다.] 하지만, 남아공 국내에서는 유럽 사천왕으로 불리는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에게 2-1로 승리하는 이변을 일으키면서]] 박수를 받았다.''' 남아공이 16강을 못간것이 남아공이 못해서도 어느정도는 맞지만 '''조가 너무 어려웠다.''' 그리고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2014년]] 대회는 2차 지역 예선에서 엄청난 부진 끝에 아예 에티오피아한테 밀려 최종 예선조차 진출하지 못했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상술했듯이 출전 정지가 풀리고 1996년에 개최국으로 되고 나서야 처음으로 본선 무대를 밟았다. 그 때는 첫 출전에 첫 우승까지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지만 어째 시간이 갈수록 성적이 점점 안 좋아지고 있다. 1998년 준우승 → 2000년 3위 → 2002년 8강 → 2004년 1R → 2006년 1R → 2008년 1R → 2010년 예선광탈 → 2012년 또 예선광탈했다. 2012년 지역예선에선 이집트의 부진과 맞물려 4년만에 본선 재진출의 가능성이 높아 보였으나 니제르가 홈빨로 1등을 먹는 바람에 실패했다. 그래도 2013년엔 개최국[* 원래 [[리비아]] 개최 예정이었다가 바뀌었다.]으로 자동진출을 확정지었지만, 8강에서 말리한테 승부차기 끝에 패하면서 AGAIN 1996은 못 했다. 역사적인 배경 때문에 압도적으로 흑인 선수들의 비율이 높은 대표팀 구성이다. 대표팀 과거 레전드들도 아론 모코에나, [[이투멜렝 쿤]], [[베니 맥카시]], [[루카스 라데베]], 퀸튼 포츈 등등 전부 흑인 선수들이며, 정말 간혹 드물게 네덜란드계 혹은 잉글랜드계 백인 선수들이 대표팀에서 활약하기도 한다. 국내리그가 많이 활성화되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한다. 아프리카 클럽 대회에서도 좋은 성적을 많이 거두고 인접국 짐바브웨, 보츠와나 등 이웃국가에서 많이들 진출하고 싶어하는 나름 아프리카의 빅리그다. 자연스럽게 대표팀의 국내파 선수 비중이 높은 팀 중 하나며, 유럽파들은 대부분 프랑스, 오스트리아에 많이 진출한다. 아약스 케이프타운이라는 아약스 자매구단의 존재로 과거 네덜란드에도 많이 진출했지만 요즘은 많이 줄어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 K리그 [[수원FC]]의 공격수 [[라스 벨트비크]]가 현 남아공 대표로 활약하는 중이며, 이 선수가 앞서 말한 보기드문 네덜란드계 백인 선수다.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르꼬끄]]이다. 현재는 [[테보호 모코에나]], [[론웬 윌리엄스]], [[에비던스 막고파]] 등의 선수들이 활약하고 있다. == 역대 감독 == [include(틀: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FIFA 센추리 클럽|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include(틀:남아프리카 공화국의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현재 선수 명단 == ||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영문 성명''' || '''생년월일''' || '''출장''' || '''득점''' || '''클럽''' || '''비고''' || ||<|3> '''GK''' || || 론웬 윌리엄스 || Ronwen Williams || 1992년 1월 21일 || 24 || 0 || 슈퍼스포트 유나이티드 FC || || || || 벨리 모스와 || Veli Mothwa || 1991년 2월 12일 || 5 || 0 || 아마줄루 FC || || || || 브루스 브부마 || Bruce Bvuma || 1995년 5월 15일 || 3 || 0 || [[카이저 치프스 FC]] || || ||<|9> '''DF''' || || 시얀다 술루 || Siyanda Xulu || 1991년 12월 30일 || 14 || 1 || [[하포엘 텔아비브 FC]] || || || || 루샤인 드 루크 || Rushine De Reuck || 1996년 2월 9일 || 13 || 0 || 마멜로디 선다운즈 FC || || || || 니코 모비 || Nyiko Mobbie || 1994년 9월 11일 || 12 || 0 || 세쿠후네 유나이티드 FC || || || || 테렌스 마셰고 || Terrence Mashego || 1998년 6월 28일 || 4 || 0 || 케이프타운 시티 FC || || || || 라일 라카이 || Lyle Lakay || 1991년 8월 17일 || 3 || 1 || 마멜로디 선다운즈 FC || || || || 은코시나티 시비시 || Nkosinathi Sibisi || 1995년 9월 22일 || 1 || 0 || 라몬트빌 골든 애로우즈 FC || || || || 아텐코시 음카바 || Athenkosi Mcaba || 2002년 1월 9일 || 0 || 0 || 스텔렌보쉬 FC || || || || 쿨리소 무다우 || Khuliso Mudau || 1995년 4월 26일 || 0 || 0 || 마멜로디 선다운즈 FC || || || || 반딜 샨두 || Bandile Shandu || 1995년 1월 19일 || 0 || 0 || [[올랜도 파이리츠 FC]] || || ||<|6> '''MF''' || || [[키건 돌리]] || Keagan Dolly || 1993년 1월 22일 || 21 || 3 || [[카이저 치프스 FC]] || || || || [[테보호 모코에나]] || Teboho Mokoena || 1997년 1월 24일 || 14 || 3 || 마멜로디 선다운즈 FC || || || || 모토비 음발라 || Mothobi Mvala || 1994년 6월 14일 || 9 || 1 || 마멜로디 선다운즈 FC || || || || 에단 브룩스 || Ethan Brooks || 2001년 11월 22일 || 8 || 0 || TS 갤럭시 FC || || || || 타방 모나레 || Thabang Monare || 1989년 9월 16일 || 2 || 0 || [[올랜도 파이리츠 FC]] || || || || 굿맨 모셀레 || Goodman Mosele || 1999년 11월 19일 || 0 || 0 || [[올랜도 파이리츠 FC]] || || ||<|5> '''FW''' || || 퍼시 타우 || Percy Tau || 1994년 5월 15일 || 34 || 13 || [[알 아흘리 SC(이집트)|알 아흘리 SC]] || || || || [[에비던스 막고파]] || Evidence Makgopa || 2000년 6월 5일 || 6 || 3 || 바로카 FC || || || || 봉고쿨레 롱웨인 || Bongokuhle Hlongwane || 2000년 6월 20일 || 6 || 2 || [[미네소타 유나이티드 FC]] || || || || 라일 포스터 || Lyle Foster || 2000년 9월 3일 || 5 || 0 || KVC 베스테를로 || || || || 파그리에 라카이 || Fagrie Lakay || 1997년 5월 31일 || 3 || 0 || [[피라미즈 FC]] || || [* 2022년 3월 25일 기준.] == 역대 전적 == === [[FIFA 월드컵]] === '''역대 월드컵 전적 순위 : 49위''' || '''{{{#fff 연도}}}''' || '''{{{#fff 결과}}}''' || '''{{{#fff 순위}}}''' || '''{{{#fff 승점}}}''' || '''{{{#fff 경기}}}''' || '''{{{#fff 승}}}''' || '''{{{#fff 무}}}''' ||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30]] [br][[1930 우루과이 월드컵|1930 우루과이]] ||||||||||||||||||<:><|6> {{{#F0C420 불참}}} {{{-2 ([[남아프리카 연방]] 시절[* 영국의 자치령으로 이 당시에도 남아프리카 연방이라는 이름으로 국가대표 경기는 치뤘으나 월드컵엔 불참했다. 완전한 독립국이 되는 것은 1961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수립때의 일이다.])}}} || ||<:>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width=30]] [br] [[1934 이탈리아 월드컵|1934 이탈리아]]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br] [[1938 프랑스 월드컵|1938 프랑스]]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br] [[1950 브라질 월드컵|1950 브라질]] ||||||||||||||||||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30]] [br] [[1954 스위스 월드컵|1954 스위스]] ||||||||||||||||||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30]] [br] [[1958 스웨덴 월드컵|1958 스웨덴]] |||||||||||||||||| ||<:> [[파일:칠레 국기.svg|width=30]] [br][[1962 칠레 월드컵|1962 칠레]] ||||||||||||||||||<:><|8> 출전 금지[*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으로 인하여] ||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br][[1966 잉글랜드 월드컵|1966 잉글랜드]] ||||||||||||||||||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 [br][[1970 멕시코 월드컵|1970 멕시코]]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br][[1974 서독 월드컵|1974 서독]] ||||||||||||||||||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30]] [br][[1978 아르헨티나 월드컵|1978 아르헨티나]] ||||||||||||||||||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br][[1982 스페인 월드컵|1982 스페인]] ||||||||||||||||||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 [br][[1986 멕시코 월드컵|1986 멕시코]]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br][[1990 이탈리아 월드컵|1990 이탈리아]]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br][[1994 미국 월드컵|1994 미국]] ||||||||||||||||||<:> {{{#f00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br][[1998 프랑스 월드컵|1998 프랑스]] ||<:> 조별리그 ||<:> 24위 ||<:> 2 ||<:> 3 ||<:> 0 ||<:> 2 ||<:> 1 ||<:> 3 ||<:> 6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파일:일본 국기.svg|width=30]] [br][[2002 한일 월드컵|2002[br]한일]] ||<:> 조별리그 ||<:> '''17위''' ||<:> 4 ||<:> 3 ||<:> 1 ||<:> 1 ||<:> 1 ||<:> 5 ||<:> 5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30]] [br][[2006 독일 월드컵|2006 독일]] ||||||||||||||||||<:> {{{#f00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 [br][[2010 남아공 월드컵|2010 남아공]][* 사실 이 당시에는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예선이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지역예선도 겸했기 때문에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월드컵 개최국임에도 불구하고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으로 인해 지역예선에 참가했는데 나이지리아에게 털려서 탈락했다. 물론 이건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지역예선 탈락일 뿐이며 월드컵은 개최국 자격으로 참가했다.] ||<:> 조별리그[* 월드컵 개최국 중 최초로 2라운드 진출 실패] ||<:> 20위 ||<:> 4 ||<:> 3 ||<:> 1 ||<:> 1 ||<:> 1 ||<:> 3 ||<:> 5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br][[2014 브라질 월드컵|2014 브라질]] ||||||||||||||||||<:><|3> {{{#f00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30]] [br][[2018 러시아 월드컵|2018 러시아]] ||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30]] [br][[2022 카타르 월드컵|2022 카타르]]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30]]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30]] [br][[2026 월드컵|2026년 북중미]] ||<:> ? ||<:> ? ||<:> ? ||<:> ? ||<:> ? ||<:> ? ||<:> ? ||<:> ? ||<:> ? ||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파일:모로코 국기.svg|width=30]] [br][[2030 FIFA 월드컵|2030년 월드컵]] ||<:> ? ||<:> ? ||<:> ? ||<:> ? ||<:> ? ||<:> ? ||<:> ? ||<:> ? ||<:> ?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30]] [br][[2030 FIFA 월드컵|2034년 사우디]] ||<:> ? ||<:> ? ||<:> ? ||<:> ? ||<:> ? ||<:> ? ||<:> ? ||<:> ? ||<:> ? || ||<:> {{{#fff 합계}}} ||<:> 본선 진출 3회[* 최고 성적 2002월드컵 17위(32강 조별리그)] ||<:> 3/22[* 월드컵 본선 진출 비율] ||<:> 10 ||<:> 9 ||<:> 2 ||<:> 4 ||<:> 3 ||<:> 11 ||<:> 16 || 총성적은 '''2승 4무 3패 승점 10점'''으로 월드컵 통산 순위 '''49위'''를 기록하고 있다. 같은 아프리카 대륙의 [[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코트디부아르]]와 승점과 평균 점수[* 승점/경기횟수를 나눈 점수]가 같지만, 골득실에서 코트디부아르 -1점, 남아공 -5점으로 밀려서 순위가 코트디부아르에 뒤진다. 다른 나라들과의 상대전적은 스페인 1패(2002), 프랑스 1승 1패(1998, 2010), 우루과이 1패(2010), 멕시코 1무(2010), 파라과이 1무(2002), 덴마크 1무(1998), 사우디아라비아 1무(1998), 슬로베니아 1승(2002)이다. 대륙별 상대전적은 유럽 2승 1무 2패, 남미 1무 1패, 북중미 1무, 아시아 1무를 기록중이다. 패배를 기록한 적이 있는 나라는 프랑스(1패), 스페인(1패), 우루과이(1패)로 총 3개국이고, 각 대회마다 1패씩 적립하였으며, 가장 많은 승점을 얻어간 팀은 슬로베니아와 프랑스로 전부 한경기씩 이겼으며 두 팀 모두 유럽에 속해 있다. 한경기 최다득점 기록은 1998년 조별리그 사우디아라비아전 2:2 무, 2002년 조별리그 파라과이전 2:2 무, 스페인전 2:3 패, 2010년 조별리그 프랑스전 2:1 승으로 두 골이 월드컵에서 따낸 최고 기록이며, 최다실점 기록은 1998년 조별리그 프랑스전 0:3 패, 2002년 조별리그 스페인전 2:3 패, 2010년 조별리그 우루과이전 0:3 패로, 3실점이 월드컵에서 당한 최다실점 기록이다. 에티오피아, 라이베리아, 이집트와 더불어 첫 대회 당시부터 독립국가였지만 초기에는 연달아 불참했고, 아프리카 팀들이 대거 참여하기 시작한 1962년부터는 [[아파르트헤이트]] 정책 때문에 모든 메이저 대회 출전을 금지당했다. [[넬슨 만델라]] 가택연금이 풀리고 정치활동이 시작된 1990년대부터 해제되어 월드컵에 도전할 수 있게 되었다. 경험이 부족한 팀이었음에도 도전 두 번째만에 월드컵에 진출해 프랑스에서 첫 무대를 썼는데, [[라우드럽]]의 [[유로 1992]] 우승국인 덴마크와 [[1994 FIFA 월드컵 미국]] 16강과 1996년 아시안컵 우승국인 사우디아라비아를 상대로 무재배하며 2무 1패로 어느 정도 성공적인 첫 대회를 치뤘다. 다음 대회인 2002 한일 월드컵에도 연속 출전하며 [[파라과이]]와 비기고 [[슬로베니아]]를 이기며 [[스페인]]과 2:3 펠레스코어를 남기는 등 선전했지만, 똑같이 1승 1무 1패를 기록한 파라과이에 다득점에 한 골씩 밀려 아깝게 16강 진출에는 실패했다. 그 덕분에 예선탈락한 팀들 중 가장 순위가 높은 17위를 기록하며 월드컵을 마감했다. 두 대회 연속 호성적과 아프리카에서는 상당한 경제력을 갖춘 덕분에 2004년 열린 FIFA 총회에서 2010년 월드컵 개최권을 가져갔다. 그러나 공교롭게도 2010년 월드컵 유치에 성공하자마자 전력이 급하락해 독일월드컵 진출에 실패했고, 자국 대회 예선에는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때문에 참가했는데 최종예선마저 진출하지 못하는 굴욕을 당했다. 그나마 2009년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 4강에 진출하면서 그래도 저력있는 모습을 보여줬지만, 정작 1년 뒤 본선에서는 개막전에서 [[멕시코]]에게 1:1로 무승부, [[우루과이]]에 0:3으로 영혼까지 털리고 '''월드컵 사상 최초로 개최국 2라운드 진출 실패'''라는 대업적을 이뤄냈다. 그나마 마지막 경기에서 프랑스를 2:1으로 이기면서 사상 초유의 개최국 무승이라는 최악의 기록은 면했지만 다들 떨어질거라 예상했던 1970년 멕시코, 1994년 미국, 심지어 그 전 대회까지 본선에서 1승도 올리지 못했던 2002년 한국과 일본조차도 16강에 갔던 걸 생각하면 참으로 눈물나는 결과였다. 하지만 12년후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 개최국 카타르가 남아공도 선전한 개막전을 패배하고 3경기를 모두 패배하고 무승점을 기록한데다 개최국 최초로 월드컵 꼴찌를 기록하자 남아공을 재평가하는 여론도 어느정도는 생기기는 하였다. 단순한 부진이 아니었다는 것을 증명이라도 하듯 2010, 2012, 2017년 열린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도 예선에서 광탈했으며, 개최국 자격으로 출전한 2013년 대회에서 8강에 오르기도 했지만 2015년 대회에서는 1무 2패로 C조 최하위를 기록하며 탈락하는 등 90년대 말~2000년대 초의 전력은 이제 옛말이 되었다. 2014년 브라질 월드컵은 당연하게도 못 갔는데, 개최국을 포함해 아프리카에서 6개국이 본선에 진출할 수 있었던 지난 대회와는 달리 5개국만이 본선에 나갈 수 있는 상황에서 남아공 월드컵에서 본선에 진출한 아프리카 6개국 중 '''하필이면 유일하게 떨어진 나라가 남아공이 된 반면''' 나머지 5개국(가나, 나이지리아, 알제리, 카메룬, 코트디부아르)은 모두 연속으로 본선 진출에 성공하면서 남아공과 극명한 대조를 이루기도 했다.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92 사우디 컨페더컵 ||||||||||||||||<:> 진출 실패 || ||<:> 1995 사우디 컨페더컵 ||||||||||||||||<:> 진출 실패 || ||<:> 1997 사우디 컨페더컵 ||<:> 조별리그 ||<:> 8위 ||<:> 3 ||<:> 0 ||<:> 1 ||<:> 2 ||<:> 5 ||<:> 7 || ||<:> 1999 멕시코 컨페더컵 ||||||||||||||||<:> 진출 실패 || ||<:> 2001 한일 컨페더컵 ||||||||||||||||<:> 진출 실패 || ||<:> 2003 프랑스 컨페더컵 ||||||||||||||||<:> 진출 실패 || ||<:> 2005 독일 컨페더컵 ||||||||||||||||<:> 진출 실패 || ||<:> 2009 남아공 컨페더컵 ||<:><-2> '''4위'''[* 4강전에서 탈락 후 3,4위전 최종 4위] ||<:> 5 ||<:> 1 ||<:> 1 ||<:> 3 ||<:> 4 ||<:> 6 || ||<:> 2013 브라질 컨페더컵 ||||||||||||||||<:> 진출 실패 || ||<:> 2017 러시아 컨페더컵[* 이 대회를 끝으로 켄페더컵은 폐지되었다.] ||||||||||||||||<:> 진출 실패 || ||<:> 합계 ||<:> 4위 1회 ||<:> 2/9 ||<:> 8 ||<:> 1 ||<:> 2 ||<:> 5 ||<:> 9 ||<:> 13 ||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순위 : 13위''' || '''{{{#fff 대회}}}''' || '''{{{#fff 결과}}}''' || '''{{{#fff 순위}}}''' || '''{{{#fff 경기}}}''' || '''{{{#fff 승}}}''' || '''{{{#fff 무}}}''' || '''{{{#fff 패}}}''' || '''{{{#fff 득점}}}''' || '''{{{#fff 실점}}}''' || '''{{{#fff 승점}}}''' || ||<:>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1956-1970).svg|width=30]] [br] [[195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1957년 수단]] ||<|18><-9><:> {{{#f00 출전 금지}}}[*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으로 인해 1992년 대회까지 출전 금지되었다.] || ||<:> [[파일:시리아 국기.svg|width=30]] [br] [[195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1959년 아랍연합공화국]] || ||<:>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width=30]][br] [[196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1962년 에티오피아]] || ||<:> [[파일:가나 국기.svg|width=30]][br] 1963년 가나 |||| ||<:> [[파일:튀니지 국기.svg|width=30]][br] 1965년 튀니지 || ||<:>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width=30]][br] 1968년 에티오피아 || ||<:>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1956-1970).svg|width=30]] [br] 1970년 수단 || ||<:> [[파일:Flag_of_Cameroon_(1961-1975).svg|width=30]] [br] 1972년 카메룬 || ||<:> [[파일:이집트 국기(1972-1984).svg|width=30]] [br] 1974년 이집트 || ||<:> [[파일:에티오피아 국기 (1975–1987).svg|width=30]][br] 1976년 에티오피아 || ||<:> [[파일:가나 국기.svg|width=30]][br] 1978년 가나 || ||<:>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width=30]][br] 1980년 나이지리아 || ||<:> [[파일:리비아 국기(1977–2011).svg|width=30]][br] 1982년 리비아 || ||<:>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width=30]][br] 1984년 코트디부아르 || ||<:> [[파일:이집트 국기.svg|width=30]][br] 1986년 이집트 || ||<:> [[파일:모로코 국기.svg|width=30]][br] 1988년 모로코 || ||<:> [[파일:알제리 국기.svg|width=30]][br] 1990년 알제리 || ||<:> [[파일:세네갈 국기.svg|width=30]][br] 1992년 세네갈 || ||<:> [[파일:튀니지 국기.svg|width=30]][br] 1994년 튀니지 ||||||||||||||||||||<:> {{{#f00 예선 탈락}}} ||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br] 1996년 남아공 ||<:> '''우승''' ||<:> '''1위''' ||<:> '''6''' ||<:> '''5''' ||<:> '''0''' ||<:> '''1''' ||<:> '''11''' ||<:> '''2''' ||<:> '''15''' || ||<:>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width=30]][br] 1998년 부르키나파소 ||<:> '''준우승''' ||<:> 2위 ||<:> 6 ||<:> 3 ||<:> 2 ||<:> 1 ||<:> 9 ||<:> 6 ||<:> '''11''' || ||<:> [[파일:가나 국기.svg|width=30]]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width=30]] [br] 2000년 가나/나이지리아 ||<:> '''4강''' ||<:> 3위 ||<:> 6 ||<:> 3 ||<:> 2 ||<:> 1 ||<:> 8 ||<:> 6 ||<:> '''11''' || ||<:> [[파일:말리 국기.svg|width=30]][br] 2002년 말리 ||<:> 8강 ||<:> 6위 ||<:> 4 ||<:> 1 ||<:> 2 ||<:> 1 ||<:> 3 ||<:> 3 ||<:> '''5''' || ||<:> [[파일:튀니지 국기.svg|width=30]][br] 2004년 튀니지 ||<:> 조별 라운드 ||<:> 11위 ||<:> 3 ||<:> 1 ||<:> 1 ||<:> 1 ||<:> 3 ||<:> 5 ||<:> '''4''' || ||<:> [[파일:이집트 국기.svg|width=30]][br] 2006년 이집트 ||<:> 조별 라운드 ||<:> 16위 ||<:> 3 ||<:> 0 ||<:> 0 ||<:> 3 ||<:> 0 ||<:> 5 ||<:> '''0''' || ||<:> [[파일:가나 국기.svg|width=30]][br] 2008년 가나 ||<:> 조별 라운드 ||<:> 13위 ||<:> 3 ||<:> 0 ||<:> 2 ||<:> 1 ||<:> 3 ||<:> 5 ||<:> '''2''' || ||<:> [[파일:앙골라 국기.svg|width=30]][br]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2010년 앙골라]] ||||||||||||||||||||<:> {{{#f00 예선 탈락}}} || ||<:> [[파일:가봉 국기.svg|width=30]]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width=30]][br]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2012년 가봉/적도 기니]] ||||||||||||||||||||<:> {{{#f00 예선 탈락}}} ||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30]][br]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2013년 남아공]] ||<:> 8강 ||<:> 6위 ||<:> 4 ||<:> 1 ||<:> 3 ||<:> 0 ||<:> 5 ||<:> 3 ||<:> '''6''' || ||<:>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width=30]] [br] [[201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2015년 적도 기니]] ||<:> 조별 라운드 ||<:> 15위 ||<:> 3 ||<:> 0 ||<:> 1 ||<:> 2 ||<:> 3 ||<:> 6 ||<:> '''1''' || ||<:> [[파일:가봉 국기.svg|width=30]] [br][[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2017년 가봉]] ||||||||||||||||||||<:> {{{#f00 예선 탈락}}} || ||<:> [[파일:이집트 국기.svg|width=30]][br]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2019년 이집트]] ||<:> 8강 ||<:> 7위 ||<:> 5 ||<:> 2 ||<:> 0 ||<:> 3 ||<:> 3 ||<:> 4 ||<:> '''6''' || ||<:> [[파일:카메룬 국기.svg|width=30]][br] [[202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2021년 카메룬]] ||||||||||||||||||<:> {{{#f00 예선 탈락}}} || ||<:>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width=30]][br]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2023년 코트디부아르]] ||<:> ? ||<:> ? ||<:> ? ||<:> ? ||<:> ? ||<:> ? ||<:> ? ||<:> ? || ? || ||<:> [[파일:모로코 국기.svg|width=30]][br] [[2025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2025년 모로코]] ||<:> ? ||<:> ? ||<:> ? ||<:> ? ||<:> ? ||<:> ? ||<:> ? ||<:> ? ||<:> ? || || [[파일:케냐 국기.svg|width=30]] [[파일:탄자니아 국기.svg|width=30]] [[파일:우간다 국기.svg|width=30]][br] [[2027 아프리카 네이션스컵|,,2027년 케냐/탄자니아/우간다,,]] || ? || ? || ? || ? || ? || ? || ? || ? || ? || ||<:> {{{#fff 합계}}} ||<:> '''우승'''(1회) ||<:> '''10/14'''[* 본선 진출 횟수. 출전 금지 기간 제외] ||<:> '''43''' ||<:> '''16''' ||<:> '''13''' ||<:> '''14''' ||<:> '''48''' ||<:> '''45''' ||<:> '''61''' || === [[CONCACAF 골드컵]]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미국 2005 ||<:> 8강 ||<:> 7위 ||<:> 4 ||<:> 1 ||<:> 3 ||<:> 0 ||<:> 7 ||<:> 6 || ||<:> 합계 ||<:> 8강 1회 ||<:> 1/1 ||<:> 4 ||<:> 1 ||<:> 3 ||<:> 0 ||<:> 7 ||<:> 6 || [각주] [[분류: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