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남양주시의 시내버스)] [[파일:남양주170_.jpg]]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남양주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남양주시 일반형버스 170번}}} || ||<-6><:>{{{#!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남양주 170 노선도.png|width=100%]]}}}|| ||<-2> 기점 ||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용정리([[사능영업소|사능차고지]]) ||<-2> 종점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청량리역환승센터]]) || ||<|2> 종점행 || 첫차 || 06:00 ||<|2> 기점행 || 첫차 || 07:15 || || 막차 || 21:30 || 막차 || 22:40 || ||<-2> 평일배차 || --20~30분--[br]1일 8회 ||<-2> 주말배차 || --20~30분--[br]1일 4회 || ||<-2> 운수사명 || [[경기운수]] ||<-2> 인가대수 || 7대[* 실제로는 평일 2대, 주말 1대만 운행한다.] || ||<-2> 노선 ||<-4> [[사능영업소|사능차고지]] - 갈을마을 - 한신.세아.현대아파트 - 진건초등학교 - 진건읍사무소 - [[사릉역]] - 진관사거리 - 다산고.119안전센터 - [[다산역]].다산자이 - 한양수자인2차 - [[현대프리미엄아울렛]].빙그레 - 도농고 - [[롯데백화점 구리점]],[[구리역]] - 돌다리,구리전통시장 - 망우동고개 - [[망우역]],상봉터미널 - [[상봉역]] - [[중랑역]].동부시장 - 서울삼육병원 - 홍릉사거리 - 현대코아 - [[청량리역환승센터]] 1번 승강장 || == 개요 == [[경기운수]]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이다. 왕복 운행거리는 49km. [[https://m.map.naver.com/bus/lane.naver?busID=20010071|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2023년 7월 1일 [[남양주 버스 169|169번]]의 인가를 활용해 개통했다. == 특징 == * 2020년 3월 폐선된 [[구리 버스 3(폐선)|3번]]이 부활한 것과 비슷하다. 다만 이 노선은 3번과 달리 수변쪽으로 지나간다. 10여년 전에 폐선된 [[남양주 버스 165-3|165-3]]번과 유사한 부분도 있다. * 같은 날 개통한 [[남양주 버스 115|115번]]과 달리 [[남양주 버스 55|55번]]의 사릉구간처럼 회차한다. 다만 개통 첫 날엔 두 노선 정보에 혼선이 있었는지 다소 아쉬운 광경이 펼쳐졌다. [[https://m.dcinside.com/board/transit/622769|#관련 게시물]] * [[현대프리미엄아울렛 스페이스원]]에서 유일하게 구리시 중심부 및 중랑구로 연계되는 노선이다. * [[남양주 버스 9|9번]]이 다산신도시 입구까지만 연계해주던 것에 반해 이 노선은 다산동 안쪽까지 들어간다. 다시 말해 남양주 북부인 진건에서 다산동 내부까지 이동이 편리해질 것이다. * [[남양주 버스 202|202번]]의 보조역할도 가능성도 있다. 7-5번의 폐선이후 남양주 북부에는 청량리로 가는 노선이 202번이 유일했었다가 진건읍(사릉) 지역에 한해서는 추가가 된 셈이다. 하지만 다산진건지구 구간에서 [[굴곡 노선/버스/경기도|굴곡]]이 있기 때문에 202번이나 경춘선 전철을 이용하는게 더 낫다. 대신 구리 롯데백화점 앞이나 돌다리로 갈 때 보너스 노선으로서의 가치는 있다.[* 기존 사릉-구리시내를 책임지던 9번, 23번이 배차가 예전보다 나빠진데다 저 노선들은 과거부터 오남 일대에서 자리를 채워오거나 가축수송으로 오기도 하기 때문에 이 노선이 다른 노선과 같이 몰려서만 오지 않으면 진건읍민들에게 유용하다. 사실 2000년대 후반만 해도 91번, 165-3번이 사릉차고를 출발해 도농역, 구리시로 갔지만 없어진지 오래.] * 다산1동 진건택지에서 도농역이나 구리역 등에서 경의중앙선 전철이나 165, 30, 65 등의 버스로 갈아탈 필요 없이 한방에 중랑구 일대로 나갈 수 있다. 하지만 바로 [[청량리역]]으로 가진 않고 현대코아로 돌아서 간다. * 하지만 단점도 만만찮은데, 정규 인가대수가 7대에 불과한데다가 당분간 '''2대''', 심지어 주말에는 '''1대'''로만 다닌다는 것이 큰 단점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심지어 정상 운행에 들어가도 잘해야 20-30분 간격으로 배차간격이 다소 넓은 편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심지어 주말 막차는 21시 30분이 아닌 18시 10분으로 승객들의 입장에선 혼동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할것. * 개통 초 GBIS나 카카오맵에서 다산지금데시앙, 새봄초정문으로 우회하는 경로를 표출하는 오류가 발생한 적이 있다. * 배차가 길지만 시간표가 없다. 대략적으로 6시, 8시, 10시, 12시, 14시, 16시, 18시 정각에 출발하고, 21시 30분 막차까지 운행한다. 단 주말은 6시, 10시, 14시, 18시에만 출발하고 21시 30분 막차가 18시로 단축된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회기역]], [[청량리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상봉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구리역]], [[망우역]], [[상봉역]], [[중랑역]], [[회기역]], [[청량리역]] * [[파일:GyeongchunLine_icon.svg|width=19]] [[수도권 전철 경춘선]]: [[사릉역]], [[망우역]], [[상봉역]], [[중랑역]], [[회기역]], [[청량리역]] * [[파일:SBLine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청량리역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60]] 일반 철도역: 상봉역([[KTX-이음|[[파일:KTX-이음 BI.svg|width=75]]]] [[ITX-청춘|[[파일:ITX-청춘 BI.svg|width=40]]]]), 청량리역([[KTX-이음|[[파일:KTX-이음 BI.svg|width=75]]]], [[ITX-새마을|[[파일:ITX-새마을 BI.svg|width=40]]]], [[ITX-마음|[[파일:ITX-마음 BI.svg|width=40]]]], [[ITX-청춘|[[파일:ITX-청춘 BI.svg|width=40]]]], 무궁화호, 정선아리랑열차) == 둘러보기 == [include(틀:남양주시 다산신도시 운행 버스)] [[분류:남양주시의 시내버스]][[분류:2023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구리시 경유 관외 노선]][[분류:서울특별시를 경유하는 남양주시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