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남양주시의 시내버스)] [[파일:2000_1378.png|width=54%]][[파일:IMG_2169(Namyangju2000_1440).jpg|width=46%]]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남양주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남양주시 직행좌석버스 2000번}}} || ||<-6><:>{{{#!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남양주 2000 노선도.png|width=100%]]}}}|| ||<-2> 기점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진벌리([[진벌리차고지]]) ||<-2> 종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강남역]].강남세무서) || ||<|2> 종점[br]행 || 첫차 || 04:55 ||<|2> 기점[br]행 || 첫차 || 06:35 || || 막차 || 22:55(주말 22:10) || 막차 || 00:45(주말 23:45) || ||<-2> 평일배차 || 10~20분 ||<-2> 주말배차 || 15~25분 || ||<-2> 운수사명 || [[경기운수]] ||<-2> 인가대수 || 19대 || ||<-2> 노선 ||<-4> [[진벌리차고지]] - [[경복대학교]] - [[진접역]]6번출구.삼성프라자.지안빌딩 - 휴먼시아16단지 - [[오남역]].서일대사회교육원.양지리마을회관 - 오남읍사무소 - 진주아파트 - 한신1차아파트 - 진건고등학교 - 사능한신.현대.세아아파트 - 지용빌라 - (→ 현암싸릿골 →) - 뱅이삼거리 - 퇴계원농협 - 사노리나들목 - {{{#cccccc 퇴계원IC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구리요금소]] - [[토평IC]] - {{{#cccccc 강변북로 - 잠실대교}}} - [[잠실역]] - [[잠실새내역]] - [[종합운동장역(서울)|종합운동장역]] - [[삼성역(도시철도)|삼성역]] - [[선릉역]] - [[역삼역]] - [[강남역]](12번 출구) → 서초푸르지오써밋 → [[신논현역]].우신빌딩 → [[강남역]].역삼세무서 → 이후 역순 || ||<-6> [[파일:남양주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남양주시 직행좌석버스 2000-1번}}} || ||<-2> 기점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진벌리([[진벌리차고지]]) ||<-2> 종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강남역]].강남세무서) || ||<|2> 종점[br]행 || 첫차 || 06:22 ||<|2> 기점[br]행 || 첫차 || ? || || 막차 || 06:47 || 막차 || ? || ||<-2> 평일배차 || 1일 2회 ||<-2> 주말배차 || '''미운행''' || ||<-2> 운수사명 || [[경기운수]] ||<-2> 인가대수 || -[* 2000번 차량으로 운행.] || ||<-2> 노선 ||<-4> [[진벌리차고지]] - [[경복대학교]] - [[진접역]]6번출구.삼성프라자.지안빌딩 - 휴먼시아16단지 - [[오남역]].서일대사회교육원.양지리마을회관 - 오남읍사무소 - 진주아파트 - 한신1차아파트 - 진건고 - 사능한신.현대.세아아파트 - 지용빌라 - (→ 현암싸릿골 → {{{#cccccc 금강로 직통}}} →/← 뱅이삼거리 ← 퇴계원농협 ←) - 사노리나들목 - {{{#cccccc 퇴계원IC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구리요금소]] - [[토평IC]] - {{{#cccccc 강변북로 - 잠실대교}}} - [[잠실역]] - [[종합운동장역(서울)|종합운동장역]] - [[삼성역(도시철도)|삼성역]] - [[선릉역]] - [[역삼역]] - [[강남역]](12번 출구) → 서초푸르지오써밋 → [[신논현역]].우신빌딩 → 강남역.역삼세무서 → 이후 역순 || ===# 폐지된 노선 #=== ||<-6> [[파일:남양주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남양주시 직행좌석버스 2000-2번(출근전용)}}} || ||<-2> 기점 || 경기도 남양주시 오남읍 양지리(오남읍사무소) ||<-2> 종점 || 서울특별시 송파구 신천동(잠실광역환승센터) || ||<|2> 종점[br]행 || 첫차 || 07:00 ||<|2> 기점[br]행 || 첫차 || ? || || 막차 || 07:30 || 막차 || ? || ||<-2> 평일배차 || 1일 2회 ||<-2> 주말배차 || '''미운행''' || ||<-2> 운수사명 || [[경기운수]] ||<-2> 인가대수 || -[* 2000번 차량으로 운행.] || ||<-2> 노선 ||<-4> 오남읍사무소 → 오남초교 → 어람초교 → 진건고 → 사능한신.현대.세아아파트 → 지용빌라 → 현암싸릿골 → 뱅이삼거리 → 퇴계원농협 → 사노IC → {{{#cccccc 퇴계원IC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구리요금소]] → [[토평IC]] → {{{#cccccc 강변북로 → 잠실대교}}} → [[잠실광역환승센터]] || == 개요 == [[경기운수]]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000번 92.8km, 2000-1번 95.2km다.[[http://naver.me/GpP3DqqA|2000번]], [[http://naver.me/FTnG5rFu|2000-1번]] == 역사 == * 2009년 3월 9일에 [[남양주 버스 1100|1100번]], [[남양주 버스 1700|1700번]]과 함께 신설되었다. 이 노선이 신설되기 전까지 진접지구는 서울행 광역버스가 1115-7번밖에 없었다. * 2013년 3월 4일에 1115-7번과 통합되었다. 이에 따라 1115-7번 출신차량 6대가 증차되어 배차가 20~30분에서 15~20분으로 단축되었다. 처음 통합되고서는 공동배차로 다녔지만, 1달도 지나지 않아 [[대원운수]]가 철수하고 경기운수가 단독운행하게 되었다. 또한 출근시간대에 퇴계원을 미경유하는 2000-1번이 신설되었다. * 2014년 7월 [[광역버스 입석금지 제도]]로 오남읍사무소에서 [[잠실역]]까지만 운행하는 2000-2번이 신설되었다.[* 1115-7번이 출근시간대 한정으로 굴리던 급행노선을 정식 노선으로 승격시킨 것이다. 잠실에서 시종착하는 이유가 바로 그것이다.] * 2015년 12월 19일에 진벌리에서 광릉내까지 연장되었다. 아무래도 진벌리차고지가 과포화상태라 이를 해소하기 위해, 내촌 영업소의 직행좌석들과 같이 묶어서 광릉내에서 관리하게 한 것으로 보인다. * 2018년 8월에 2000-2번이 폐선되었다. * 2019년 10월 14일 다시 진벌리로 단축(환원)되었다. * 2021년 8월 1일 [[경기도 공공버스]]로 편입되었다. * 2022년 12월에 1대가 증차되었다. * 2023년 10월 1일부로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로 이관됐다. == 특징 == * 진접지구를 지나가지만 진접지구에는 [[남양주 버스 8012|8012번]]이 있어서 그다지 많이 타지는 않고,[* 그도 그럴 것이 이 노선은 진접지구 이후에는 서지 않고 바로 잠실역으로 간다. 소요시간 차이가 큰 편.][* 그래서 이 노선의 전신격인 1115-7번은 진접지구의 부족한 수요 문제, 그리고 회전율을 높이기 위해 양지리로 단축되었던 시절이 있었다. 물론 차고지를 이전하면서 다시 진벌리로 연장되었고 2000번과 합쳐졌지만.] 중간 경유지인 오남읍[* 특히 양지리.], 진건읍이나 퇴계원읍에서 많이탄다. 특히 [[남양주 버스 1115-7|1115-7번]]이 폐선된 이후로는 이 동네에서는 서울가는 유일한 광역버스가 되어[* 오남, 진건이나 퇴계원 모두 다른 직행좌석노선이 있지만 이 노선들은 강변역 까지만 운행하며 잠실까지 한방에 가지 않는다.] 중요성이 높아졌다. 또한 강남까지 한번에 간다는 이점이 있어서 환승저항을 피하려는 이용객들로 인해 진접에서도 이용객이 소수 있다. * 그 외에 잠실역 정류장 위치 차이로 지상구간에서 승차할 때 이용하기도 한다. [[남양주 버스 8012|8012번]]은 지하에서 승객을 받기 때문. * 출근급행노선을 운행한다. 평일에만 운행하며, 서울로 갈 때는 퇴계원을 들르지 않는 것이 차이점.[* 차량 앞에 광역급행(퇴계원 미경유) 행선판을 꽂아둔채 운행하니 참고.] * [[강남역]], 강남역사거리가 회차지점이라서 몇 분간 대기하고 출발한다. * 남양주 구간은 전반적으로 도로상태가 좋지 못하다. 오남~사릉 구간은 급경사가 많은 편이며, 사릉~퇴계원은 차량 크기에 비해 도로가 굉장히 좁은 편이다. 이 때문에 수요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2층 버스 운행이 아예 불가능하며, 2022년 교통안전공단이 실시한 경기도 광역버스 통합 안정성 평가에서 위험 노선 3위에 선정되기도 했다.[[https://m.dcinside.com/board/transit/618659|#]][* 참고로 전체 1위는 난폭운전으로 악명 높은 [[고양 버스 1200|명성운수 1200번]]이며, 2위는 비슷하게 고갯길이 많은 [[용인 버스 1500-2|대원고속 1500-2번]]이다.] * 퇴계원을 경유하기 때문에 고속도로 진입까지 시간이 많이 걸린다. 만약에 [[남양주 버스 100|100번]]이 먼저온다면 100번을 타고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을 갈아타는것이 더 빠르다. 그러나 2000번이 먼저 온다면 그냥 타고가자. 시간차이가 몇분정도 밖에 차이나지 않기 때문. * 만약 23:48분에 [[강남역]].역삼세무서 정류소에서 이 버스를 놓쳤다면 마지노선으로 23:55분에 출발하는 2호선을 타고 [[잠실역]]에서 내리면 된다. 00:15분에 2000번이 [[잠실역]]을 통과한다. * [[서울 지하철 8호선]] [[별내선]] 연장 개통 시 퇴계원에서의 수요가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8호선을 타면 시간도 훨씬 절약되고(특히 출퇴근시간) 비용도 훨씬 적게 들게 되는지라 한강을 보면서 여유롭게 투어를 즐길 것이 아니라면(...) 굳이 이 버스 탈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별내나 구리로 넘어가서 8호선을 타는 루트를 선택할 것으로 보인다. 경우에 따라서는 [[남양주 버스 100|100번]]처럼 사능에서 바로 고속도로로 올라가는 형태로 변경될 수도 있다. * 출발은 [[진벌리차고지]]에서 출발하고 차량주박은 [[광릉내영업소]]에서 주박을 한다. === 사건사고 === * 2020년 11월 2일, 도난 신고가된 [[기아 봉고]] 1톤 탑차를 훔쳐 도주하던 30대가 중앙선을 넘어 달리다 2000번 버스와 충돌해 버스 탑승자 5명이 다치고 탑차를 운전하던 30대 도주자가 사망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11986725|기사]][[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279080&_rk=Zxh&s_type=search_all&s_keyword=2000&page=1|#]]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잠실역]], [[잠실새내역]], [[종합운동장역(서울)|종합운동장역]], [[삼성역(도시철도)|삼성역]], [[선릉역]], [[역삼역]], [[강남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진접역]], [[오남역]] * [[파일:Seoulmetro8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8호선]]: 잠실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논현역]], 종합운동장역 * [[파일:SBLine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선릉역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20]] [[신분당선]]: 강남역, 신논현역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광위 준공영제 버스 노선)] [include(틀:남양주시-잠실역간 버스)] [include(틀:남양주시 진접지구 운행 버스)] [[분류:남양주시의 시내버스]][[분류:2009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경기도의 직행좌석버스]][[분류:구리시 경유 관외 노선]][[분류:서울특별시를 경유하는 남양주시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