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남양주시의 시내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9_1208.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남양주9-1_1353.jpg|width=100%]]}}} || || 9번. || 9-1번.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남양주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남양주시 일반형버스 9번}}} || ||<-2> 기점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진벌리([[진벌리차고지]]) ||<-2> 종점 ||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강변역]]) || ||<|2> 종점[br]행 || 첫차 || 04:30 ||<|2> 기점[br]행 || 첫차 || 05:50 || || 막차 || 23:40 || 막차 || '''01:15''' || ||<-2> 평일배차 || 7~12분 ||<-2> 주말배차 || 10~15분 || ||<-2> 운수사명 || [[경기운수]] ||<-2> 인가대수 || 19대[* 실제로는 평일 12~16대,주말 10~12대로 운행.] || ||<-2> 노선 ||<-4> [[진벌리차고지]] - [[경복대학]] - [[진접역]]4,5번출구.엠타워.단우타워 - 휴먼시아16단지 - [[오남역]].서일대사회교육원.양지리마을회관 - 오남읍사무소 - 진주아파트 - 금호아파트 - 진건고등학교 - 용정사거리 - [[사릉역]] - 진관사거리 - 배양리 - '''__다산신도시입구__''' - [[도농역]] - [[구리역]] - 검배사거리 - 구리여중고교 - 덕현한가람아파트 - 구리경찰서 - GS챔피언스파크 - [[광나루역]] - [[강변역]](B섹션) || ||<-6>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남양주 9, 9-1 노선도.png|width=100%]]}}}}}} || ||<-6> [[파일:남양주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남양주시 일반형버스 9-1번}}} || ||<-2> 기점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진벌리([[진벌리차고지]]) ||<-2> 종점 ||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강변역]]) || ||<|2> 종점[br]행 || 첫차 || 05:00 ||<|2> 기점[br]행 || 첫차 || 06:20 || || 막차 || 22:00 || 막차 || 23:30 || ||<-2> 평일배차 || 30~60분 (1일 16회) ||<-2> 주말배차 || 30~60분 (1일 8회) || ||<-2> 운수사명 || [[경기운수]] {{{-1 ([[진벌리영업소]])}}} ||<-2> 인가대수 || 5대[* 예비차 1대.] || ||<-2> 노선 ||<-4> [[진벌리차고지]] - [[경복대학]] - [[진접역]]4,5번출구.엠타워.단우타워 - 휴먼시아16단지 - [[오남역]].서일대사회교육원.양지리마을회관 - 오남읍사무소.농협.현대.삼신A입구 - 진주아파트 - 금호아파트앞 - 진건고등학교 - 용정사거리.진건우체국 - [[사릉역]].진건파출소 - 진관사거리 - 배양리 - '''__수자원공사미금가압장 - 양정동사거리__''' - [[도농역]].동화중고교.부영A - 롯데백화점.[[구리역]]입구 - 검배사거리 - 구리여중고교 - 덕현한가람아파트 - 구리경찰서 - 아치울마을 - [[광나루역]].극동A - [[강변역]](B섹션) || == 개요 == [[경기운수]]에서 운행하는 일반형버스 노선. [[http://map.naver.com/?busId=18567&enc=b64|9번]], [[http://map.naver.com/?busId=18543&enc=b64|9-1번]] 왕복 운행거리는 9번 72.4km 9-1번 73.9km다. == 역사 == * '구리 - [[강변역]]' 노선의 시초격인 노선이다. 예전에는 '구리 - 천호동 - 길동'으로 운행하는 노선은 많았지만 [[강변역]]으로 가는 노선이 없어 연계가 부족하다는 기사가 많이 올라오기도 하였다.[*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에서 잘 찾아보면 1980년대 중후반 당시에 이 문제가 크게 공론화가 되었을 때에는 아예 구리지역 시민단체에서 강변역 노선변경 추진위원회까지 꾸려서 집단행동에 나서기까지 했다.] 그러다가 우여곡절 끝에 1980년대 말에 9번과 9-1번을 개통시키게 된다.[* 이때 많은 노선들이 [[강변역]] 경유로 변경되고, [[강변역]] 종점인 노선들이 많이 신설된다. 대신 훗날 2000년대 초중반에 1-3번만이 구리.남양주에서의 유일한 천호동행 노선으로 남을 정도로 이때를 기점으로 길동행 노선들이 축소되기 시작했다.] * 개통 당시에는 1-3번(현재 [[남양주 버스 23|23번]])이 그랬던 것처럼 남양주군청(현재 남양주시청 제2청사) 출발이었고 90년대 중반 사릉으로, 1999년경 양지리로 연장되었다. * 1990년대 후반경까지 동일한 노선의 좌석버스도 운행했다. * 경춘선 전철 개통에 발맞추어 5대가 증차되었다. [[http://nyjnews.net/sub_read.html?uid=18189§ion=sc6|관련 기사]] * 2010년 2월 8일 진접택지지구 입주에 따른 교통대책의 일환으로 양지차고지-삼금아파트-신영지웰.원일플로라-반도유보라-남양휴튼-서일대사회교육원으로 노선이 변경되었다. * 2012년까지 진벌리행은 도농역이후 부영아파트 앞(현재 정약용도서관 정류장 근처)을 경유했었으나 양방향 모두 큰 도로로 다니는것으로 변경되었다. * 2010년 3월 2일 양지차고지-삼금아파트-진접초교-휴먼시아.부영.금강-서일대사회교육원으로 노선이 변경되었다. * 양지리 차고지 계약만료로 인해 2012년 8월 27일부로 노선이 진벌리차고지로 연장되었다. * 2012년 즈음 극동, 성호아파트 경유 지선을 운행한 바 있다. 별도로 노선 번호는 부여되지 않았다. * 2013년 11월 25일에 [[남양주 버스 91|91번]]이 변경되면서 수자원공사 지원운행을 하게 됐다. BMS상으로는 9-1번이며 9번과의 차이점은 수자원공사 경유 여부 뿐이다. 번호 자체는 구 9-1번이 91번으로 바뀐 이후로 약 4년 만의 부활이며 회사 입장에서는 9-9번 신설 이전처럼 돌아갔다고도 할 수 있겠다. * 시기미상으로 9-1번 막차가 1시간 연장되었다. * 이 노선이 지나가는 진접 일대에 4호선이 들어오면서 자연스럽게 [[진접역]], [[오남역]]을 경유하게 되었다. * 진벌리 방면에 남양주제2청사 정류장이 새로 생겼지만, 이 노선은 원래 쓰던 정류장을 이용한다. 혼동에 주의하자. * 2022년 6월 1일부터 1대를 감차하여 21번에 투입해서 운행한다. == 특징 == * 강변역 - 남양주ᆞ구리를 이어주는 노선들의 본선격인 노선이다. 과거에는 9-1, 9-2, 9-3, 9-5, 9-6, 9-7, 9-9번이 있었으나, 유성운수가 KD로 넘어오면서 9X번으로 노선번호를 변경했다. * 진접지구, 오남, 사릉에서는 [[남양주 버스 100|100번]]이 있다보니 이 노선을 이용해 [[강변역]]으로 가는 사람은 드물고, 대부분이 구간수요다[* 남양주 각지에서 구리로 통학하는 학생들, 진접 오남 사능에서 도농역이나 구리역 가는 사람들, 진접과 오남 사이를 오가는 사람들, 수택/교문단지에서 강변역 가는 수요가 주류.]. * 형제노선으로 [[구리시·남양주시 버스 목록/폐선#s-2.34|9-9번]](양지리 - [[강변역]])이 있었다. 원래 본 노선의 남양주환경사업소/수자원공사 지선(과거에는 경기유리 지선이라고도 불렀다.)을 정식 노선으로 개통시킨 것. 개통 당시 기존의 지선 노선과는 달리 구리시 구간도 토평동(장자대로)을 경유했으며, 이후 장현, 오남체육공원(오남우회도로)도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했다. 하지만 배차간격이 좋지 않아 수요가 썩 좋진 않았고, [[남양주 버스 91|91번]]이 오남우회도로를 경유하여 진접지구로 연장되면서 결국 2011년 9월 폐선되었다. 대신 [[구리시·남양주시 버스 목록/폐선#s-2.67|99번]](사릉 - [[도농역]])이 신설되었다. 남양주환경사업소 인근 지역 버스가 이것밖에 없었기 때문(현재는 폐선). 지금 9번과 비슷한 노선으로는 진접지구(진접고), 오남체육공원(우회도로), 가운주공 구간만 다른 [[남양주 버스 91|91번]]이 있다. * 9-1번은 '''수자원공사 경유''' 팻말을 달고 다니고 별도의 표시는 없었는데, 2020년 8월 20일 경 4대가 9-1번으로 스티킹되었다. * 오남에서 구리 롯데백화점까진 금곡을 한바퀴 도는 [[남양주 버스 23|23번]]에 비해 9번이 훨씬 더 빠르지만, 돌다리 큰길로 가는 23번과는 달리 이 노선은 ㄹ자를 돌린 형태로 굴곡져 있기 때문에 구리역, 도농역에서 워커힐까지는 [[남양주 버스 23|23번]]이 훨씬 더 빠르다. 물론 오남에서 광장동까지 이걸 비교하면서 골라타느니 배차간격이 조금 나빠도 직행좌석 [[남양주 버스 100|100번]] 타는게 가장 현명한 선택. 그러나 100번이 천호동은 가지 않기에 광나루역에서 23번을 갈아타면 환승할인뿐만 아니라 더 빠르다. 즉 100번을 타는게 제일 좋기는 하나 배차가 영 좋지 못하다. 현재는 9번도 정류소에 가면 대부분 20~30분인 경우가 잦다. * 9번 대부분 차량들은 LED 방식 BLU가 장착되었다. 이는 202번, 23번 일부차량에도 장착되어있다.[* 과거 세진버스 시절부터 달려 나온 것인데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 * 2023년 들어 가스값 폭등으로 인해 9번과 202번의 가스 차량들이 전량 휴차되어, 안 그래도, 코로나 이후로 벌어진 배차간격이 더 나빠졌다. 4월 안으로 복귀를 한다고 하는데 현 상황에서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남양주 버스 202|202번]]과 함께 경기운수 대표 노선이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변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진접역]], [[오남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광나루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도농역]], [[구리역]] * [[파일:Gyeongchun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춘선]]: [[사릉역]]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60]] 일반 철도역: 사릉역(ITX-청춘) == 둘러보기 == [include(틀:남양주시-강변역간 버스)] [include(틀:남양주시 진접지구 운행 버스)] [[분류:남양주시의 시내버스]][[분류:구리시 경유 관외 노선]][[분류:서울특별시를 경유하는 남양주시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