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파일:정부상징.svg|width=30&height=30]] '''[[대한민국의 보물/201~400호|{{{#fff 대한민국의 보물}}}]]''' || || 258호 ||<|2> ← || '''259호''' ||<|2> → || 260호 || || 대구 산격동 사자주악장식 승탑 || '''남양주 수종사 부도 사리장엄구''' || [[미암일기|유희춘 미암일기 및 미암집목판]] || [[파일:남양주 수종사 부도 사리장엄구.jpg]] [목차] == 개요 == 南陽州 水鐘寺 浮屠 舍利莊嚴具. [[조선]] [[세조(조선)|세조]] 4년(1458)에 왕명으로 [[수종사]] 석조 부도에 묻어놓은 14세기 [[고려]]시대 유물 일괄. 현재 서울 종로구 불교중앙박물관에 소장 중이고 [[대한민국의 보물|보물]] 제259호로 지정되었다. == 내용 == [[수종사]]는 조선 세조 4년(1458)에 왕명에 의해 중창된 사찰로, 수종사 석조 부조 또한 사찰 창건 시기에 같이 제작되어 수종사 경내에 건립하였다. 이 유물들은 수종사 경내의 석조부도를 중수하는 과정 중 발견된 사리장엄구로, 발견당시 이 유물들은 청자호 안에 은제도금육각감과 금동구층탑이 들어있는 상태였으며, 은제도금육각감은 내부에 사리병을 모셨다. 청자호(靑磁壺)는 높이 31.2㎝, 입지름 26㎝. 금동구층소탑(金銅九層小塔)은 높이 12.9㎝, 은제도금육각감(銀製鍍金六角龕)은 높이 17.3㎝이다. == 외부 링크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59111&cid=46657&categoryId=46657|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남양주 수종사 부도 사리장엄구]] * [[https://ko.wikipedia.org/wiki/남양주_수종사_부도_사리장엄구|한국어 위키백과 : 남양주 수종사 부도 사리장엄구]] == 보물 제259호 ==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2,02590000,11&pageNo=5_2_1_0|문화재청 홈페이지 : 남양주 수종사 부도 사리장엄구 (南陽州 水鐘寺 浮屠 舍利莊嚴具)]] >남양주 수종사 부도 사리장엄구(南陽州 水鐘寺 浮屠 舍利莊嚴具)는 경기도 양평군에 있는 수종사 석조 부도를 고쳐 세울 때 발견된 유물들이다. > >청자유개호(靑磁有蓋壺), 금제구층탑(金製九層塔), 은제 도금 사리기(銀製 鍍金 舍利器)가 발견되었고, 당시 금제구층탑과 은제 도금 사리기는 청자유개호 안에 들어 있었다 > >청자유개호(靑磁有蓋壺)는 높이 31.2㎝, 아가리 지름 26㎝로 세로로 골이 파진 것처럼 몸 전체가 장식되었고, 뚜껑은 아름다운 꽃 덩굴무늬가 전체적으로 새겨져 있다. 뚜껑의 가장 가운데에는 모란 꽃송이무늬를 도드라지게 새겨 놓았다. 청자호의 색깔은 몸체와 뚜껑의 색이 다른데, 몸은 녹청색이고 뚜껑은 녹황색을 띠고 있다. > >청자유개호(靑磁有蓋壺) 안에 금제구층탑(金製九層塔)과 함께 들어 있었던 은제 도금 사리기(銀製 鍍金 舍利器)는 높이 17.3㎝로, 이 중 의 연꽃무늬가 있는 기단에 연꽃 무늬와 칠보 무늬를, 면마다 번갈아 뚫어 조각한 6각의 몸체 위에 6각의 지붕을 얹은 형태이다. 지붕 꼭대기에는 연꽃 모양 위에 보주가 장식되어 있다. 이 은제 도금 사리기(銀製 鍍金 舍利器) 안에는 수정으로 만들어진 공모양의 사리병이 들어 있는데, 여기에 구멍을 뚫고 사리를 모셨다. > >금제구층탑(金製九層塔)은 높이가 12.9㎝인 작은 탑으로, 정사각형으로 된 평상 모양의 기단 위에 있다. 1층 탑 몸체에는 한 면에 꽃잎 모양의 출입구가 3개 있고, 나머지 면에는 격자무늬 창문이 표현되어 있으며, 2층 이상에는 정면에만 출입구가 하나씩 있다. 각층 지붕의 네 모서리에는 사슬을 꼬아 달고 탑의 맨 꼭대기에는 덩굴무늬 장식이 있다. [[분류:대한민국의 보물]][[분류:사리장엄구]][[분류:불교중앙박물관 소장품]][[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분류:고려의 공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