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광주시의 읍면동)] ||<-2> '''[[광주시|{{{#000000,#dddddd 광주시}}}]]의 [[면(행정구역)|{{{#000000,#dddddd 면}}}]]'''[br]'''{{{+1 남종면}}}'''[br]南終面 | Namjong-mye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광주시 남종면,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광주시 || || '''행정표준코드''' || 5540035 || || '''관할 법정리''' || 8리 || || '''하위 행정구역''' || 14행정리 40반 || || '''면적''' || 48.57㎢ || || '''인구''' || 1,465명[* 2023년 3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30.16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광주시 갑'''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소병훈]] ,,(재선),, || ||<-2> '''경기도의원 | 제1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유영두 ,,(초선),, || ||<-2> '''광주시의원 | 가 선거구''' || || [include(틀:무소속/행정구역)] || 주임록 ,,(재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허경행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분원길 9 (분원리 132) || || [[https://www.gjcity.go.kr/csc/namjong/main.do?mId=0500000000&token=1681876602794|남종면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경기도]] [[광주시]] 북부에 위치한 면. [[낙후지역]]에 속한다. 이름은 '남쪽(南) 끝(終)'인데, 실제로는 광주시의 북쪽 끝에 있다. --북종면-- 그 이유는 원래 [[양평군]](구 양근군)에 속했던 곳이었으나 [[1914년]] [[3월 1일]] 광주군으로 편입되었기 때문이다. 서쪽으로는 하남, 동쪽으로는 양평(강하면)과 도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팔당호 및 [[남한강]] 건너편으로는 [[남양주시]], [[양평군]](양서면)과 마주보고 있다. [[조선]] 시대 분원리에 [[사옹원]]의 분원이 있어서 [[도자기]]를 만들었다. [[경안천]] 및 [[팔당댐|팔당호]]로 인해 서쪽(삼성리, 이석리)과 동쪽이 갈라져 있다. 두 지역을 왕래하려면 광동교가 있는 [[퇴촌면]]을 거쳐가야 한다.[* 사실은 여기도 원래는 퇴촌면에 속했으나, 1973년에 남종면으로 넘어온 곳이다. 이때 금사리도 퇴촌면에서 남종면으로 넘어왔으나, 이쪽은 [[월경지]]에 해당되지 않는다.] 참고로 [[북한]]과 가까운 면을 제외하면 경기도에서 인구가 제일 적은 면이다. == 주요 시설 == === 교육 === * 분원초등학교 == 교통 == === 도로 === * [[45번 국도]] (태허정로) * [[342번 지방도]] (산수로) === 버스 === 크게 수청리와 양평까지 운행하는 노선과 하남 방면으로 운행하는 노선으로 나뉜다. * 하남 방면 노선 * [[경기광주 버스 1-23]] : [[경기광주 버스 1-21|1-21번]]과 [[경기광주 버스 38-51|38-51번]]이 결합된 형태로 시청 → 축협 → 직동 → 축협 → 배알미 → 축협 경로로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5-4]] : [[경기광주 버스 35|35번]]과 [[경기광주 버스 38-51|38-51번]]이 결합된 형태로 보건소 → 현산마을 → 축협 → 배알미 → 축협 경로로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8-51]] : 축협 ~ 배알미 구간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8-52]] : 하남BRT센터 ~ 배알미 ~ 퇴촌 ~ 수청리 구간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8-53]] : 축협 ~ 배알미 구간 운행. 축협 방면 퇴촌 경유. * 수청리 방면 노선 * [[경기광주 버스 38-2]] : 축협 ~ 퇴촌 ~ 수청리 구간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8-21]] : 축협 → 퇴촌 → 수청리 → 퇴촌 종착. * [[경기광주 버스 38-22]] : 퇴촌 → 수청리 → 퇴촌 → 축협 종착. * [[경기광주 버스 38-23]] : 퇴촌 ~ 수청리 구간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8-24]] : [[경기광주 버스 38-2|38-2번]]과 [[경기광주 버스 34|34번]]이 결합된 형태로 축협 → 퇴촌 → 수청리 → 퇴촌 → 축협 → 봉골 → 축협 → 보건소 경로로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8-25]] : 축협 ~ 퇴촌 ~ 수청리 ~ 강하 ~ 양평 구간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8-26]] : 수청리 ~ 퇴촌 구간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8-27]] : 수청리 ~ 강하 ~ 양평 구간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8-40]] : 경기광주역 → 정지리 → 퇴촌 → 수청리 경로로 운행. * [[경기광주 버스 38-41]], [[경기광주 버스 38-41A]] : 수청리 → 퇴촌 → 정지리 → 경기광주역 경로로 운행. == 하위 법정리 == === 분원리(分院里) === >조선조 시대 궁중에서 쓰는 사기그릇을 관장하던 사옹원(司甕院)의 현지 제작소가 있던 곳으로서 분점이란 뜻에서 분원이라 불렸다. 영조시대에는 분루원이라고도 불렀다. 이곳에는 옹기 및 사기를 구워 파는 시장이 오랫동안 번창하였으나 을측년 대홍수 이후에는 쇠퇴하였으나 광주 분원하면 지금도 사기(司器)그릇을 연상하는 곳이다. [[https://www.gjcity.go.kr/portal/contents.do?mId=0101090000|출처]] 남종면사무소가 있다. 조선시대 궁중의 그릇 등을 관장하던 사옹원(司甕院)의 분원인 관요가 있었다 해서 지명이 그대로 분원리가 되었다. 현대에는 도자기보다는 붕어찜으로 유명해서 1998년부터 15년간 붕어찜축제를 개최했으나 자전거 도로 등 하천유역 정비사업으로 인해 붕어 개체수가 급감하여 2013년 이후로 붕어찜축제는 열지 않고 있다. [[서울]]의 [[자덕후]]들에게 '''분원리''' 하면 꽤 인지도가 있는 곳이다. [[암사동]], [[미사리]] 등 서울 동부에서 출발하여 [[팔당댐]]을 거쳐 남한강을 끼고 [[43번 국도]], [[342번 지방도]]를 달리는 A급 라이딩 코스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경치와 코스의 질은 일품이지만, [[업힐]]이 5~6차례 이상 나올 정도로 제법 난이도가 있으니 초심자는 무리하지 않도록 하자. 남종면을 벗어나면 나오는 [[양평군]] [[강하면]] '홍가네 슈퍼'라는 작은 슈퍼마켓이 라이더들의 보급소(수분/당분 섭취, 휴식) 역할을 하고 있다. === 검천리(檢川里) === >능곡ㆍ알미ㆍ종단의 세 자연부락을 합하여 원래는 '사천리'(四川里)라 하였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개천을 측량한 이후에는 '검천리'라 부르게 되었다. [[https://www.gjcity.go.kr/portal/contents.do?mId=0101090000|출처]] === 수청리(水靑里) === >이 마을 앞으로 흐르는 강줄기가 하도 맑고 푸르러서 이름을 푸르레여울'이라 부르고 한자이다. 윗마을은 '청탄' 아래 부락은 '작은 청'이라 부른다. [[https://www.gjcity.go.kr/portal/contents.do?mId=0101090000|출처]] 광주시내에서 남종면 방면으로 운행하는 버스의 종점 역할을 하고 있는 곳이다. 여기까지 양평군 농어촌버스가 운행하기 때문에 2020년 8월 26일에 양평까지 바로 운행하는 [[경기광주 버스 38-25|38-25번]]이 생기기 전에는 여기서 양평군 농어촌버스로 환승하는 방식으로 광주 ~ 양평을 오갔다. 지금은 [[경기광주 버스 38-27, 양평 버스 4-5]]가 그 역할을 하는중. === 귀여리(歸歟里) === [[파일:paldang_mulangae_park.jpg]] 귀여리에 위치한 [[팔당물안개공원]]. >조선조 중종 때 정승 한 분이 이곳에 낙향하여 귀여정(歸歟亭)이란 정자를 짓고 소일하였다고 하여 이 마을을 '귀여동'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에 '귀여리'라 일컫게 되었다고 한다. [[https://www.gjcity.go.kr/portal/contents.do?mId=0101090000|출처]] 귀네라고도 한다. 작은 농촌마을이다. 마을 입구 맞은 편에는 팔당물 안개공원이 조성되어 있어 주말에는 제법 관광객이 몰린다. 자전거 대여 및 야구장이 구비되어 있어 찾아오는 인원도 상당하다. === 우천리(牛川里) === 본래 소내마을이라 하여 아랫소내, 윗소내 두개 마을이 존재했으며 우천장이라 하여 1960년대까지 5일장이 열리던 곳이었다. 그러다 [[팔당댐]]이 생기면서 마을 전체가 수몰되었으며, 소내섬은 팔당호로 인해 수몰되고 남은 섬이다. 즉, '''이 무인도와 동쪽의 또다른 무인도의 절반이 우천리의 땅이다.''' 인구가 0명인 유령마을이며, 별 볼일 없는 작은 섬들에 불과하기 때문에 [[밤섬]]같이 항구조차 없다. === 금사리(金沙里) === >예부터 이 마을 앞으로는 하천이 하나 있는데 이 하천에는 사금(砂金)이 났다고 한다. 따라서 이 마을을 '金沙里'라 부르게 되었다. [[https://www.gjcity.go.kr/portal/contents.do?mId=0101090000|출처]] === 삼성리(三成里) ===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당시에 '삼정동'(三政洞), '과학동(過鶴洞), '족자동'(族子洞)을 합하여 '세 마을이 모여 이루어진 마을'이란 뜻으로 '삼성리'라 부르게 되었다. [[https://www.gjcity.go.kr/portal/contents.do?mId=0101090000|출처]] === 이석리(二石里) === >이곳은 1914년 전국의 행정구역이 개편도던 이전 시기까지는 성림동(聖林洞)이라 부르다가 조선조 말기 고종의 자(字)가 성림(聖臨)이라 황공하여 석림(石林)이라 부르게 되었는데, 이웃의 석조정(石潮亭)을 합하여 '이석리'라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https://www.gjcity.go.kr/portal/contents.do?mId=0101090000|출처]] == 기타 == 이곳은 경기광주 북부 3면에 속하는 지역으로 생활권은 하남시와 양평군 생활권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광주시/행정, version=137, paragraph=2.4)][[분류:광주시의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