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별자리)] ||<-2><:> {{{#FFFFFF {{{+3 '''남쪽물고기자리'''}}}[br]Piscis Austrinus / PsA}}}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0px" [[파일:external/www.botproductions.com/chart_psa.gif|width=100%]]}}} || || {{{#FFFFFF '''학명'''}}} ||Piscis Austrinus|| || {{{#FFFFFF '''약자'''}}} ||PsA|| || {{{#FFFFFF '''주요 별 수'''}}} ||7|| || {{{#FFFFFF '''가장 밝은 별'''}}} ||[[포말하우트]](α PsA, 1.17 등급)|| || {{{#FFFFFF '''가장 가까운 별'''}}} ||Lacaille 9352 (10.74 광년)|| || {{{#FFFFFF '''인접 별자리'''}}} ||[[조각가자리]], [[두루미자리]], [[현미경자리]], [[염소자리]], [[물병자리]]|| || {{{#FFFFFF '''관측 가능 여부'''}}} ||'''O'''|| [목차] [clearfix] == 개요 == '''Piscis Austrinus, PsA''' 가을철 남쪽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별자리]]이다. == 상세 == [[그리스 신화]]에서는 [[아프로디테]]가 괴물 [[티폰]]의 습격을 피하기 위해 변신한 모습으로 알려져 있다. 프톨레마이오스의 48개 별자리 중에 속하며, 그는 그의 저서 [[알마게스트]]에서 ''Ichthus Notios''(남쪽 물고기)라고 서술했으며 이것이 ''Piscis Notius''로 라틴어화되었다.[* 그 때문에 20세기 이전에는 이 별자리를 Piscis Notius 라고도 불렀다.] 이후 요한 바이어[* 많은 별자리에 [[그리스 문자]]를 붙인 사람이다.]가 ''Piscis Meridanus'', ''Piscis Austrinus''라고 불렀고, 니콜라스 루이 드 라카유, 로열 존 플램스티드 등의 천문학자들이 후자인 Piscis Austrinus 를 사용하여 1930년 현대의 88개 별자리에 들어갈 때에는 '''Piscis Austrinus'''라는 이름으로 들어갔다. [[물고기자리]]의 두 물고기는 이 남쪽물고기의 자손이라고 전해진다. 북반구 중위도에서 가을철로 분류되는 유일한 1등성인 [[알파성]] [[포말하우트]]를 제외하면 눈에 띄는 천체는 딱히 없다. 포말하우트는 아라비아어로 '물고기의 입'이라는 뜻이며, 주변에 밝은 별이 없어 종종 고독한 별(The Solitary One)으로 불리기도 한다. == 발견된 천체 == === 항성 === [[포말하우트]]를 빼고는 전부 4등성 이상인 별밖에 없는데도 그리스 문자가 붙은 별이 14개나 된다. 무려 20번째 [[그리스 문자]]인 υ(입실론) 별까지 있지만 κ(카파), ν(뉴), ξ(크사이), ο(오미크론), ρ(로), σ(시그마) 별은 존재하기 않는 등 문자가 듬성듬성 붙여졌다. *'''α PsA(Fomalhaut, [[포말하우트]])''': 남쪽물고기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자 유일한 일등성이기도 하며, '''가을 별자리에서 유일한 1등성이기도 하다.''' 밝기는 1.17등급으로 밤하늘에서 18번째로 밝다. A3형의 주계열성이다. 중력적 영향을 받는 동반성이 2개 존재하며, TW PsA와 LP 876-10이 바로 그것이다. 또한 포말하우트는 3겹의 먼지 원반이 존재하고, [[외계행성]][* 또는 일종의 먼지 구름] 추정 천체가 발견되기도 하였다. 자세한 것은 문서 참조. *ε PsA: 4.18등급의 [[B형 주계열성|B8형 주계열성]]으로 지구와의 거리는 약 400광년이다. *δ PsA: 4.18등급의 쌍성계로 4.18등급의 주성과 9.86등급의 동반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천구상에서 약 5[[초(단위)#s.각도의 단위|"]](5초) 정도 떨어져 있다. 주성의 분광형은 G8형 거성으로, 광도는 태양의 52배 정도이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172광년이다. *β PsA: 4.29등급의 쌍성계로, 4.29등급의 주성과 7.8등급의 동반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천구상에서 약 30" 정도 떨어져 있다. 분광형은 각각 [[A형 주계열성|A1형과 A2형의 주계열성]]이며, [[적외선]]관측을 통해 먼지 원반이 존재할 가능성도 확인되었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143광년이다. *ι PsA: 4.35등급의 [[A형 주계열성|A0형 주계열성]]으로, 지구와의 거리는 약 204광년이다. *γ PsA: 4.45등급의 쌍성계로, [[A형 주계열성|A0형 주계열성]]과 [[F형 주계열성|F5형 주계열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 별의 천구상 거리는 4" 정도이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203광년이다. *μ PsA: 4.49등급의 A1.5형 준거성으로, 지구와의 거리는 약 122광년이다. *라카유 9352(Lacaille 9352): '''7.34등급의 [[적색왜성]]'''으로, 가장 밝게 보이는 적색왜성이다. 지구와의 거리는 10.74광년으로 태양계에서 11번째로 가까운 항성계이며, 남쪽물고기자리에서도 가장 가까운 별이다. 또한 1년에 고유운동으로 천구상에서 6.9"를 움직이는데, 이는 [[바너드 별]](Barnard's Star, 1년에 10.3"), 캅타인의 별(Kapteyn's Star, 1년에 약 8"), 그룸브리지 1830(Groombridge 1830) 다음으로 빠른 고유운동 속도를 보여준다. 분광형은 M0.5형 주계열성이다. 그리고 2개의 [[외계행성]]과 1개의 외계행성 후보가 발견되었다. === 심원천체 === 몇몇 어두운 은하들이 분포한다. *NGC 7314: 11.6등급의 SAB(rs)bc형[* 약한 고리 구조(rs)가 존재하고 적당히 휘어진 팔의 모습을 보이는(bc) 중간나선은하(SAB)] 중간나선은하로, 지구와의 거리는 약 5,460만 광년이다. *NGC 7130: 12.1등급의 나선 은하로, 특이한 나선팔이 특징이다. 남쪽으로 2개의 희미한 나선팔이 나와 있으며 다른 쪽으로는 H-알파 방출 스펙트럼이 나타나는 양상을 보인다. 이 은하의 왜곡된 나선팔 구조는 다른 은하와의 상호작용으로 발생되었다고 추정된다. [[세이퍼트 은하]]에 속하는 은하로 밝은 핵을 지니고 있고, 폭발적인 항성 생성이 일어나고 있어 적외선 대역에서 밝게 보인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2억 2,100만 광년으로 멀다. *PKS 2155-304: 13.09등급의 BL Lac 천체[* 활동은하핵의 한 종류로, 은하핵의 제트가 우리 쪽을 향하고 있어 밝기 변화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로, 거의 모든 주파수 대역의 빛을 발산하고 있다. 가장 밝고 많이 연구된 BL Lac 천체이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15억 광년이다. *아벨 S1077: 200여개의 은하를 지닌 은하단이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34억 광년이다. [[분류:천문학]]